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온라인 동영상 한국어 수업에 대한 교사 인식 조사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2942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검토
      • Ⅲ. P대학교 한국어교육원 온라인
      •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검토
      • Ⅲ. P대학교 한국어교육원 온라인
      • Ⅳ. 설문 조사 및 결과
      • 4.1 설문 대상
      • 4.2 1차 설문 조사 결과
      • 4.3 2차 설문 조사 결과
      • Ⅴ. 결론
      • REFERENCE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희연, "한국어 온라인 동영상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조사 연구"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1 (11): 1305-1318, 2020

      2 한상미, "한국어 교육을 위한 대중 공개온라인 강좌(MOOC) 개발의 원리와 실제 - ‘Learn to Speak Korean 1’사례를 중심으로 -"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5 : 357-390, 2016

      3 진정란, "한국어 교육용 온라인 콘텐츠의 현황과 개발 과제" 외국어교육연구소 27 (27): 149-175, 2013

      4 강승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대중 공개 온라인 강좌(MOOCs) 개발과 운영 실제 - ‘First Step Korean’ 사례를 중심으로 -"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4 : 1-22, 2016

      5 한상미, "온라인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37 : 411-448, 2012

      6 최은지, "실시간 화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사이버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성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9 (29): 181-208, 2018

      7 최정선,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 및 만족도 연구 : D대학교 한국어 교육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회 (81) : 135-168, 2020

      8 조인옥,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의 운영 사례와 개선 방향 - 한국어 교육기관의 전면적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58 : 241-265, 2020

      9 한상미, "대중 공개 온라인 강좌(MOOCs)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작 원리 연구 -‘Learn to Speak Korean 1’ 사례를 중심으로-"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8 : 107-136, 2018

      10 안정호, "대중 공개 온라인 강좌(MOOC) 한국어 수업의 상호작용 양상 고찰"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53 : 77-100, 2019

      1 정희연, "한국어 온라인 동영상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조사 연구"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1 (11): 1305-1318, 2020

      2 한상미, "한국어 교육을 위한 대중 공개온라인 강좌(MOOC) 개발의 원리와 실제 - ‘Learn to Speak Korean 1’사례를 중심으로 -"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5 : 357-390, 2016

      3 진정란, "한국어 교육용 온라인 콘텐츠의 현황과 개발 과제" 외국어교육연구소 27 (27): 149-175, 2013

      4 강승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대중 공개 온라인 강좌(MOOCs) 개발과 운영 실제 - ‘First Step Korean’ 사례를 중심으로 -"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4 : 1-22, 2016

      5 한상미, "온라인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37 : 411-448, 2012

      6 최은지, "실시간 화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사이버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성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9 (29): 181-208, 2018

      7 최정선,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 및 만족도 연구 : D대학교 한국어 교육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회 (81) : 135-168, 2020

      8 조인옥,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의 운영 사례와 개선 방향 - 한국어 교육기관의 전면적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58 : 241-265, 2020

      9 한상미, "대중 공개 온라인 강좌(MOOCs)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작 원리 연구 -‘Learn to Speak Korean 1’ 사례를 중심으로-"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8 : 107-136, 2018

      10 안정호, "대중 공개 온라인 강좌(MOOC) 한국어 수업의 상호작용 양상 고찰"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53 : 77-100, 2019

      11 김성숙, "대중 공개 강좌(MOOC)를 위한 한국어 교육 모형 개발 사례 : 글로벌 MOOC와 K-MOOC"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4 : 85-130, 2016

      12 김성숙, "글로벌 무크를 위한 한국어 교육 모형 개발" 한국 리터러시 학회 (16) : 89-113, 2016

      13 Ministry of Education, "Establishment of operating standards for systematic remote classes"

      14 H. I. Zo, "A grope about the next Korean teacher’s knowledge & practical ability for class management" 11 (11): 117-140,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4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