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McLuhan의 매체론에서 본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지식창조과정 모형 개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0871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본 연구는 연구는 매체를 하나의 인식론으로 바라보는 McLuhan의 관점을 중심으로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지식창조과정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H 사이버대학의 ‘디자인 졸업프로젝트‘를 사례로 선정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창조에 관계하는 매체의 의미는 인간의 신체 혹은 감각기관을 확장시킨다. 또한, 매체는 그자체로서 인간에게 심리적 · 사회적 영향을 미치는 메시지가 되며, 인간의 촉각을 자극하는 마사지이다. 둘째,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지식창조과정에서 매체와의 상호작용방법은 암묵지를 형식지로 전환하는 공유화 단계와 형식지를 암묵지로 전환하는 표출화 단계로 구분된다. 각 단계에서 학습자는 기초 수준에서 매 체와 상호작용하였지만, 교수자의 도움을 받아 심화 수준에서 매체와 상호작용하였다. 셋째 ,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매체의 사용수준을 높이기 위한 교육적 지원방안은 McLuhan이 주장한 예술가를 지향하며, 두 가지 범주에서 외파적 지원방안과 내파적 지원방안으로 분류된다.
      본 연구는 학습자와 매체의 직접적인 연계를 통해 지식창조과정을 규명하고, 실생활에 존재하는 현상을 사례로 선정하여 암묵지를 형식지로 전환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의의를 가진다. 또한, 기업조직에서 널리 활용되는 SECI 모델을 학교조직에 맞춰 재해석하고, 학습자가 매체의 사용 수준을 넘어 매체를 창조할 수 있는 가능성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활용적인 의의를 의의를 지닌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연구는 매체를 하나의 인식론으로 바라보는 McLuhan의 관점을 중심으로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지식창조과정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H 사이버대학의 ‘디자인 졸업프...

      본 연구는 연구는 매체를 하나의 인식론으로 바라보는 McLuhan의 관점을 중심으로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지식창조과정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H 사이버대학의 ‘디자인 졸업프로젝트‘를 사례로 선정하여,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식창조에 관계하는 매체의 의미는 인간의 신체 혹은 감각기관을 확장시킨다. 또한, 매체는 그자체로서 인간에게 심리적 · 사회적 영향을 미치는 메시지가 되며, 인간의 촉각을 자극하는 마사지이다. 둘째,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지식창조과정에서 매체와의 상호작용방법은 암묵지를 형식지로 전환하는 공유화 단계와 형식지를 암묵지로 전환하는 표출화 단계로 구분된다. 각 단계에서 학습자는 기초 수준에서 매 체와 상호작용하였지만, 교수자의 도움을 받아 심화 수준에서 매체와 상호작용하였다. 셋째 , 사이버대학 학습자의 매체의 사용수준을 높이기 위한 교육적 지원방안은 McLuhan이 주장한 예술가를 지향하며, 두 가지 범주에서 외파적 지원방안과 내파적 지원방안으로 분류된다.
      본 연구는 학습자와 매체의 직접적인 연계를 통해 지식창조과정을 규명하고, 실생활에 존재하는 현상을 사례로 선정하여 암묵지를 형식지로 전환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학문적인 의의를 가진다. 또한, 기업조직에서 널리 활용되는 SECI 모델을 학교조직에 맞춰 재해석하고, 학습자가 매체의 사용 수준을 넘어 매체를 창조할 수 있는 가능성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활용적인 의의를 의의를 지닌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akao i 다국어 번역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knowledge-creating process of learners in a cyber university, as seen in McLuhan’s theory of medium. To attain the objective, selecting ‘a Graduate Design Projecta of H University as a case for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 the meaning of media was expressed media is extensions. of sense. Not only media itself is message of psychological and social effects, but also it is massage stimulating tactual sense of human. Second, the methods in which learners in a cyber university interact with media in the knowledge-creating process are divided into 2 stages: One is a socialization stage in which implicit knowledge is converted into explicit knowledge and the other is the externalization stage where explicit knowledge is converted into implicit knowledge. In each stage, the learners interacted with media at basic level at first but interacted more deeply with it by help of a instructor. Third, the educational plan for the learners to use media proficiently is to lead them to aim for being ‘artist’. The educational plans divided into ‘implosive support’ and ‘explosive support’.
      This study finds the knowledge-creating process through the directlink between learners and media; selected a real case; and presented a specific process in which implicate knowledge is converted into explicit knowledge. In addition, another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reinterpreted SECI model that is widely used in business organization into school organization and suggested a potential of learners to create media beyond simple use of it.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knowledge-creating process of learners in a cyber university, as seen in McLuhan’s theory of medium. To attain the objective, selecting ‘a Graduate Design Projecta of H University as a case for qualita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knowledge-creating process of learners in a cyber university, as seen in McLuhan’s theory of medium. To attain the objective, selecting ‘a Graduate Design Projecta of H University as a case for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 the meaning of media was expressed media is extensions. of sense. Not only media itself is message of psychological and social effects, but also it is massage stimulating tactual sense of human. Second, the methods in which learners in a cyber university interact with media in the knowledge-creating process are divided into 2 stages: One is a socialization stage in which implicit knowledge is converted into explicit knowledge and the other is the externalization stage where explicit knowledge is converted into implicit knowledge. In each stage, the learners interacted with media at basic level at first but interacted more deeply with it by help of a instructor. Third, the educational plan for the learners to use media proficiently is to lead them to aim for being ‘artist’. The educational plans divided into ‘implosive support’ and ‘explosive support’.
      This study finds the knowledge-creating process through the directlink between learners and media; selected a real case; and presented a specific process in which implicate knowledge is converted into explicit knowledge. In addition, another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reinterpreted SECI model that is widely used in business organization into school organization and suggested a potential of learners to create media beyond simple use of i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요약〉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 결과 및 해석
      • Ⅴ.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