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 설왕설래한 바를 요약하여 결론에 대신하고자 한다. 1. 십오세기국어의 서법 체계는 다음과 같은 오분 체계로 파악된다. (1) 직설법 (2) 회상법 (3) 추측법 (4) 의도법 (5) 명령법 2. 이들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9583805
1972
Korean
374.71
학술저널
37-70(34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상 설왕설래한 바를 요약하여 결론에 대신하고자 한다. 1. 십오세기국어의 서법 체계는 다음과 같은 오분 체계로 파악된다. (1) 직설법 (2) 회상법 (3) 추측법 (4) 의도법 (5) 명령법 2. 이들 ...
이상 설왕설래한 바를 요약하여 결론에 대신하고자 한다.
1. 십오세기국어의 서법 체계는 다음과 같은 오분 체계로 파악된다.
(1) 직설법 (2) 회상법 (3) 추측법 (4) 의도법 (5) 명령법
2. 이들 서법은 결어법의 하라체, 하야쎠체, 하쇼셔체의 공손법 등분과 서술법, 의문법, 명령법의 세 가지 문체법에 따라 정열한 체계를 보이고 있는데, 직설법, 회상법, 추측법은 서술법과 의문법의 문체법에서, 명령법은 명령법의 문체법에서 나타난다.
3. 다음 이들의 서법적 의미를 약술한다.
(1) 직설법은 현재, 과거 사실을 직접적, 단정적으로 진술하는 심적 태도의 서법인데, 어말어미(final ending)「-다」에 의해 표시된다.
(2) 회상법은 체험한 사실을 회상하여 상대에게 전달하는 간접적 진술태도의 서법인데, 선어말어미(prefinal ending) 「-더-」에 의해 표시된다. 십오세기어에서 과거시제 표시는 주로 회상법의 서법이 담당하였다.
(3) 추측법은 직설법, 회상법의 현재, 과거 사실이 아닌, 일어나지 않은 사실에 대하여 관념적 추측을 가하는 심적 태도의 서법인데, 선어말어미「-리-」(서술법에서), 또는「-ㄹ-」(의문법에서)에 의해 표시된다.
(4) 의도법은 십오세기어 특유의 서법이다. 이 의도법은 이상의 직설법, 회상법, 추측법의 서법을 바탕으로 파악되는데, 직설법, 의도법, 추측법의 내용에 화자의 주관적 판단인 의도가 가미된 복합적인 서법을 말한다. 서술법에서는 선어말미{-오-}의 개재로, 의문법은 십오세기어 특유의 의문법어미 「-다」에 의해 의도법이 표시된다.
(5) 명령법은 상대에 대하여 행동의 요구를 나타내는 서법인데, 명령법어미 「-라」(「하라체」에서)에 의해 표시된다. 명령법은 그 내용에 따라 일반명령, 강청, 원망, 청유법으로 세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