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문요약]
- 1. 들어가는 말
- 2. 박세당의 현실 인식과 대응 방안
- 3. 주자학의 본체론적 사유에 대한 부정
- 4. ‘행기처물(行己處物)’의 학문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650602
2014
Korean
학술저널
377-406(30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목민심서(牧民心書)』의 글쓰기 방식과 공공성(公共性)