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중학교 수학 교과서의 정보처리 능력과 관련된 과제에 나타난 컴퓨팅 사고력 분석 = Computational Thinking in the Tasks Related Information-Processing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7563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컴퓨터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그 중요성이 점점 더 강조되고 있는 컴퓨팅 사고력이 2015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중학교 수학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면밀히 분석하고 ...

      본 연구는 컴퓨터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그 중요성이 점점 더 강조되고 있는 컴퓨팅 사고력이 2015개정 교육과정을 반영한 중학교 수학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면밀히 분석하고 진단하여 향후 교과서 개발이나 수학교육에서의 컴퓨팅 사고력 관련 연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중학교 1~3학년 수학교과서 8종에서 정보처리 관련과제로 명기된 191개 과제를 대상으로, Weintrop et al.(2016)의 컴퓨팅 사고력 분류 체계를 보완한 분석틀을 구성하여 코딩한 결과를 통해, 하위요소 간, 교과서 간 과제에서의 차이와 특징을 양적, 질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컴퓨팅 사고력의 실천(practices) 간, 하위요소 간의 편차도 매우 컸으며, 교과서별로도 큰 차이를 보였다. 질적으로도 동일한 수학 개념을 다룬과제라 하더라도 요구되는 컴퓨팅 사고력의 차이가 뚜렷했으며, 동일한 컴퓨팅 사고력으로 분류된 과제라 하더라도 질적으로 그 내용과 제공되는 경험이 달랐다. 전반적으로 컴퓨팅 사고력의 학습기회가 충분히 제공되고 있다고 보기 어려웠으며 결과로부터 향후 컴퓨팅 사고력에 관한 수학교육에의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the importance of computational thinking is ever growing in a digital information societ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omputational thinking embedded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 collected 191 tas...

      As the importance of computational thinking is ever growing in a digital information society,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omputational thinking embedded in middle school mathematics textbooks under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 collected 191 tasks related ‘information-processing’ from eight different textbooks and coded them based on the revised framework of Weintrop et al.(2016). Using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es, the study indicated that a huge gap existed in the textbooks in terms of sub-elements and practices in computational thinking. A few elements were not found in any textbook. The two different tasks dealing with the same mathematical concept often provided different experiences for computational thinking. As a consequence, the paper argues that the current textbooks do not provide enough opportunities to learn computational thinking. The results led to a further discussion for future studies on computational thinking in mathematics educ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대상 및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 I. 서 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대상 및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백형윤, "학교현장을 위한 한국과 미국의 수학교육저널의 기술공학분야 비교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44 (44): 229-264, 2005

      2 이승우, "프랑스 중학교 수학 교육과정 분석: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영역을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 22 (22): 125-159, 2020

      3 박미현, "우리나라와 싱가포르 중학교 수학 교과서의 공학적 도구 활용에 대한 비교․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601-1624, 2021

      4 김미영, "우리나라 중등학생의 문제해결기반의 컴퓨팅사고력 특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807-830, 2018

      5 김지선, "온라인 시뮬레이션 기반 HW설계 학습에서 성찰일지 내용에 따른 성찰수준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2 (22): 27-37, 2019

      6 김은현, "수학과 교과역량으로서의 정보처리 능력의 해석과 적용 : 2015 개정 중학교 수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59 (59): 389-403, 2020

      7 김미화, "교육과정에 따른 중등 수학과 교과서에서 공학 도구 활용의변화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15 (15): 975-994, 2013

      8 황요한, "과학적 문제해결과정과 컴퓨팅 사고의 관련성 탐색을 통한 컴퓨팅 사고 기반 과학 탐구(CT-SI) 모형의 제안" 과학교육연구소 44 (44): 92-111, 2020

      9 Román-González, M., "Which cognitive abilities underlie computational thinking? Criterion validity of the computational thinking test" 72 : 678-691, 2017

      10 Laszlo, E., "The systems view of the world: a holistic vision for our time" Hampton Press 1996

      1 백형윤, "학교현장을 위한 한국과 미국의 수학교육저널의 기술공학분야 비교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 44 (44): 229-264, 2005

      2 이승우, "프랑스 중학교 수학 교육과정 분석: ‘알고리즘과 프로그래밍’ 영역을 중심으로" 대한수학교육학회 22 (22): 125-159, 2020

      3 박미현, "우리나라와 싱가포르 중학교 수학 교과서의 공학적 도구 활용에 대한 비교․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1 (21): 1601-1624, 2021

      4 김미영, "우리나라 중등학생의 문제해결기반의 컴퓨팅사고력 특성"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8 (18): 807-830, 2018

      5 김지선, "온라인 시뮬레이션 기반 HW설계 학습에서 성찰일지 내용에 따른 성찰수준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2 (22): 27-37, 2019

      6 김은현, "수학과 교과역량으로서의 정보처리 능력의 해석과 적용 : 2015 개정 중학교 수학 교과서를 중심으로" 한국수학교육학회 59 (59): 389-403, 2020

      7 김미화, "교육과정에 따른 중등 수학과 교과서에서 공학 도구 활용의변화 분석" 대한수학교육학회 15 (15): 975-994, 2013

      8 황요한, "과학적 문제해결과정과 컴퓨팅 사고의 관련성 탐색을 통한 컴퓨팅 사고 기반 과학 탐구(CT-SI) 모형의 제안" 과학교육연구소 44 (44): 92-111, 2020

      9 Román-González, M., "Which cognitive abilities underlie computational thinking? Criterion validity of the computational thinking test" 72 : 678-691, 2017

      10 Laszlo, E., "The systems view of the world: a holistic vision for our time" Hampton Press 1996

      11 Ministry of Education, "The plan to promote a future curriculum with the public[attachment 3]"

      12 Develin, K., "The language of mathematics : Making the invisible" Holt Paperbacks 2010

      13 Kim, K. H., "Study on development of informatics curriculum according to 2015 revised curriculum Ⅱ" Korea Institute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2015

      14 Croswell, J. W.,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SAGE 2012

      15 Ministry of Education, "Mathematics curriculum. Ministry of Education Notice 2015-74 [supplement 8]"

      16 Ju, M. K., "Mathematics 3" Kumsung 2020

      17 Kim, H. K., "Mathematics 2 Teachers’guidebook" Sinsago 2019

      18 Kim, W. K., "Mathematics 2 Teachers’guidebook" Visang 2019

      19 Lew, H. C., "Mathematics 2" Chunjae Education 2019

      20 Kim, W. K., "Mathematics 2" Visang 2019

      21 Kim, H. K., "Mathematics 2" Sinsago 2019

      22 Chang, K. Y., "Mathematics 1" Jihak 2018

      23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K-12 Computer Science Framework"

      24 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ISTE Standards: Students"

      25 Fraillon, J., "IEA International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Study 2018 Assessment Framework" IEA

      26 Bocconi, S., "Developing computational thinking in compulsory education. Implications for policy and practice" Publications Office of the European Union 2016

      27 Weintrop, D., "Defining computational thinking for mathematics and science classrooms" 25 (25): 127-147, 2016

      28 Selby, C., "Computational thinking:The developing definition" University of Southampton

      29 Yadav, A., "Computational thinking in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 education" 14 (14): 1-16, 2014

      30 Barr, D., "Computational thinking : A digital age skill for everyone" 38 (38): 20-23, 2011

      31 Jeannette M. Wing, "Computational thinking"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ACM) 49 (49): 33-35, 2006

      32 Wing, J. M., "Computational thinking" 2011

      33 Valerie Barr, "Bringing computational thinking to K-12: what is Involved and what is the role of the computer science education community?" Association for Computing Machinery (ACM) 2 (2): 48-54, 2011

      34 Park, K., "A study on development of mathematics curriculum according to 2015 revised curriculum II" Ministry of Education, Korea Found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Creativity 201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3-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Instruction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 Instruc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17 1.43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