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이후의 시점에 따른 관광객의 관광 활동 참여 패턴을 비교분석 했다. 이를 위해서 경기관광공사에서 실시한 “2019 경기관광 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208131
박득희 (국민대학교)
2022
Korean
Tourism activity ; Social network analysis ; COVID-19 ; Gyeonggi province ; Secondary data ; 관광 활동 ; 사회연결망 분석 ; 코로나19 ; 경기도 ; 2차 자료
KCI등재
학술저널
115-128(14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이후의 시점에 따른 관광객의 관광 활동 참여 패턴을 비교분석 했다. 이를 위해서 경기관광공사에서 실시한 “2019 경기관광 실...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이후의 시점에 따른 관광객의 관광 활동 참여 패턴을 비교분석 했다. 이를 위해서 경기관광공사에서 실시한 “2019 경기관광 실태조사”와 “2021 경기관광 실태조사”원자료를 연구 목적에 알맞게 정제한 후 사회연결망 분석 기법 중 밀도 분석, 정규화된 위세 중심성 분석, QAP 상관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는 링크 수, 밀도 지수에서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이후의 관광 활동 연결망 간에는 차이가 있었다. 둘째, QAP 상관분석 결과, 코로나19 발생 이전과 이후 관광 활동 연결망 간에는 낮은 유사성을 가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을 확인했다. 셋째, 코로나19 발생에 따라 동시 참여 관광 활동의 유형과 빈도에 차이가 있음을 보여줬다. 끝으로, 정규화된 위세 중심성 분석 결과,강/바다/산/호수, 문화/역사 체험 유형이 코로나19 발생 이전의 연결망에서 핵심 관광 활동이었지만, 코로나19 발생 이후 연결망에서는 박물관/미술관, 이색 체험이 주요한 관광 활동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관광 활동과 관련한 연구의 확장에 관한 이론적 시사점과 향후 경기도의 관광 경쟁력 향상을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했다. 이와 더불어 본 연구가 가진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해 결론에 제시했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장병주 ; 허종국, "포스트 코로나 시대 글로벌 관광전략에 관한 연구: 안동시를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32 (32): 91-103, 2020
2 신서영 ; 이범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외식에 대한 소비자 인식 분석: 토픽모델링 및 네트워크 분석의 활용"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30 (30): 71-90, 2021
3 홍민정 ; 오문향, "코로나19 확산에 대한 국내 잠재 관광객의 감정 반응 연구: 의미론적 네트워크 분석의 활용" 대한관광경영학회 35 (35): 47-65, 2020
4 양승훈, "코로나19 팬데믹과 슬로시티 관광: SNS 및 뉴스의 의미연결망 분석" 융합관광콘텐츠학회 7 (7): 79-92, 2021
5 박득희, "코로나19 발병 전⋅후로 나타난 안동관광에 대한 변화된 여론 및 관광 니즈의 분석: 소셜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텍스트 마이닝과 의미연결망 분석"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30 (30): 231-246, 2021
6 최대성, "처음방문객과 재방문객의 관광 활동, 방문 장소 차이연구 : 오키나와를 방문하는 한국인 관광객을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9 (29): 71-87, 2020
7 dagvadorj amarjargal ; 김학선 ; 김우곤,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음식관광 향후 방향에 관한 연구: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시기를 중심으로" (사)한국조리학회 26 (26): 272-282, 2020
8 한국관광공사,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활용 국내관광 트렌드 분석 및 2019 트렌드 전망" 2018
9 김재현 ; 이형룡,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코로나19 발생 전후 관광객의 캠핑 인식 변화 비교: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30 (30): 117-134, 2021
10 박득희 ; 강상훈 ; 이계희,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관광객들의 관광정보 탐색 행동의 구조적 특징 : 메르스(MERS)발생 이전과 이후 비교" 서울연구원 18 (18): 145-158, 2017
1 장병주 ; 허종국, "포스트 코로나 시대 글로벌 관광전략에 관한 연구: 안동시를 중심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32 (32): 91-103, 2020
2 신서영 ; 이범준,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외식에 대한 소비자 인식 분석: 토픽모델링 및 네트워크 분석의 활용"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30 (30): 71-90, 2021
3 홍민정 ; 오문향, "코로나19 확산에 대한 국내 잠재 관광객의 감정 반응 연구: 의미론적 네트워크 분석의 활용" 대한관광경영학회 35 (35): 47-65, 2020
4 양승훈, "코로나19 팬데믹과 슬로시티 관광: SNS 및 뉴스의 의미연결망 분석" 융합관광콘텐츠학회 7 (7): 79-92, 2021
5 박득희, "코로나19 발병 전⋅후로 나타난 안동관광에 대한 변화된 여론 및 관광 니즈의 분석: 소셜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텍스트 마이닝과 의미연결망 분석"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30 (30): 231-246, 2021
6 최대성, "처음방문객과 재방문객의 관광 활동, 방문 장소 차이연구 : 오키나와를 방문하는 한국인 관광객을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9 (29): 71-87, 2020
7 dagvadorj amarjargal ; 김학선 ; 김우곤, "의미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음식관광 향후 방향에 관한 연구: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시기를 중심으로" (사)한국조리학회 26 (26): 272-282, 2020
8 한국관광공사,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활용 국내관광 트렌드 분석 및 2019 트렌드 전망" 2018
9 김재현 ; 이형룡,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코로나19 발생 전후 관광객의 캠핑 인식 변화 비교: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30 (30): 117-134, 2021
10 박득희 ; 강상훈 ; 이계희,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를 활용한 관광객들의 관광정보 탐색 행동의 구조적 특징 : 메르스(MERS)발생 이전과 이후 비교" 서울연구원 18 (18): 145-158, 2017
11 설광수 ; 김정동 ; 심형남 ; 백두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사용자 간의 친밀도 측정 기법 및 실험" 한국정보과학회 39 (39): 335-341, 2012
12 곽기영, "소셜 네트워크 분석" 청람 2017
13 박득희 ; 강상훈,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해양쓰레기 유형 도출: 코로나19 발생 전 그리고 후 비교" 한국자료분석학회 24 (24): 283-295, 2022
14 강상훈 ; 박득희, "다목적지 여행에서 관광 목적지 간의 연결 패턴 조사: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한국관광학회 44 (44): 107-124, 2020
15 박득희, "다(多) 관광활동 행동에서 관광활동 간의 연결 패턴 조사 : 경기도를 사례로"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3 (23): 31-54, 2021
16 김영남 ; 홍성화, "뉴노멀(New Normal) 2.0 시대의 관광: 코로나19 유행 기간 제주 방문 관광객 IPA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마이스관광학회 20 (20): 143-161, 2020
17 박득희,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코로나19 발생 전⋅후 안동의 관광공간 구조 파악"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31 (31): 113-126, 2022
18 컨슈머인사이트, "국내여행 트렌드 예측:비포코로나 vs 애프터코로나"
19 김미라 ; 윤정헌, "관광활동, 치유체험 및 생활만족의 영향관계" 한국마이스관광학회 19 (19): 23-43, 2019
20 김미라 ; 윤정헌, "관광활동, 인성 및 자기인식의 영향관계" 한국마이스관광학회 20 (20): 51-73, 2020
21 이세나 ; 이정원, "관광객의 라이프스타일, 관광활동, 만족간의 영향 관계에 관한 연구"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9 (29): 21-35, 2017
22 박득희 ; 강상훈, "경기도를 방문한 외래 관광객들의 관광활동 참여 패턴 비교 : 시간적 거리 관점에서" 재단법인 경기연구원 23 (23): 305-326, 2021
23 "경기관광포털"
24 Kang, S., "Understanding tourist information search behaviour : The power and insight of social network analysis" 24 (24): 403-423, 2021
25 Leiper, N., "The framework of tourism : Towards a definition of tourism, tourist, and the tourist industry" 6 (6): 390-407, 1979
26 Kah, J. A., "Spatial-temporal distances in travel intention-behavior" 57 : 160-175, 2016
27 Prell, C., "Social network analysis: History, theory and methodology" SAGE 2012
28 Hanneman, R. A, "Introduction to social network methods" University of California
29 Kang, S., "Identifying the spatial structure of the tourist attraction system in South Korea using GIS and network analysis: An application of anchor point theory" (9) : 358-370, 2018
30 Nooy, D. Y., "Exploratory Social Network Analysis with Paje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5
31 Ruan, W., "Applying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to understand international tourists’ behavioural intentions under the threat of air pollution : A case of Beijing, China" 23 (23): 2027-2041, 2020
32 Park, D., "Application of social media analytics in tourism crisis communication" 22 (22): 1810-1824, 2019
33 Li, Q., "Always best or good enough? The effect of mind-set on preference consistency over time in tourist decision making" (75) : 186-201, 2019
34 Talpur, A., "A study of tourist sequential activity pattern through location based social network (LBSN)" IEEE 1-8, 2018
35 한국관광공사, "2021 국내여행 트렌드:B.E.T.W.E.E.N"
다수준분석을 활용한 외식서비스 종사원의 긍정심리자본과 조직시민행동이 고객참여행동과 고객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레스토랑 서비스 실패에 따른 부정적 리뷰가 감정반응 및 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가격수준과 이모티콘의 효과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하여 감염병에 따른 호텔산업 이슈에 관한 연구: 사스, 신종플루, 메르스, 코로나19를 중심으로
유튜브 랜선투어의 경험가치가 지역 이미지, 장소 애착 및 관광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8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HTA) -> Korean Hospitality and Tourism Academe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5-11-27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Korean Hospitality and Tourism Academe(KOHTA) -> (KHTA) | ![]() |
2015-05-19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 ->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영문명 :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Kasha) -> Korean Hospitality and Tourism Academe(KOHTA)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9-27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 Academic Society of Hotel Administration ->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KJHT)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8-13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호텔경영학회 -> 한국호텔외식경영학회영문명 :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Kasha) ->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Kasha)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5-05-26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Korean Journal of Hotel Administration ->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Hotel Administration -> Korean Journal of Hospitality Administration | ![]() |
2005-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62 | 2.62 | 2.6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68 | 2.64 | 3.073 | 0.5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