우리나라 국민건강영양조사는 국민의 건강수준, 건강 관련 의식 및 행태, 식품 및 영양섭취 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자료로서 국가 전체는 물론 조사대상자 개인은 결과 제시에 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우리나라 국민건강영양조사는 국민의 건강수준, 건강 관련 의식 및 행태, 식품 및 영양섭취 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자료로서 국가 전체는 물론 조사대상자 개인은 결과 제시에 대...
우리나라 국민건강영양조사는 국민의 건강수준, 건강 관련 의식 및 행태, 식품 및 영양섭취 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대표적인 자료로서 국가 전체는 물론 조사대상자 개인은 결과 제시에 대한 요구가 높으므로 개인별 결과제시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국민건강영양조사 영양조사 결과지에 대한 개발을 위하여, 영양상태 평가 방안을 마련하고, 결과지 내용 및 형태 구성안 마련을 위하여 국민건강영양조사 평가 원리에 기초하여 영양조사결과를 활 용한 영양상태평가에 대한 평가 원리 및 평가 로직을 개발하고, 개정된 「2010년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의 기준을 적용하여 평가 영역 구성 및 접근성과 용이성이 고려된 평가 결과지 및 해설지를 개발하였다. 결과지의 내용 영역으로는 체격에 대한 평가, 건강체중을 기준으로 한 에너지 필요량 및 필요 에너지 대비 섭취량, 에너지 구성 영양소(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비율, 영양소 섭취 상태, 식품군별 섭취 상태 및 식사 균형성으로 구성하였으며, 이에 대한 평가 기준 및 평가에 대한 근거 내용을 도출하였다. 또한, 결과지의 이해 를 돕기 위하여 해설지를 개발하였으며, 이에 대한 이해도 제고를 위하여 연령에 따른 집단별로 이해도 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결과지와 해설지를 수정함으로써 보다 접근성이 있고 이해하기 용이한 결과지와 해설지를 개발하였다. 대상자의 체격 평가는 성인의 경우, 체질량지수(BMI)를 기준으로, 저체중· 정상·경계 비만·경도 비만·중등도 비만·고도 비만으로 평가하였으며, 소아·청소년의 경우, 2007년 소 아 · 청소년 체질량지수의 성장도표를 이용하여 비만도를 평가하였다. 성인의 건강체중은 체질량지 수(BMI)가 22가 되는 체중으로 산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에너지 및 에너지 영양소 섭취량의 자료 로 에너지 섭취 수준 및 에너지 영양소 구성 비율을 평가하였다. 에너지 필요추정량 대비 실제 에너지 섭취량을 체격 평가 시 산출된 건강체중(BMI = 22)을 적용하였으며, 신체활동수준은 저활동 수준 단계로 하였다. 에너지 섭취 비율 평가로는 한국인 영양섭취기준(KDRIs)에서 제시된 에너지 적정비율을 사용하였다. 한국인이 주의해야 할 영양소는 단백질, 나트륨, 칼슘, 철, 비타민A, 리보플 라빈, 비타민C로서 이는 국민건강영양조사결과를 참고하였으며, 평가도구는 한국인 영양섭취기준 (KDRIs)에 근거하여 EAR, RI, UL이 설정된 영양소(비타민A, 비타민C, 칼슘, 철)와 목표섭취량으로 설정된 나트륨을 선정하여, 각 영양소의 제시된 권장섭취량 및 목표섭취량(나트륨)을 100% 기준점 으로 하였으며, 권장량에 대한 각 영양소의 실제 섭취량을 백분율로 산출하였다. 조사대상자의 섭취량으로 식품군별 섭취 평가를 하였으며, 평가도구는 한국인 영양섭취기준에서 권장식사패턴(권장 섭취횟수 대비 섭취횟수 비교)을 사용하여 각 식품군별 섭취식품분량을 1회 분량 대비 횟수로 조 정·계산하여 총 합계 횟수(하루 식품군별 섭취횟수)를 산출하고 이를 권장 섭취횟수와 비교하여 평 가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10 KDRIs에 기초한 국민영양건강조사 결과지 제공을 통하여 국민영양 정책 및 관리의 용 이성이 증가될 수 있으며, 개발된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지는 대국민의 접근성과 용이성을 향상시킴으로서 한 국인 영양건강 개선 인식이 확산될 수 있고, 제공되는 국민영양조사 결과지를 통한 국민 영양교육 활성화 및 영양개선에 직접적으로 도움이 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identify the logic for the dietary assessment of study subject and 2) to develope the report format of result for the individual dietary assessment using the nutrition survey data from Korean Health and Nutrition Survey...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identify the logic for the dietary assessment of study subject and 2) to develope the report format of result for the individual dietary assessment using the nutrition survey data from Korean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HANES). The dietary assessment logic was developed using 2010 Korean Dietary Reference Intakes (KDRIs) as a reference assessment based on their age, sex and body size. Energy intake was evaluated based on Estimated Energy Requirement (EER) of individual considering body size and level of physical activity both for female and male of same age. EAR, RI and UI were used as a cut-off point for the evaluation of vitamin A, C, calcium and Iron. For the assessment of sodium intake, AI was used as a cut-off point. In the report format, result of anthropometric assessment based on weight and height was identified. Energy intake status in comparison with energy requirement, contribution of carbohydrate, protein, and fat were also identified. Status of nutritional balance based on DRIs considering age and sex was also identified with recommendation remarks. Dietary balance among the food groups were identify in relation to Korean dietary guideline for consumption unit of each food gro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