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부 대학생의 흡연 실태와 구강건강에 관한 인식 및 행태 조사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3989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일부 대학생들의 흡연행태와 흡연자와 비흡연자 간의 흡연에 대한 인식과 구강건강관리행태를 알아보고자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강원도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60명을 대상으로 흡연에 대한 인식과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대해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흡연자의 하루 평균 흡연량은 반 갑 미만이, 흡연기간은 1년∼3년 미만이 가장 높았으며, 흡연을 시작하게 된 동기는 호기심과 주변 권유가 가장 높았고, 흡연이유는 스트레스 해소, 습관적 순으로 나타났다. 2. 흡연유무에 따른 구강건강관리행태 중 1회 잇솔질 시간, 정기적 치과 내원, 최근 치과 내원시기, 치과 방문 목적, 스켈링 및 구강보건교육 경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흡연유무에 따른 구강건강에 대한 인식 중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흡연유무에 따른 흡연에 대한 인식 중 담배, 한 두 개피 정도의 담배, 식후의 담배 및 간접흡연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구강건강관리행태 및 구강건강에 대한 인식, 흡연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므로, 대학생들을 위한 금연교육과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일부 대학생들의 흡연행태와 흡연자와 비흡연자 간의 흡연에 대한 인식과 구강건강관리행태를 알아보고자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강원도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

      본 연구는 일부 대학생들의 흡연행태와 흡연자와 비흡연자 간의 흡연에 대한 인식과 구강건강관리행태를 알아보고자 경상북도, 대구광역시, 강원도에 위치한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 260명을 대상으로 흡연에 대한 인식과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대해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흡연자의 하루 평균 흡연량은 반 갑 미만이, 흡연기간은 1년∼3년 미만이 가장 높았으며, 흡연을 시작하게 된 동기는 호기심과 주변 권유가 가장 높았고, 흡연이유는 스트레스 해소, 습관적 순으로 나타났다. 2. 흡연유무에 따른 구강건강관리행태 중 1회 잇솔질 시간, 정기적 치과 내원, 최근 치과 내원시기, 치과 방문 목적, 스켈링 및 구강보건교육 경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흡연유무에 따른 구강건강에 대한 인식 중 주관적 구강건강상태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흡연유무에 따른 흡연에 대한 인식 중 담배, 한 두 개피 정도의 담배, 식후의 담배 및 간접흡연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흡연자는 비흡연자에 비해 구강건강관리행태 및 구강건강에 대한 인식, 흡연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므로, 대학생들을 위한 금연교육과 구강보건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활성화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oral hygiene and college students‘ smoking awareness. The survey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260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four-year universities located in Kyungbuk, Daegu, Gangwon-do. Collected date used the SPSS 17.0 to perform the frequency and cross-analysis. 1. The daily smoking amounts of less than half pack and the smoking duration of more than 1 year and less than 3 years were to be the highest. The initiation of smoking was triggered by the curiosity and the proximal social environment. The reason of smoking was to relieve stress and habitual smoking respectively.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tooth brushing time, regular dentist visit, recent dental admission, the purpose of dental visits, scaling and oral health education.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awareness of oral hygiene in the subjective oral hygiene status. 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awareness towards the impact of second-hand, after meal and one or two cigarette smoking. Based on the above results, smokers lack the awareness of smoking and oral hygiene compared to non-smokers. Therefore, the activation and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the smoking and oral hygiene education targeting college students are considered to be necessary.
      번역하기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oral hygiene and college students‘ smoking awareness. The survey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260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four-year universities located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oral hygiene and college students‘ smoking awareness. The survey was carried out based on the 260 college students enrolled in four-year universities located in Kyungbuk, Daegu, Gangwon-do. Collected date used the SPSS 17.0 to perform the frequency and cross-analysis. 1. The daily smoking amounts of less than half pack and the smoking duration of more than 1 year and less than 3 years were to be the highest. The initiation of smoking was triggered by the curiosity and the proximal social environment. The reason of smoking was to relieve stress and habitual smoking respectively.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tooth brushing time, regular dentist visit, recent dental admission, the purpose of dental visits, scaling and oral health education.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awareness of oral hygiene in the subjective oral hygiene status. 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awareness towards the impact of second-hand, after meal and one or two cigarette smoking. Based on the above results, smokers lack the awareness of smoking and oral hygiene compared to non-smokers. Therefore, the activation and the development of programs for the smoking and oral hygiene education targeting college students are considered to be necessa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대상 및 방법
      • Ⅲ. 결과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연구대상 및 방법
      • Ⅲ. 결과
      • Ⅳ. 고찰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경순, "흡연자의 치주상태 및 전문가치주관리 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2 박일순, "흡연자와비흡연자의구강환경비교연구" 한국치위생과학회 8 (8): 139-146, 2008

      3 정미애,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구강관리실태 비교 분석" 5 (5): 65-72, 2003

      4 김정숙, "흡연이 치아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대구지역 치기공과 학생을 중심으로" 31 (31): 35-45, 2009

      5 양진영, "흡연이 구강환경에 미치는 영향" 1 (1): 67-73, 2001

      6 이현석, "흡연이 구강 건강에 미치는 영향 : 구강 위생이 양호한 집단의 장기적 연구를 위한 예비 평가"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36 (36): 225-234, 2011

      7 황지민, "흡연원인 구강질환 관점에서 추계한 사회경제적 비용" 대한구강보건학회 34 (34): 613-620, 2010

      8 류황건, "한 지역 고등학생의 흡연율과 흡연 행태에 관한 연구" 9 : 107-128, 2001

      9 김미정, "치과내원 환자의 구강보건에 대한 인식 및 실천과 관련요인"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2010

      10 한국금연운동협의회,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설문지"

      1 한경순, "흡연자의 치주상태 및 전문가치주관리 효과"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2 박일순, "흡연자와비흡연자의구강환경비교연구" 한국치위생과학회 8 (8): 139-146, 2008

      3 정미애, "흡연자와 비흡연자의 구강관리실태 비교 분석" 5 (5): 65-72, 2003

      4 김정숙, "흡연이 치아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대구지역 치기공과 학생을 중심으로" 31 (31): 35-45, 2009

      5 양진영, "흡연이 구강환경에 미치는 영향" 1 (1): 67-73, 2001

      6 이현석, "흡연이 구강 건강에 미치는 영향 : 구강 위생이 양호한 집단의 장기적 연구를 위한 예비 평가" 대한안면통증∙구강내과학회 36 (36): 225-234, 2011

      7 황지민, "흡연원인 구강질환 관점에서 추계한 사회경제적 비용" 대한구강보건학회 34 (34): 613-620, 2010

      8 류황건, "한 지역 고등학생의 흡연율과 흡연 행태에 관한 연구" 9 : 107-128, 2001

      9 김미정, "치과내원 환자의 구강보건에 대한 인식 및 실천과 관련요인"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2010

      10 한국금연운동협의회, "청소년건강행태조사 설문지"

      11 최정민, "임산부의 구강건강관리에 대한 인지도 및 실천도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5

      12 김신정, "일부 대학생의 흡연 실태" 13 (13): 147-160, 2002

      13 류정숙, "일부 군인의 흡연 실태와 구강건강지식, 태도 및 실천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 33 (33): 356-366, 2009

      14 김수진, "일 도시 인문계 남자고등학교 학생들의흡연실태" 7 (7): 363-383, 1998

      15 이여진, "인구학적, 흡연 및 금연관련 요인이 청소년 흡연자의 금연성공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1 (11): 303-311, 2011

      16 강현숙, "여대생의 흡연에 대한 위험지각도" 한국콘텐츠학회 9 (9): 259-267, 2009

      17 보건복지부, "상반기 흡연실태조사 결과" 보건복지부 2011

      18 신성례, "다 학제간 접근방식을이용한 생활금연 프로그램개발과 그 효과에 관한연구" 30 (30): 110-121,

      19 윤정숙, "근로자치주조직병발생에 대한 흡연과 음주 및 매일잇솔질의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보건학회 26 (26): 197-208, 2002

      20 이정희, "구강보건 인식과 실천간의 연관성에 대한 연구" 단국대학교 행정법무대학원 2007

      21 T. J. Butler, "Principles of health education and health premotion" Wadsworth 1900

      22 임현주, "D대학 체육관 이용 20대 성인의 흡연에 따른 구강건강관련 특성 및 골밀도 비교연구" 한국치위생학회 10 (10): 1121-1128,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