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교실에서 교육 로봇 아이로비 큐의 역할, 그리고 한계와 기대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6259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로봇을 활용하는 과정에서 유아와 유아교사들이 경험한 내용을 분석하여 유아교실에서 로봇이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고 그 역할수행과 관련된 문제점과 로...

      본 연구에서는 로봇을 활용하는 과정에서 유아와 유아교사들이 경험한 내용을 분석하여 유아교실에서 로봇이 어떤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고 그 역할수행과 관련된 문제점과 로봇이 가져온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G도 C시에 위치한 공립유치원 교사 4명을 선정하였고, 개별면담, 연구일지, 교사저널 등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유아들은 로봇을 친구처럼 인식하여 유대감을 형성하고 관대함을 보여주고 있었고 유아들이 로봇을 주도적으로 활용하는 과정에서 로봇이 학습 동반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고장이 잦고 언어적 의사소통이 용이하지 않은 점 등이 로봇의 한계로 지적되기도 했지만 교사의 로봇활용이 활성화되면서 로봇은 교수-학습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를 점하게 되었으며 벽지의 유아들에게는 문화적 혜택의 의미로 다가서기도 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the roles of the intelligent educational robot Irobi-Q in young children"s classrooms by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both teachers and children. Also the problems and advantages related with Irobi-Qs roles were examined in this st...

      This study explored the roles of the intelligent educational robot Irobi-Q in young children"s classrooms by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both teachers and children. Also the problems and advantages related with Irobi-Qs roles were examined in this study. Four teachers in public kindergartens in C city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seven-month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hows that a robot can be a partner in the learning process as well as a friend of children. Frequent technical glitches and communication problems were pointed out as the robot’s disadvantages. However the advantages of robot were discussed as follows: 1) the robot can be an important media in the learning process and 2) the robot can be a marvelous media especially to children living in an isolated are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결과 및 해석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연구 방법
      • Ⅲ. 결과 및 해석
      • Ⅳ.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철환, "초등학교에서 ‘1교실 1컴퓨터-교단선진화 장비’ 활용을 통한 대안적 컴퓨터 효과에 관한 연구" 12 : 183-204, 2000

      2 김미량, "초등학교 교사의 로봇활용교육프로그램 수용의도에 관한 영향요인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427-449, 2009

      3 유혜진, "초등학교 교사보조로봇의 외형 디자인 요소에 대한 연구- 체형에 따른 인상을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학회 20 (20): 107-118, 2007

      4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Ⅰ" 문음사 2006

      5 현은자, "지능형 로봇을 활용한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175-196, 2008

      6 정상녀, "지능형 로봇과의 놀이 상황에서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놀이 유형 분석: Genibo를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469-492, 2011

      7 Glenn, J., "유엔미래보고서" 교보문고 2008

      8 현은자, "유아의 교육용 로봇에 대한 인식과 사용경험과의 관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9 (9): 189-205, 2010

      9 현은자, "유아의 교사보조로봇에 대한 정서와 역할인식 변화"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171-186, 2010

      10 박경희, "유아교육현장의 로봇활용교육 탐색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161-187, 2010

      1 이철환, "초등학교에서 ‘1교실 1컴퓨터-교단선진화 장비’ 활용을 통한 대안적 컴퓨터 효과에 관한 연구" 12 : 183-204, 2000

      2 김미량, "초등학교 교사의 로봇활용교육프로그램 수용의도에 관한 영향요인 분석" 한국교원교육학회 26 (26): 427-449, 2009

      3 유혜진, "초등학교 교사보조로봇의 외형 디자인 요소에 대한 연구- 체형에 따른 인상을 중심으로 -" 한국디자인학회 20 (20): 107-118, 2007

      4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Ⅰ" 문음사 2006

      5 현은자, "지능형 로봇을 활용한 그림책 읽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28 (28): 175-196, 2008

      6 정상녀, "지능형 로봇과의 놀이 상황에서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및 놀이 유형 분석: Genibo를 중심으로"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6 (16): 469-492, 2011

      7 Glenn, J., "유엔미래보고서" 교보문고 2008

      8 현은자, "유아의 교육용 로봇에 대한 인식과 사용경험과의 관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9 (9): 189-205, 2010

      9 현은자, "유아의 교사보조로봇에 대한 정서와 역할인식 변화"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171-186, 2010

      10 박경희, "유아교육현장의 로봇활용교육 탐색에 관한 연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161-187, 2010

      11 남궁선혜, "유아교육을 위한 미디어로서 로봇의 교육적 활용에 대한 연구" 9 : 193-204, 2002

      12 윤현민, "유아교육용 서비스 로봇에 대한 교사의 수용과 유아-로봇 상호작용"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0

      13 김경철, "유아교육과 과학기술의 만남: R-러닝을 중심으로. 유아교육선진화와 과학기술의 만남" 599-614, 2010

      14 오상록, "유아교육과 R-Learning" 2010

      15 교육과학기술부, "유아교육 선진화를 위한 종합적인 발전 방안" 교육과학기술부 2009

      16 현은자, "유아교육 기관용 지능형 로봇의 ‘우리반’ 콘텐츠 개발" 한국콘텐츠학회 9 (9): 482-491, 2009

      17 박성덕, "유아 교육용 교사보조로봇 경험 이야기"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253-276, 2011

      18 김병준, "아동과 홈 로봇 상호작용 분석"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9 신나민, "아동-로봇 친밀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아동학회 29 (29): 97-111, 2008

      20 김정호, "상징적 음성언어 교육을 위한 유아 로봇 콘텐츠 개발 및 적용" 한국정보교육학회 13 (13): 205-213, 2009

      21 Spradley. J. P., "문화기술적 면접법" 시그마프레스 2003

      22 손혜진, "만 5세 유아들의 유아교육용 로봇 이미지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로봇의 특성"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3 최유현, "로봇의 교육적 활용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 16 (16): 75-90, 2003

      24 이영준, "로봇의 교육적 활용 방안 및 적정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25 아이로비로봇스쿨, "로봇소개"

      26 전자신문, "로봇선생님 2012년 초등학교로 발령"

      27 김건희, "로봇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자폐유아의 시각, 청각, 촉각에 대한 반응연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6 (26): 371-399, 2010

      28 신나민, "로봇과 학습의 관계 맺기: 초ㆍ중ㆍ고등학생의 관점에서"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3 (13): 79-99, 2007

      29 임수정, "대화를 기반으로 한 인간-로봇 상호작용" 26 (26): 30-37, 2008

      30 정지현, "교사보조로봇에 대한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 양상과 이미지"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9 (9): 1-30, 2010

      31 김경철, "교사보조로봇 활용에 대한 유아교사들의 인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5 (15): 25-42, 2010

      32 김경현, "교구로봇활용수업의 효과분석 연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9

      33 Levy, D., "Love+Sex with Robots : The Evolution of Human-Robot Relationships" Harper Perennial 2008

      34 Kozima, H., "Keep on" 1 (1): 3-18, 2009

      35 Kanda, T., "Interactive robots as social partners and peer tutors for children : a field trial" 19 (19): 61-84, 2004

      36 Gates, B., "A robot in every home" 58-65, 2007

      37 Woodlinger, M. G., "A case study in the use of guided reflection" 36 : 115-132, 1990

      38 Kurzweil, Ray., "(기술이 인간을 초월하는 순간) 특이점이 온다" 김영사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3-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5 2.35 2.3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52 2.45 2.634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