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약
- Abstract
- Ⅰ. 서론
- Ⅱ. 선행연구 검토
- Ⅲ. P대학교 한국어교육원 온라인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294247
2021
Korean
506
KCI등재
학술저널
124-133(10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희연, "한국어 온라인 동영상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조사 연구"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1 (11): 1305-1318, 2020
2 한상미, "한국어 교육을 위한 대중 공개온라인 강좌(MOOC) 개발의 원리와 실제 - ‘Learn to Speak Korean 1’사례를 중심으로 -"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5 : 357-390, 2016
3 진정란, "한국어 교육용 온라인 콘텐츠의 현황과 개발 과제" 외국어교육연구소 27 (27): 149-175, 2013
4 강승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대중 공개 온라인 강좌(MOOCs) 개발과 운영 실제 - ‘First Step Korean’ 사례를 중심으로 -"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4 : 1-22, 2016
5 한상미, "온라인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37 : 411-448, 2012
6 최은지, "실시간 화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사이버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성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9 (29): 181-208, 2018
7 최정선,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 및 만족도 연구 : D대학교 한국어 교육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회 (81) : 135-168, 2020
8 조인옥,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의 운영 사례와 개선 방향 - 한국어 교육기관의 전면적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58 : 241-265, 2020
9 한상미, "대중 공개 온라인 강좌(MOOCs)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작 원리 연구 -‘Learn to Speak Korean 1’ 사례를 중심으로-"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8 : 107-136, 2018
10 안정호, "대중 공개 온라인 강좌(MOOC) 한국어 수업의 상호작용 양상 고찰"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53 : 77-100, 2019
1 정희연, "한국어 온라인 동영상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조사 연구"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11 (11): 1305-1318, 2020
2 한상미, "한국어 교육을 위한 대중 공개온라인 강좌(MOOC) 개발의 원리와 실제 - ‘Learn to Speak Korean 1’사례를 중심으로 -"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5 : 357-390, 2016
3 진정란, "한국어 교육용 온라인 콘텐츠의 현황과 개발 과제" 외국어교육연구소 27 (27): 149-175, 2013
4 강승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대중 공개 온라인 강좌(MOOCs) 개발과 운영 실제 - ‘First Step Korean’ 사례를 중심으로 -"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4 : 1-22, 2016
5 한상미, "온라인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37 : 411-448, 2012
6 최은지, "실시간 화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사이버 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성결혼이민자를 중심으로-"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9 (29): 181-208, 2018
7 최정선, "실시간 온라인 수업에 대한 교수자의 인식 및 만족도 연구 : D대학교 한국어 교육기관의 사례를 중심으로" 동악어문학회 (81) : 135-168, 2020
8 조인옥,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의 운영 사례와 개선 방향 - 한국어 교육기관의 전면적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58 : 241-265, 2020
9 한상미, "대중 공개 온라인 강좌(MOOCs)를 위한 한국어 교재 개작 원리 연구 -‘Learn to Speak Korean 1’ 사례를 중심으로-"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8 : 107-136, 2018
10 안정호, "대중 공개 온라인 강좌(MOOC) 한국어 수업의 상호작용 양상 고찰"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53 : 77-100, 2019
11 김성숙, "대중 공개 강좌(MOOC)를 위한 한국어 교육 모형 개발 사례 : 글로벌 MOOC와 K-MOOC"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44 : 85-130, 2016
12 김성숙, "글로벌 무크를 위한 한국어 교육 모형 개발" 한국 리터러시 학회 (16) : 89-113, 2016
13 Ministry of Education, "Establishment of operating standards for systematic remote classes"
14 H. I. Zo, "A grope about the next Korean teacher’s knowledge & practical ability for class management" 11 (11): 117-140, 2015
리얼리티 공간과 디지털액터 - <아바타>, <레디플레이어 원>을 중심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성격특성, 행복감 및 교직적성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