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쉴드 TBM 뒤채움용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의 개발 및 적합성 평가 = Development of inorganic thixotropic-grout for backfilling of shield TBM tail voids and its compati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7767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쉴드 TBM 테일 보이드 동시주입용 가소성 그라우트의 적합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강도특성, 수중 재료분리현상 및 점도특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는 쉴드 TBM ...

      본 연구는 쉴드 TBM 테일 보이드 동시주입용 가소성 그라우트의 적합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강도특성, 수중 재료분리현상 및 점도특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는 쉴드 TBM 뒤채움 그라우트 주입 시 시멘트, 물, MG-A로 구성된 A액과 스칼렛, 물, MG-B로 구성된 B액을 주입하는 2액성 그라우트 주입공법이다. 적정 배합비로 제작된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의 일축압축강도는 초기강도 및 장기강도 기준을 만족하는 결과를 보였다. 지하수가 존재하는 현장에서 그라우트 주입 시 발생하는 재료분리현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기존 현장에서 적용된 규산계 그라우트와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를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 규산계 그라우트에서 발생하는 재료분리 현상이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의 장거리 이송에 대한 현장 적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A, B액의 점도를 측정한 결과 A, B액 모두 120분 이상 2000 cP 이하가 측정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추후 현장적용 시 A, B액의 원활한 이송이 가능한 점도를 확보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suitability of a thixotropic grout developed in this study has been examined through laboratory tests on strength, segregation, and viscosity. The thixotropic grout is a mixture of two types of liquid components. The A-liquid component consists of c...

      A suitability of a thixotropic grout developed in this study has been examined through laboratory tests on strength, segregation, and viscosity. The thixotropic grout is a mixture of two types of liquid components. The A-liquid component consists of cement, water, and MG-A and the B-liquid component consists of scarlet, water, and MG-B. Unconfined compressive strength of specimens prepared with a prefer mix-proportion satisfied a design criteria for the backfilling of tail voids. A material segregation phenomenon under water condition was not observed in the thixotropic grout whereas it was observed in the existing silica-type grout. In addition, viscosity tests have been rallied out on the thixotropic grout to verify the capability of a long-distance delivery in the field. Both the A-liquid component and the B-liquid component maintained a viscosity of below 2,000 cP for 120 minutes. This experimental result confirms that two liquid components guarantees a long-distance delivery in tile field appli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건설교통부, "터널설계기준" 씨아이알 120-121, 2007

      2 (사)한국터널공학회, "터널공학시리즈3 터널 기계화시공 설계편" 씨아이알 472-482, 2008

      3 일본토목학회, "터널 표준시방서(쉴드공법편)・동해설"

      4 류동성, "실리카 콜로이드를 이용한 가소성 그라우트의 개발 및공학적 특성" 2005

      5 서울특별시, "서울지하철 7호선연장(온수~부평구청) 703공구 건설공사"

      6 류용선, "무기질계 지반주입재의 내구성 및 환경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2008

      7 정경환,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의 개발 및 공학적 특성" 2008

      8 (사)한국터널공학회, "대형・대단면 지하공간 창출을 위한 지하공간 건설기술" 213-215, 2006

      9 윤현돈, "대구경 쉴드터널의 시공 - 서울지하철 909공구 중심으로" 89-102, 2005

      1 건설교통부, "터널설계기준" 씨아이알 120-121, 2007

      2 (사)한국터널공학회, "터널공학시리즈3 터널 기계화시공 설계편" 씨아이알 472-482, 2008

      3 일본토목학회, "터널 표준시방서(쉴드공법편)・동해설"

      4 류동성, "실리카 콜로이드를 이용한 가소성 그라우트의 개발 및공학적 특성" 2005

      5 서울특별시, "서울지하철 7호선연장(온수~부평구청) 703공구 건설공사"

      6 류용선, "무기질계 지반주입재의 내구성 및 환경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2008

      7 정경환, "무기계 가소성 그라우트의 개발 및 공학적 특성" 2008

      8 (사)한국터널공학회, "대형・대단면 지하공간 창출을 위한 지하공간 건설기술" 213-215, 2006

      9 윤현돈, "대구경 쉴드터널의 시공 - 서울지하철 909공구 중심으로" 89-102,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터널공학회 -> 사단법인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영문명 : 미등록 ->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KCI등재
      2011-01-2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터널기술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5-2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UNNELLING TECHNOLOGY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4 0.44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2 0.38 0.634 0.1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