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박세당의 글씨첩인 「西溪遺墨」을 통해 朴世堂(1629~1703)이란 한 學人의 생생한 삶의 모습을 미시적 관점에서 분석한 것이다. 「西溪遺墨」(보물제1674호)은 박세당의 여러 서첩 중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704166
2013
Korean
朴世堂 ; 水落山 ; 石泉洞 ; 李正臣 ; ??山亭 ; 少論 ; Park Sedang ; Seo-gyeo-yu-muk (西溪遺墨 ; the autograph of Park Sedang) ; Mt. Surak ; Seokcheondong ; Lee Jeongshin ; Guesanjeong ; Soron (Young Doctrine)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28-170(43쪽)
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박세당의 글씨첩인 「西溪遺墨」을 통해 朴世堂(1629~1703)이란 한 學人의 생생한 삶의 모습을 미시적 관점에서 분석한 것이다. 「西溪遺墨」(보물제1674호)은 박세당의 여러 서첩 중에...
이 글은 박세당의 글씨첩인 「西溪遺墨」을 통해 朴世堂(1629~1703)이란 한 學人의 생생한 삶의 모습을 미시적 관점에서 분석한 것이다. 「西溪遺墨」(보물제1674호)은 박세당의 여러 서첩 중에서도 문화사적 가치가 가장 돋보일 뿐만 아니라 李正臣(1660~1727)이란 門人과의 대화첩이라는 점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특히 여기에 수록된 서간의 대부분은 『西溪集』에도 수록되지 않은 유일한 원본이라는 점에서도 자료적 가치가 자못 특별하다. 박세당의 학자·관료로서의 면모는 여러 글을 통해 논의 되었지만 정작 한 시대를 주도하며 석학 또는 정치가로 일컬어지는 역사적 존재의 삶의 구체적 모습들을 세밀하게 분석한 것은 드물다. 이 점에서 이 글은 박세당 뿐만 아니라 조선후기 양반 사대부들의 생활인으로서의 모습에 한 걸음 더 다가서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is the writing to describe the lively scenes of life of Park Sedang in detail through Seo-gyeo-yu-muk (Treasure No. 1674). Seo-gyeo-yu-muk has the most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among several specimens of handwriting of Park Sedang. Also it h...
This is the writing to describe the lively scenes of life of Park Sedang in detail through Seo-gyeo-yu-muk (Treasure No. 1674). Seo-gyeo-yu-muk has the most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among several specimens of handwriting of Park Sedang. Also it has another feature that it is the dialogue with the disciple called Lee Jungshin. In particular, most of letters, which are contained in this writing, are the unique original document that are not even included in the collection of Park Sedang’s works; thus, it is a valuable data. In addition, its contents are trivial and intimate so that it was not included in the collection Park Sedang’s works. The aspect of Park Sedang as a scholar and public officer, which was represented by politics and ideology, has been discussed through several writings; however, there have been only few that analyzed from the microscopic viewpoint the concrete figure of his life in terms of historical existence, which was heralded as a great scholar or politician as leading an era. In this regard, it is expected that this writing will be an opportunity to get one step closer to the scene of living character of yangban literati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s well as Park Sedang.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旅軒先生手札, In 한국간찰자료선집 16"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2 최완수, "진경시대 서예사의 흐름과 계보" 2 : 1998
3 "조선의 공신"
4 "서계집"
5 박찬웅, "노들에 지는 별" 1973
6 김학수, "끝내 세상에 고개를 숙이지 않는다" 삼우반 2005
7 蔡之洪, "鳳巖集"
8 "館洞派譜"
9 "議政府(楊州) 潘南朴氏 西溪朴世堂 後孫家篇, In 한국간찰자료선집 15"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10 朴世堂, "西溪集"
1 "旅軒先生手札, In 한국간찰자료선집 16"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2 최완수, "진경시대 서예사의 흐름과 계보" 2 : 1998
3 "조선의 공신"
4 "서계집"
5 박찬웅, "노들에 지는 별" 1973
6 김학수, "끝내 세상에 고개를 숙이지 않는다" 삼우반 2005
7 蔡之洪, "鳳巖集"
8 "館洞派譜"
9 "議政府(楊州) 潘南朴氏 西溪朴世堂 後孫家篇, In 한국간찰자료선집 15" 한국학중앙연구원 2010
10 朴世堂, "西溪集"
11 吳竣, "竹南堂稿"
12 李正臣, "櫟翁遺稿"
13 김학수, "朴世堂의 西溪遺墨"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2012
14 "朝鮮王朝實錄"
15 尹軫暎, "朝鮮時代 九曲圖 硏究" 韓國精神文化硏究院 韓國學大學院 1997
16 鄭萬祚, "朝鮮 顯宗朝의 公義・私義 論爭과 王權, In 東洋三國의 王權과 官僚制" 朝鮮時代史學會 1998
17 김학수, "月沙 李廷龜(1564-1635)의 학문적 계통과 사림에서의 역할" (사)한국인물사연구회 16 (16): 81-126, 2011
18 尹拯, "明齋遺稿"
19 崔錫鼎, "明谷集"
20 崔昌大, "昆崙集"
21 梁得中, "德村集"
22 李頤命, "寒圃齋集"
23 朴泰輔, "定齋集"
24 趙裕壽, "后溪集"
25 "司馬榜目"
26 "『西溪 朴世堂의 筆帖』(韓國精神文化硏究院 書畵名品 特選 2)"
27 김학수, "‘西溪遺戒’를 통해 본 박세당의 喪禮 인식과 그 파문" 한국계보연구회 1 : 2010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4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20-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재인증) | ![]() |
2017-03-0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Academy of Korean -> The Academy of Korean Studies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7-05-15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angseogak -> JANGSEOGAK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86 | 0.86 | 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6 | 0.67 | 1.505 | 0.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