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지방화시대의 사회통합(social inclusion)과 지역 복지서비스공급체계의 역동성에 관한 연구(중간보고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지방화시대라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한국의 지역 사회복지공급체계는 다차원적인 사회문제와 복지욕구에 적절히 대응하고 있는가 ‘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지역 사회복지서비스공급체계를 진단하기 위해 최근 영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담론적·정책적 차원에서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는 사회적 배제와 통합의 개념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제도 가운데서도 복지서비스부문에 초점을 두고, 이를 공급하는 주체들이 얼마나 사회적 배제를 극복하고 사회통합을 이루고자 지향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토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05년 9월부터 2007년 8월까지 2차년에 걸쳐 수행되었다. 1차년도(2005.9.~2006.8)는 사회적 배제·통합의 개념화·조작화 작업, 사회복지서비스공급자의 사회통합·배제 조사도구 개발, 사회복지서비스공급자 전수조사, 해외현지조사 등이 실시되었다. 2차년도(2006.9~2007.8)는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자 사회통합·배제 조사도구 개발, 사회복지기관 서비스 이용자 조사 및 빈곤한 서비스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질적연구 등이 실시되었다. 1차년도 공급자 표본으로는 아동·청소년 분야, 노인 분야, 장애인 분야, 지역사회복지분야 시설 등이 포함되었다. 설문협조 요청에 긍정적으로 응답한 1,570개 기관에 우편 발송을 하였고 920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어 분석에 포함되었다. 2차년도의 조사모집단은 1차년도에 응답한 190개소의 종합사회복지관의 리스트를 각 지역권별(수도권, 충청권, 전라권, 경상권)로 정해진 수만큼 무작위로 추출하여 최종 51개 기관을 추출하였고 각 기관당 30~50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에 포함된 총 사례수는 1,600명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서비스 공급자 측면에서의 사회적 배제와 통합의 개념을 측정할 수 있는 조사도구인 ‘사회복지기관의 사회통합지향성(Social Inclusion Orientation of Social Service Providers: SI)'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 개념은 요인분석을 통해 클라이언트 중심 사회통합지향성과 지역사회 중심 사회통합지향성의 두 가지 하위차원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자 측면에서의 사회적 배제화 통합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였다. 본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포커스 집단 인터뷰를 행하였고 전문가를 통한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또한, 내적일관성 신뢰도가 검증되었고, 주성분분석을 통해 구성체 타당도도 지지받았다. 이용자 측면에서의 사회적 배제 척도의 4가지 하위차원은 ‘사회적 교류’, ‘생산활동’, ‘정치적 관여’, ‘소비’ 등 이었다.
      셋째, 사회복지공급자의 사회통합지향성 수준(범위: 최소 40 ~ 최대 200)이 측정되었다. 표본 전체 SI의 평균은 155.65점이었다. 시설유형별로는 아동·청소년시설 155.21점, 노인복지시설 154.78점, 장애인복지시설 155.11점이었다. 지역별 SI 수준으로 서울·경인권 사회복지시설은 156.87점, 대전·중부권은 154.02점, 광주·전라권 155.94점, 부산·대구·경상권은 155.09점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통합지향성 수준은 시설유형별, 지역별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서비스 이용자의 사회적 배제 경험을 보다 심층적으로 규명하고자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으로는 일시적 또는 장기적 빈곤상태에 놓여있는 도시빈곤층 18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배제 경험은 크게 경제, 사회, 교육, 심리/성격, 건강, 복지제도, 자녀양육, 기타(복/운)로 유목화되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공급자 및 이용자 측면에서의 사회통합 개념화를 실시하고 측정도구를 개발함과 동시에 이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들을 실증적으로 수집하였다. 따라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결과들이 계속적으로 분석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지방화시대라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한국의 지역 사회복지공급체계는 다차원적인 사회문제와 복지욕구에 적절히 대응하고 있는가 ‘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한 것이...

      본 연구는 ‘지방화시대라는 시대적 흐름 속에서, 한국의 지역 사회복지공급체계는 다차원적인 사회문제와 복지욕구에 적절히 대응하고 있는가 ‘라는 질문에 대한 답을 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지역 사회복지서비스공급체계를 진단하기 위해 최근 영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담론적·정책적 차원에서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는 사회적 배제와 통합의 개념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제도 가운데서도 복지서비스부문에 초점을 두고, 이를 공급하는 주체들이 얼마나 사회적 배제를 극복하고 사회통합을 이루고자 지향하고 있으며 구체적으로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실증적으로 검토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05년 9월부터 2007년 8월까지 2차년에 걸쳐 수행되었다. 1차년도(2005.9.~2006.8)는 사회적 배제·통합의 개념화·조작화 작업, 사회복지서비스공급자의 사회통합·배제 조사도구 개발, 사회복지서비스공급자 전수조사, 해외현지조사 등이 실시되었다. 2차년도(2006.9~2007.8)는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자 사회통합·배제 조사도구 개발, 사회복지기관 서비스 이용자 조사 및 빈곤한 서비스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한 질적연구 등이 실시되었다. 1차년도 공급자 표본으로는 아동·청소년 분야, 노인 분야, 장애인 분야, 지역사회복지분야 시설 등이 포함되었다. 설문협조 요청에 긍정적으로 응답한 1,570개 기관에 우편 발송을 하였고 920부의 설문지가 회수되어 분석에 포함되었다. 2차년도의 조사모집단은 1차년도에 응답한 190개소의 종합사회복지관의 리스트를 각 지역권별(수도권, 충청권, 전라권, 경상권)로 정해진 수만큼 무작위로 추출하여 최종 51개 기관을 추출하였고 각 기관당 30~50명의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에 포함된 총 사례수는 1,600명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서비스 공급자 측면에서의 사회적 배제와 통합의 개념을 측정할 수 있는 조사도구인 ‘사회복지기관의 사회통합지향성(Social Inclusion Orientation of Social Service Providers: SI)' 척도를 개발하였다. 이 개념은 요인분석을 통해 클라이언트 중심 사회통합지향성과 지역사회 중심 사회통합지향성의 두 가지 하위차원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사회복지서비스 이용자 측면에서의 사회적 배제화 통합을 측정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였다. 본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포커스 집단 인터뷰를 행하였고 전문가를 통한 내용타당도를 검증받았다. 또한, 내적일관성 신뢰도가 검증되었고, 주성분분석을 통해 구성체 타당도도 지지받았다. 이용자 측면에서의 사회적 배제 척도의 4가지 하위차원은 ‘사회적 교류’, ‘생산활동’, ‘정치적 관여’, ‘소비’ 등 이었다.
      셋째, 사회복지공급자의 사회통합지향성 수준(범위: 최소 40 ~ 최대 200)이 측정되었다. 표본 전체 SI의 평균은 155.65점이었다. 시설유형별로는 아동·청소년시설 155.21점, 노인복지시설 154.78점, 장애인복지시설 155.11점이었다. 지역별 SI 수준으로 서울·경인권 사회복지시설은 156.87점, 대전·중부권은 154.02점, 광주·전라권 155.94점, 부산·대구·경상권은 155.09점으로 나타났다. 즉, 사회통합지향성 수준은 시설유형별, 지역별 차이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서비스 이용자의 사회적 배제 경험을 보다 심층적으로 규명하고자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으로는 일시적 또는 장기적 빈곤상태에 놓여있는 도시빈곤층 18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적 배제 경험은 크게 경제, 사회, 교육, 심리/성격, 건강, 복지제도, 자녀양육, 기타(복/운)로 유목화되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공급자 및 이용자 측면에서의 사회통합 개념화를 실시하고 측정도구를 개발함과 동시에 이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들을 실증적으로 수집하였다. 따라서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결과들이 계속적으로 분석될 것이다.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중간보고서1.의 전체페이지수는 51, 중간보고서2.의 전체페이지수는 59,중간보고서3.의 전체페이지수는 42임.

      중간보고서1.의 전체페이지수는 51, 중간보고서2.의 전체페이지수는 59,중간보고서3.의 전체페이지수는 42임.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중간보고서1.
      Ⅰ. 연구개요(총괄)
      1. 연구목적 및 배경
      2. 연구내용, 범위 및 방법
      Ⅱ. 연구내용
      1. 당초 연구계획
      2.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내용 및 결과
      Ⅲ. 차년도 연구계획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내용, 범위 및 방법
      3. 학문.사회발전에의 기여 및 연구결과의 활용방안

      중간보고서2.
      <붙임1_회의록> 2005년 학술진흥재단 사회과학 심화연구 제1차년
      지방화시대의 사회통합과 지역복지서비스 공급체계의 역동성에 관한 연구
      제1회-제30회 연구세미나

      중간보고서3.
      <붙임2_월례학술세미나 자료집>
      장애인의 사회통합(Social Inclusion)을 위한 자립생활모델 고찰
      Ⅰ. 서 론
      Ⅱ. 사회적 배제와 장애 담론
      Ⅲ. 사회통합적 관점에서의 자립생활모델에 관한 논의
      Ⅳ. 결 론
      아동.청소년의 사회적 배제에 관한 고찰
      Ⅰ. 서론
      Ⅱ. 사회적 배제 개념에 대한 이해
      Ⅲ. 사회적 통합과 배제의 측면에서 본 가출청소년
      Ⅳ. 사회적 통합과 배제의 측면에서 본 폭력가해청소년
      Ⅴ. 사회적 통합과 배제의 측면에서 본 근로청소년
      Ⅵ. 결론
      번역하기

      중간보고서1. Ⅰ. 연구개요(총괄) 1. 연구목적 및 배경 2. 연구내용, 범위 및 방법 Ⅱ. 연구내용 1. 당초 연구계획 2.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내용 및 결과 Ⅲ. 차년도 연...

      중간보고서1.
      Ⅰ. 연구개요(총괄)
      1. 연구목적 및 배경
      2. 연구내용, 범위 및 방법
      Ⅱ. 연구내용
      1. 당초 연구계획
      2. 현재까지 진행된 연구내용 및 결과
      Ⅲ. 차년도 연구계획
      1.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내용, 범위 및 방법
      3. 학문.사회발전에의 기여 및 연구결과의 활용방안

      중간보고서2.
      <붙임1_회의록> 2005년 학술진흥재단 사회과학 심화연구 제1차년
      지방화시대의 사회통합과 지역복지서비스 공급체계의 역동성에 관한 연구
      제1회-제30회 연구세미나

      중간보고서3.
      <붙임2_월례학술세미나 자료집>
      장애인의 사회통합(Social Inclusion)을 위한 자립생활모델 고찰
      Ⅰ. 서 론
      Ⅱ. 사회적 배제와 장애 담론
      Ⅲ. 사회통합적 관점에서의 자립생활모델에 관한 논의
      Ⅳ. 결 론
      아동.청소년의 사회적 배제에 관한 고찰
      Ⅰ. 서론
      Ⅱ. 사회적 배제 개념에 대한 이해
      Ⅲ. 사회적 통합과 배제의 측면에서 본 가출청소년
      Ⅳ. 사회적 통합과 배제의 측면에서 본 폭력가해청소년
      Ⅴ. 사회적 통합과 배제의 측면에서 본 근로청소년
      Ⅵ. 결론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