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도시의 구조는 8.15 광복과 6.25 전쟁 후 서울뿐만 아니라 대도시로 인구가 대거 유입되면서 도심 과밀화로 인한 도심 주변 구릉지와 하천, 철도 변 등 도시 빈민가와 판자촌이 도시 내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579828
서울 : 弘益大學交 大學院, 2017
學位論文(碩士) -- 弘益大學交 大學院 , 建築學科 建築計劃專攻 , 2017.8
2017
한국어
728.31 판사항(22)
서울
A study on the planning of the deteriorated multi-family housing in university : focused on the area of Hongik University
xi, 137장 : 삽화 ; 26 cm
국·영문초록수록
지도교수: 兪炫準
참고문헌: 장 132-13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도시의 구조는 8.15 광복과 6.25 전쟁 후 서울뿐만 아니라 대도시로 인구가 대거 유입되면서 도심 과밀화로 인한 도심 주변 구릉지와 하천, 철도 변 등 도시 빈민가와 판자촌이 도시 내에 ...
현재 도시의 구조는 8.15 광복과 6.25 전쟁 후 서울뿐만 아니라 대도시로 인구가 대거 유입되면서 도심 과밀화로 인한 도심 주변 구릉지와 하천, 철도 변 등 도시 빈민가와 판자촌이 도시 내에 만연하게 퍼져갔다. 서울시는 도심지로 몰려드는 서민들을 위한 주택공급 문제를 해결하고자 1960년대 무허가 건물 철거와 이전을 통해 도시를 정비하는 사업을 대대적으로 시행 하였다. 1960년 전반기 도시계획구역 확대를 시작으로 후반기에는 대규모 토지구획정리사업과 주택지 조성사업을 추진하였다. 교통시설과 택지조성, 주택 건립의 건수가 90% 이상에 달할 정도로 주택 보급을 통한 인구 과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힘을 썼다.
주거의 표준화, 대량생산 형태의 물량 위주 주택 공급으로 1980년대에는 가장 보편적인 주거의 형태로 나타나게 되었다. 이후 1995년까지 단독주택이 주된 주택이었으나 2000년부터 아파트(47.7%)가 주택 유형으로 자리매김 하였다. 아파트의 연구와 정책들로 인한 고급 주거 이미지로 인해 직장인, 신혼부부 등 주택을 구입할 능력이 부족한 계층이나 1~2인 가구의 지속적인 증가와 핵가족화, 대학생 및 사회초년생과 같은 20, 30대의 젊은 층들이 다세대· 다가구 주택으로 몰리게 되었다. 1990년대의 사회·제도적 변화로 인한 주택의 양산으로 현재(2016년 기준)는 전체 주거 비율의 47.7%를 차지하고 있지만, 대학 주변 20년이 지난 다수의 노후 주택으로 세입자들의 거주 및 가로 환경이 악화되고 폐쇄적이며 획일화된 주택지에 살고 있다.이에 본 연구는 노후 다세대·다가구 주택지 내의 획일화되고 폐쇄적인 건물 환경과 가로를 개선하고 1~2인 위주의 세입자들을 위한 건물 활용에 대한 시스템과 법적 개선의 근간을 마련하고자 한다.
공간적 범위는 서울 소재 대학 중 홍익대학교의 주변을 대상으로 지정 하였다. 홍익대학교 주변 주택의 특성상 학교와 상업, 업무 지역에 밀집해 있으며 노후 다세대·다가구 주택이 일부 가로와 거주자의 환경을 악화시키고 있으므로 일부 건물군을 선택하여 문제점과 개선책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대학가 다세대·다가구 주택의 현황 및 노후도를 조사, 참고하여 고찰한 후 국·내외 문헌 조사, 인터넷 검색, 현장조사를 기준으로 현재 운영 중인 홍대 주변 다세대·다가구 주택의 규모 및 건축계획, 법규 문제를 분석하여 서울 도심지 내 노후 주택 개선을 통한 쾌적한 환경의 주택 계획 방법을 제안 하고자 한다. 특히 주택 간의 최소 이격거리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와 불법 증축된 부분으로 인한 가로 환경, 맞벽 부분, 주택가 옥상 활용에 대한 건축적 해결책으로 대학가 노후 주택의 새로운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계획안을 제시한다.
제 1장에서는 다세대·다가구 주택의 선행연구논문을 참고하여 연구의 배경 및 목적, 범위, 방법을 설정한다. 제 2장에서는 이론적 고찰을 통해 다세대·다가구 주택의 개념과 기준, 변천 과정, 제도의 변화 과정을 정리하여 현재 주택이 형성되기까지의 과정과 특성을 분석하는 기본 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제 3장에서는 현재 주택의 문제점들을 파악하여 정리하고, 개선 방안을 선행연구논문을 통해 알아본다. 제 4장에서는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고, 계획안으로 이어질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하고자 한다. 제 5장과 6장에서는 서두에서 노후 주택을 활용하여 주거 환경을 개선하고 가로를 활성화할 수 있는 계획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