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무용교육에 대한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이론적 논의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 것이다. 초등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무용교육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무용교육에 대한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이론적 논의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 것이다. 초등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무용교육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들이 무용교육에 대한 수업전문성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이론적 논의를 제시하고자 하는데 목적을 둔 것이다. 초등교사들이 인식하고 있는 무용교육에 대한 이해의 한계를 역량의 요인과 더불어 새로운 프로그램 제안을 위해 이론적 논의를 하고 새로운 방향성으로 다양한 담론분석으로 제안하였다. 이에 체육교과에 대한 이해가 문화예술교육관점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인공지능, 디지털 기술과 융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또한 프로그램 개발차원에서 문화다양성과 기술적인 테크닉 발전을 위한 창의적인 사고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론적 논의는 초등체육에서 표현영역에 대한 이해의 확장과 더불어 교사 스스로 창의적인 교수법 개발과 적용을 시도할 수 있는데 이론적 발판을 제공할 것이라 여겨진다. 이는 단순히 무용교육에 대한 이해를 예술중심으로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문화예술교육관점으로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라 하겠다. 나아가 2022개정교육과정과 더불어 현재 사회, 문화적으로 변화된 교육환경에서 활성화를 이룰 수 있도록 체육교과 내용을 분석하고 교육적 실천으로 나아가는데 의미 부여할 수 있는 원동력으로 제공될 수 있다고 여겨진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theoretical discussion for program development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improve their teaching expertise in dance education Methods This study is a literature and discourse analysis Results...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theoretical discussion for program development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improve their teaching expertise in dance education Methods This study is a literature and discourse analysis Results The limitations of understanding dance education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proposed as a direction for new program proposals along with competency factors. Accordingly, understanding of physical education subjects should be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it is necessary to suggest ways to integrat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igital technology. In addition, creative thinking is needed for cultural diversity and technological technology development in terms of program development.
Conclusions This theoretical discussion is believed to provide a theoretical basis for teachers to attempt creative teaching methods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n their own, along with expanding their understanding of the field of expression in elementary sports. Furthermore, it is believed that it can be provided as a driving force that can give meaning to analyzing the contents of physical education subjects and moving toward educational practice so that they can be activated in the current social and culturally changed educational environment along with the 2022 revised curriculum.
캠페인 걷기 참여가 비만 초등여학생의 체격, 체력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엘리트 3x3 농구 승패결정요인 : 2020 도쿄올림픽을 중심으로
물의 관성 부하 훈련이 만성 발목 불안정성을 가진 축구동호인의 동적 안정성과 기능적 움직임에 미치는 영향
고지방 식이 흰쥐에서 자발적 저항성 사다리 운동이 골격근 위축과 염증에 미치는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