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세계통합이 우리나라 고등학교 사회교과의 내용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쳐왔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1차 교육과정부터 7차 교육과정에 걸쳐 공통필수로 지정된 고등학교 사회...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509093
2009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53-63(11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세계통합이 우리나라 고등학교 사회교과의 내용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쳐왔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1차 교육과정부터 7차 교육과정에 걸쳐 공통필수로 지정된 고등학교 사회...
이 연구는 세계통합이 우리나라 고등학교 사회교과의 내용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쳐왔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1차 교육과정부터 7차 교육과정에 걸쳐 공통필수로 지정된 고등학교 사회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사회교과는 우리나라의 사회변화에 따른 요구에 영향을 받는 동시에 세계통합에 따른 거시적인 세계문화의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교과내용에서 국가사회에 대한 기술은 점차로 그 비중이 감소하고 있는 반면, 세계사회에 대한 비중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학적 제도주의 관점에 의하면 세계통합이란 세계정치문화체제라는 공동체 속에서 보편적 문화규범이나 가치를 범세계적 수준에서 점차로 공유해 나가는 현상을 의미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개인은 개별국가의 국민을 넘어서 세계사회와의 구성원으로 새롭게 재정의 되고 있으며, 이는 한국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내용의 변화에도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사회교과 내용의 변화에 각 국가의 구체적인 사회경제적 요인뿐만 아니라 세계통합에 따른 거시적인 사회문화적 요인도 함께 작용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high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South Korea has been influenced by the larger institutional environment in which world-cultural rules and values are constituted and elaborated on a global scale. Analyzing a ser...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high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South Korea has been influenced by the larger institutional environment in which world-cultural rules and values are constituted and elaborated on a global scale. Analyzing a series of social studies textbooks published in South Korea over the past half a century, this study shows that the curricular contents of the social studies subject have substantially changed in accordance with world-level curriculum models that emphasize global perspectives and pluralist social epistemology as opposed to nationalistic or ethno-centric ideologies. Based on a global institutional perspectiv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urricular change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needs to be understood not only as a functional response to meet immediate societal needs but also as a global process through which universal values such as democratic principles, human rights, and sustainable development are increasingly given special attention throughout the world. This trend appears to reflect the changing definition of the individual as a global citizen who is expected to engage actively in world society beyond national boundari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차윤경, "초·중등 정보과학교과 및 관련 정책의 제도화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비교교육학회 15 (15): 167-190, 2005
2 주웅영, "제7차 교육과정의 개정과 통합교과 사회의 설정" (25) : 73-103, 1999
3 차윤경, "세계화 시대의 대안적 교육모델로서의 다문화 교육" 한국다문화교육학회 1 (1): 1-23, 2008
4 이상헌, "세계통합이 국어교과내용에 미치는영향" 한양대학교 2006
5 교육부, "사회과교육과정" 1997
6 차경수, "사회과교육" 동문사 2008
7 조혜령, "고등학교 사회교과서 경제영역에 나타난 성역할의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2006
8 교육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사회"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2001
9 Kamens, D. H, "Worldwide patterns in academic secondary education curricula" 40 (40): 116-138, 1996
10 Meyer, J, "World society and the nation-state" 103 (103): 148-149, 1997
1 차윤경, "초·중등 정보과학교과 및 관련 정책의 제도화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비교교육학회 15 (15): 167-190, 2005
2 주웅영, "제7차 교육과정의 개정과 통합교과 사회의 설정" (25) : 73-103, 1999
3 차윤경, "세계화 시대의 대안적 교육모델로서의 다문화 교육" 한국다문화교육학회 1 (1): 1-23, 2008
4 이상헌, "세계통합이 국어교과내용에 미치는영향" 한양대학교 2006
5 교육부, "사회과교육과정" 1997
6 차경수, "사회과교육" 동문사 2008
7 조혜령, "고등학교 사회교과서 경제영역에 나타난 성역할의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2006
8 교육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사회" 대한 교과서 주식회사 2001
9 Kamens, D. H, "Worldwide patterns in academic secondary education curricula" 40 (40): 116-138, 1996
10 Meyer, J, "World society and the nation-state" 103 (103): 148-149, 1997
11 Boli, J, "World culture and the institutional development of mass education. In Handbook of Theory and Research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Greenwood Press 65-92, 1986
12 Ramirez, F. O, "The worldwide rise of human rights education. In School Knowledge in Comparative and Historical Perspective: Changing curricula i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Hong Kong University Press 35-52, 2006
13 Meyer, J. W, "The world institutionalization of education. In Discourse Formation in Comparative Education" Peter Lang 111-131, 2000
14 DiMaggio, P. J, "The iron cage revisited: Institutional isomorphism and collective rationality in organizational fields. In The New Institutionalism in Organizational Analysis" University of Chicago Press 63-82, 1991
15 Wong,S.-Y, "The evolution of social science instruction, 1900-86: A cross-national study" 64 (64): 33-47, 1991
16 Castells,M, "The Rise of the Network Society (2nd ed.)" Blackwell Publishing 2000
17 Schissler, H, "The Nation, Europe, and the World: Textbooks and curricula in transition" Berghahn Books 2004
18 Drori, G. S, "Science in the Modern World Polity: Institutionalization and globalization"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3
19 Bowles, S, "Schooling in Capitalist America: Educational reform and the conditions of economic life" Basic Books 1976
20 Benavot, A, "School Knowledge in Comparative and Historical Perspective: Changing curricula in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Hong Kong University Press. 2006
21 Meyer, J, "School Knowledge for the Masses: World models and national primary curricular categories in the twentieth century" Falmer Press 1992
22 Meyer, J. W, "Ontology and rationalization in the Western cultural account. In Institutional structure: Constituting state, society, and the individual" Sage 12-40, 1987
23 Baker, D. P, "National Differences, Global Similarities: World culture and the future of schooling" Stanford University Press. 2005
24 Young, M. F. D, "Knowledge and Control:New directions for the Sociology of Education" Collier Macmillan 1971
25 Anderson,B, "Imagined Communities: Reflections on the origin and spread of nationalism (2nd ed.)" Verso Press 1991
26 Althusser,L, "Ideology and ideological status apparatuses. In Education: Structure and Society" Penguin Books. 242-280, 1972
27 Tomlinson,J, "Globalization and Cultur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9
28 Fiala,R, "Educational ideology and the school curriculum. In School Knowledge in Comparative and Historical Perspective" Hong Kong University Press. 15-34, 2006
29 Suarez,D, "Education professionals and the construction of human rights education" 51 (51): 48-70, 2007
30 Durkheim,E, "Education and Sociology" Free Press 1924
31 Soysal, Y. N, "Educating future citizens in Europe and Asia. In School Knowledge in Comparative and Historical Perspective" Hong Kong University Press 73-88, 2006
32 Banks,J.A, "Educating Citizens in a Multicultural Society (2nd ed.)" Teachers College Press. 2007
33 Boli, J, "Constructing World Culture: International nongovernmental organizations since 1875"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9
미국 초등학교 사회과 교실수업의 프로젝트 수행과정과 교육적 함의
일본의 사회과 교과서 왜곡과 검정 및 채택 제도의 변화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8 | 1.18 | 1.07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2 | 1.21 | 1.269 | 0.24 |
Global Citizenship: Assessment Toolkit, Ethnic Masks, Global Links Website
Teachers TV Teachers TVGlobal Citizenship: Six Film Clips
Teachers TV Teachers TV글로벌이슈와 세계시민(Global Issues and Global Citizenship)
K-MOOC 경남대학교 박서화,문미리글로벌이슈와 세계시민(Global Issues and Global Citizenship)
K-MOOC 경남대학교 박서화,문미리글로벌이슈와 세계시민(Global Issues and Global Citizenship)
K-MOOC 경남대학교 박서화,문미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