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COPUS KCI등재

      자궁경부암 방사선치료시 Squamous Cell Carcinoma Antigen(Scc) 과 Carcinoembryonic Antigen(CEA) 의 종양표지자로서의 의의 = Pre-radotherapy and Post-radiotherapy Serial Serum Squamous Cell Carcinoma Antigen (SCC) and Carcinoembryonic Antigen (CEA) in the Monitoring of Squamous Cell Carcinoma of Uterine Cervix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7835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 적: 자궁경부암의 치료후의 재발이나 병소의 지속을 발견하기 위한 종양표지자로서의 squamous cell carcinoma antigen(SCC)와 carcinoembryonic antigen(CEA)의 의의를 확인하고 향후의 치료시에 참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1995년 10월부터 1998년 8월까지 단국대학교 치료방사선과에서 원발성 자궁경부암으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받은 환자 중 22례를 대상으로 하였고 방사선치료전에 MRI 나 초음파를 시행하여 종양의 체적을 구하였으며 방사선치료 전에 SCC와 CEA를 측정하였고 치료후에도 주기적으로 SCC와CEA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방사선 치료전에 측정한 SCC치는 전체 22례중 68.2%에서 상승되어 있었으며, CEA치는 측정이 이루어진 21례 중 19.0% 에서 상승되어 있었다. 종괴의 부피와 치료전의 SCC치의 관련성은 극단적으로 벗어난 1례를 제외하면 상관계수가 0.59382로 상당히 컸다. 종괴의 부피증가에 따른 CEA치의 증가경향은 엾었다. 치료후의 SCC치는 9.1%에서 CEA치는 측정이 이루어진 21례 중 4.8%에서 상승되어 있었다. 방사선치료전에 SCC치가 상승되어 있었던 15례중 14례에서 완전관해의
      소견을 보였으며 그 14례중 SCC 치가 정상 범위로 낮아진 경우가 13례(92.9%)였다. SCC 치가 치료 전에 상승되어 있다가 치료후에 정상화 된 13례 중 5례에서 SCC치의 정상 범위 이상의 재상승이 나타났는데 그 중 4례는 국소실패(3례) 혹은 국소 및 주의 민감도는 100%, 특이도는 93.8%, 양성예측도는 85.7%였다. SCC의 재상승이 있은 후 임상적 재발을 발견할 때까지의 시간차이(lead time)는 평균 1.2개월 이었다. CEA는 치료전 높았던 4례 모두에서 치료 후 완전관해시에 정상화되었고 이들 중 재발한 경우는 없었다.
      결 론:본 연구에서 SCC와 CEA 는 치료전의 값이 상승되어 있었던 경우는 치료에 대한 반응과 재발을 monitor하는데 좋은 종양표지자로 나타났다. 그러나 치료전 SCC치가 민감도가 높은데 비해 CEA 치는 민감도가 낮으며 CEA와 SCC를 모두 측정한 경우가 SCC만 측정한 경우에 비해 예후의 관찰에 유리한 점이 없었다.
      번역하기

      목 적: 자궁경부암의 치료후의 재발이나 병소의 지속을 발견하기 위한 종양표지자로서의 squamous cell carcinoma antigen(SCC)와 carcinoembryonic antigen(CEA)의 의의를 확인하고 향후의 치료시에 참고하고...

      목 적: 자궁경부암의 치료후의 재발이나 병소의 지속을 발견하기 위한 종양표지자로서의 squamous cell carcinoma antigen(SCC)와 carcinoembryonic antigen(CEA)의 의의를 확인하고 향후의 치료시에 참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1995년 10월부터 1998년 8월까지 단국대학교 치료방사선과에서 원발성 자궁경부암으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받은 환자 중 22례를 대상으로 하였고 방사선치료전에 MRI 나 초음파를 시행하여 종양의 체적을 구하였으며 방사선치료 전에 SCC와 CEA를 측정하였고 치료후에도 주기적으로 SCC와CEA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방사선 치료전에 측정한 SCC치는 전체 22례중 68.2%에서 상승되어 있었으며, CEA치는 측정이 이루어진 21례 중 19.0% 에서 상승되어 있었다. 종괴의 부피와 치료전의 SCC치의 관련성은 극단적으로 벗어난 1례를 제외하면 상관계수가 0.59382로 상당히 컸다. 종괴의 부피증가에 따른 CEA치의 증가경향은 엾었다. 치료후의 SCC치는 9.1%에서 CEA치는 측정이 이루어진 21례 중 4.8%에서 상승되어 있었다. 방사선치료전에 SCC치가 상승되어 있었던 15례중 14례에서 완전관해의
      소견을 보였으며 그 14례중 SCC 치가 정상 범위로 낮아진 경우가 13례(92.9%)였다. SCC 치가 치료 전에 상승되어 있다가 치료후에 정상화 된 13례 중 5례에서 SCC치의 정상 범위 이상의 재상승이 나타났는데 그 중 4례는 국소실패(3례) 혹은 국소 및 주의 민감도는 100%, 특이도는 93.8%, 양성예측도는 85.7%였다. SCC의 재상승이 있은 후 임상적 재발을 발견할 때까지의 시간차이(lead time)는 평균 1.2개월 이었다. CEA는 치료전 높았던 4례 모두에서 치료 후 완전관해시에 정상화되었고 이들 중 재발한 경우는 없었다.
      결 론:본 연구에서 SCC와 CEA 는 치료전의 값이 상승되어 있었던 경우는 치료에 대한 반응과 재발을 monitor하는데 좋은 종양표지자로 나타났다. 그러나 치료전 SCC치가 민감도가 높은데 비해 CEA 치는 민감도가 낮으며 CEA와 SCC를 모두 측정한 경우가 SCC만 측정한 경우에 비해 예후의 관찰에 유리한 점이 없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squaous cell carcinoma antigen (SCC) and carcinoembryonic anti antigen
      (CEA) as tumor markers in uterine cervix 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In 22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proven primary squamous cell carcinoma of uterine cervix, tumor volume was checked either by using MRI (in 20 patients) or ultrasound (in 2 patients)or ultrasound (in 2 partients). Pre -treatment serum SCC levels were checked in 22 patients and CEA levels in 21 patients.
      Ather curative radiotherapy, post-treatment SCC and CEA were checked reqularly
      Results:SCC was raised in 68.2% and CEA was raised in 19.0% before treatment. The coefficinoma of correlation
      between tumor volume and pre -reatment SCC was 0.59382 when one extremely deviated case was excluded . And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umor volume and CEA. After the treatment , SCC was raised in 9.1% and CEA.
      After the raise of SCC was associated with clinical relapse or persistence of disease. The specificity of raised SCC level in association with recurrent or persistent disease was 93.8%. The sencificity in association with recurrent or persistent disease was 100%.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s was 85.7%. The median lead time for recurrence was 1.2months.
      Conclusion:Both SCC and CEA were good tumor for monitoring treatment effect in patints with raised pre-treatment
      levels. But the sensitivity of pretreatment CEA was low, while that of pretreatment SCC was high. And there was no additional gain by adding CEA measurements to SCC measurements.
      번역하기

      Purpose: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squaous cell carcinoma antigen (SCC) and carcinoembryonic anti antigen (CEA) as tumor markers in uterine cervix 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In 22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proven primary squamous cell ...

      Purpose: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squaous cell carcinoma antigen (SCC) and carcinoembryonic anti antigen
      (CEA) as tumor markers in uterine cervix 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In 22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proven primary squamous cell carcinoma of uterine cervix, tumor volume was checked either by using MRI (in 20 patients) or ultrasound (in 2 patients)or ultrasound (in 2 partients). Pre -treatment serum SCC levels were checked in 22 patients and CEA levels in 21 patients.
      Ather curative radiotherapy, post-treatment SCC and CEA were checked reqularly
      Results:SCC was raised in 68.2% and CEA was raised in 19.0% before treatment. The coefficinoma of correlation
      between tumor volume and pre -reatment SCC was 0.59382 when one extremely deviated case was excluded . And
      there was no correlation between tumor volume and CEA. After the treatment , SCC was raised in 9.1% and CEA.
      After the raise of SCC was associated with clinical relapse or persistence of disease. The specificity of raised SCC level in association with recurrent or persistent disease was 93.8%. The sencificity in association with recurrent or persistent disease was 100%. The positive predictive values was 85.7%. The median lead time for recurrence was 1.2months.
      Conclusion:Both SCC and CEA were good tumor for monitoring treatment effect in patints with raised pre-treatment
      levels. But the sensitivity of pretreatment CEA was low, while that of pretreatment SCC was high. And there was no additional gain by adding CEA measurements to SCC measurement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