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생애사건이 가구의 보험보유상태 변화에 미치는 영향 분석 = Effects of Life Events on Changes in Insurance Holding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74737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생애사건이 가구의 보장성보험 보유상태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제까지 가구의 보험가입결정에 대한 연구는 정태적 보험수요분석이 대부분이었고 따...

      이 연구의 목적은 생애사건이 가구의 보장성보험 보유상태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제까지 가구의 보험가입결정에 대한 연구는 정태적 보험수요분석이 대부분이었고 따라서 보험의 가입 및 해약에 영향을 주는 가구의 동태적 특성을 분석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보험의 보유상태 변화를 신규가입, 추가가입, 전액해약, 부분해약으로 구분하여 가구의 동태적 특성 변화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출산 및 사망, 취업상태 및 종사상지위 변화, 소득 및 순자산변화는 가구의 보험보유상태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결혼 및 이혼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구는 첫 출산을 계기로 보험에 신규·추가 가입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추가가입과는 달리신규가입에 있어 첫 출산을 제외한 출산은 유의한 변인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 보험산업이 저출산과 노동시장의 변화를 주시하고 대응해나가야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study the effects of life events on changes in household insurance holdings. Most of existing literature on the household demand for insurance has taken static approach using cross-sectional data, which does not allow for dynamic analyses of the re...

      We study the effects of life events on changes in household insurance holdings. Most of existing literature on the household demand for insurance has taken static approach using cross-sectional data, which does not allow for dynamic analyse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events and the demand for insurance. Thus, we analyse the demand for insurance in a dynamic setting, using panel data and classifying changes in holdings of insurance coverage into four categories such as initiation, increase, termination(no coverage), and reduction. We find that life events, such as the birth of a child, the death of a household member, being employed or being unemployed, changes in employment status (self-employed or not), and changes in income or net assets,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household insurance holdings, but marriage and divorce do not. In particular, our results indicate that the households with the birth of their first child are more likely to initiate or increase their holdings of insurance coverage than are the households with the birth of their second child.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insurance industry needs to develop strategies to deal with low birth rates and changes in the labor market environ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승연, "인구 및 가구구조 변화가 보험수요에 미치는 영향"

      2 최석규, "보험가입의 미시적 결정요인 분석: 가계의 인구재무특성 중심" 3 (3): 2011

      3 최현자, "가계의 저축의사결정" 한국소비자학회 19 (19): 211-237, 2008

      4 Yaari, M. E., "Uncertain Lifetime, Life Insurance, and the Theory of the Consumer" 32 (32): 137-150, 1965

      5 Showers, V. E., "The effects of household characteristics on demand for insurance: A Tobit analysis" 61 : 492-502, 1994

      6 Fitzgerald, J., "The Effects of Social Security on Life Insurance Demand by Married Couples" 54 (54): 86-99, 1987

      7 Campbell, R. A., "The Demand for Life Insurance: An Application of the Economics of Uncertainty" 35 : 1980-, 1172

      8 Truett, D. B., "The Demand for Life Insurance in Mexico and the United States: A Comparative Study" 57 (57): 321-328, 1990

      9 Madden, D., "Sample Selection versus Two-part Models Revisited: The Case of Female Smoking and Drinking" 27 (27): 300-307, 2008

      10 Gutter, M. S., "Racial Differences in the Demand for Life Insurance" 75 : 677-689, 2008

      1 오승연, "인구 및 가구구조 변화가 보험수요에 미치는 영향"

      2 최석규, "보험가입의 미시적 결정요인 분석: 가계의 인구재무특성 중심" 3 (3): 2011

      3 최현자, "가계의 저축의사결정" 한국소비자학회 19 (19): 211-237, 2008

      4 Yaari, M. E., "Uncertain Lifetime, Life Insurance, and the Theory of the Consumer" 32 (32): 137-150, 1965

      5 Showers, V. E., "The effects of household characteristics on demand for insurance: A Tobit analysis" 61 : 492-502, 1994

      6 Fitzgerald, J., "The Effects of Social Security on Life Insurance Demand by Married Couples" 54 (54): 86-99, 1987

      7 Campbell, R. A., "The Demand for Life Insurance: An Application of the Economics of Uncertainty" 35 : 1980-, 1172

      8 Truett, D. B., "The Demand for Life Insurance in Mexico and the United States: A Comparative Study" 57 (57): 321-328, 1990

      9 Madden, D., "Sample Selection versus Two-part Models Revisited: The Case of Female Smoking and Drinking" 27 (27): 300-307, 2008

      10 Gutter, M. S., "Racial Differences in the Demand for Life Insurance" 75 : 677-689, 2008

      11 Hau, A., "Liquidity, Estate Liquidation, Charitable Motives, and Life Insurance Demand by Retired Singles" 67 : 123-141, 2000

      12 Bernheim, B. Douglas, "How Strong Are Bequest Motives? Evidence Based on Estimates of the Demand for Life Insurance and Annuities" 99 : 899-927, 1991

      13 Auerbach, A., "How Rational is the Purchase of Life Insurance?" National Bureau of Economic Research 1989

      14 Goldsmith, A., "Household Life Cycle Protection: Human Capital versus Life Insurance" 50 (50): 473-486, 1983

      15 Gandolfi, A., "Gender-Based Differences in Life Insurance Ownership" 63 : 683-693, 1996

      16 Burnett, J. J., "Examining Life Insurance Ownership Through Demographic and Psychographic Characteristics" 51 (51): 453-467, 1984

      17 Zietz, E. N., "Examination of the Demand for Life Insurance" 6 : 159-191, 2013

      18 Anderson, D., "Determinants of Young Marrieds’ Life Insurance Purchasing Behavior: An Empirical Investigation" 42 : 375-387, 1975

      19 Lee, Soon-Jae, "Determinants of Household Demand for Insurance: The Case of Korea" 35 : 82-91, 2010

      20 Lewis, F.D., "Dependents and the Demand for Life Insurance" 79 (79): 452-467, 1989

      21 Nelson, J. A., "Are Women Really More Risk-averse than Men? A Re-analysis of the Literature Using Expanded Methods" 29 (29): 566-585, 2015

      22 Jones, A. M., "A Note on Computation of the Double-Hurdle Model with Dependence with an Application to Tobacco Expenditure" Bulletin of Economic Research 44-74, 1992

      23 Liebenberg, A. P., "A Dynamic Analysis of the Demand for Life Insurance" 79 (79): 619-644, 2012

      24 Jones, A. M., "A Double-Hurdle Model of Cigarette Consumption" 4 : 23-39, 198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3-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Insurance Studies -> Journal of Insurance and Finance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2-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보험개발연구 -> 보험금융연구
      외국어명 : Korea Insurance Development Institute -> Journal of Insurance Studies
      KCI등재
      2008-06-20 학회명변경 한글명 : 보험개발원 -> 보험연구원
      영문명 : Korea Insurance Development Institue -> Korea Insurance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5-18 학술지등록 한글명 : 보험개발연구
      외국어명 : Korea Insurance Development Institute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82 0.82 0.7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77 0.72 1.1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