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에서는 추정된 계수의 합이 1이 되는 제약을 두어 각 계수를 포트폴리오의 가중치로 해석할 수 있으며, 공매도가 허용되지 않는 주식형펀드의 특성을 반영하여 각 계수에 비음수제약...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374477
2010
Korean
32
KCI등재,SCOPUS
학술저널
307-339(33쪽)
2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추정된 계수의 합이 1이 되는 제약을 두어 각 계수를 포트폴리오의 가중치로 해석할 수 있으며, 공매도가 허용되지 않는 주식형펀드의 특성을 반영하여 각 계수에 비음수제약...
본 논문에서는 추정된 계수의 합이 1이 되는 제약을 두어 각 계수를 포트폴리오의 가중치로 해석할 수 있으며, 공매도가 허용되지 않는 주식형펀드의 특성을 반영하여 각 계수에 비음수제약을 가하는 Sharpe(1992)의 스타일분석 방법론을 이용하여 국내 주식형펀드의 운용스타일 및 성과분석을 시도하였다. 논문의 주요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주식형펀드의 대형주와 성장주에 대한 노출정도가 소형주와 가치주에 비해 현저히 높지만, 주식의 시가총액비율에 비하면 오히려 펀드의 소형주와 가치주에 대한 노출정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국내 주식형펀드의 운용스타일은 시간에 따라 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소형 스타일에 투자하는 펀드의 비율이 꾸준히 증가하였다. 셋째, 본 논문에서 사용된 두 벤치마크 포트폴리오 군에 대하여 펀드의 주별 평균초과수익률이 0.05%연 2.60%), 0.06%(연 3.12%)로 각각 추정되어 펀드의 평균수익률이 스타일 포트 폴리오의 수익률보다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넷째, 스타일 가중치의 시간가변성을 고려한 조건부모형을 통한 성과분석에서도 국내 주식형펀드의 양의 초과수익률은 유지되었으며, Fama and French(1993)의 3요소 모형 및 Carhart(1997)의 4요소 모형을 이용한 강건성 검증에서도 양의 초과수익률이 재확인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nvestment styles and performance persistence of equity funds in Korea using Sharpe (1992)`s style analysis methodology. Unlike the regression analysis, both the portfolio and positivity constraints are imposed in style ana...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nvestment styles and performance persistence of equity funds in Korea using Sharpe (1992)`s style analysis methodology. Unlike the regression analysis, both the portfolio and positivity constraints are imposed in style analysis proposed by Sharpe. The empirical findings documented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relative to the market capitalization of stocks in each style portfolio, equity funds in Korea have high exposure to the small and value stocks, though the absolute exposure of large and growth stocks are higher than that of small and value stocks. Second, the investment styles are time-varying. Especially, funds that invest in small stocks have increased over the last seven years. Third, using the two style benchmark portfolios, equity funds create the abnormal annual return of 2.60% and 3.12%, respectively. Finally, outperformance of equity funds in Korea is confirmed using the conditional performance measurement. For robustness check, we employ the famous Fama and French three-factor model (1993) and Carhart four-factor model (1997) as our performance measure and the outperformance is still present.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동철, "한국주식시장의 1월 효과와 정보불확실성 위험" 35 (35): 73-102, 2006
2 최종범, "조건부 성과평가 모형을 이용한 국내 주식형펀드의 성과지속성 검증에 관한 연구" 2005
3 진익, "실현 수익률에 기초한 유형분류 및 평가" 2008
4 신성환, "국내 주식 및 채권 펀드를 통한 위탁투자에 관한 연구" 한국증권학회 32 (32): 165-190, 2003
5 Sharpe, W. F., "The styles and performance of large seasoned U.S. mutual funds" Online Publication 1995
6 Idzorek, T. M., "The style drift score" 31 : 76-83, 2004
7 Jensen, M., "The performance of mutual funds in the period 1945-1964" 23 : 389-416, 1968
8 Fama, E. F., "The cross-section of expected stock returns" 47 : 427-465, 1992
9 Brown, S., "Survivorship bias in performance studies" 5 : 553-580, 1992
10 Barberis, N., "Style investing" 68 : 161-199, 2003
1 김동철, "한국주식시장의 1월 효과와 정보불확실성 위험" 35 (35): 73-102, 2006
2 최종범, "조건부 성과평가 모형을 이용한 국내 주식형펀드의 성과지속성 검증에 관한 연구" 2005
3 진익, "실현 수익률에 기초한 유형분류 및 평가" 2008
4 신성환, "국내 주식 및 채권 펀드를 통한 위탁투자에 관한 연구" 한국증권학회 32 (32): 165-190, 2003
5 Sharpe, W. F., "The styles and performance of large seasoned U.S. mutual funds" Online Publication 1995
6 Idzorek, T. M., "The style drift score" 31 : 76-83, 2004
7 Jensen, M., "The performance of mutual funds in the period 1945-1964" 23 : 389-416, 1968
8 Fama, E. F., "The cross-section of expected stock returns" 47 : 427-465, 1992
9 Brown, S., "Survivorship bias in performance studies" 5 : 553-580, 1992
10 Barberis, N., "Style investing" 68 : 161-199, 2003
11 Teo, M., "Style effects in the cross-section of stock returns" 74 : 367-398, 2004
12 Brown, K., "Staying the course: Performance persistence and the role of investment style consistency in professional asset management" 2005
13 Bollen, N., "Short-term persistence in mutual fund performance" 18 : 569-597, 2004
14 Malkiel, B., "Returns from investing in equity funds: 1971 to 1991" 50 : 549-572, 1995
15 Teo, M., "Persistence in style-adjusted mutual fund returns" 2001
16 Kacperczyk, M., "On the concentration of actively managed equity mutual funds" 60 : 1983-2011, 2005
17 Carhart, M., "On persistence in mutual fund performance" 52 : 57-82, 1997
18 Chan, L., "On mutual fund investment styles" 15 : 1407-1437, 2002
19 Brown, S., "Mutual fund styles" 43 : 373-399, 1997
20 Davis, J., "Mutual fund performance and manager style" 57 : 19-27, 2001
21 Ferson, W., "Measuring fund strategy and performance in changing economic conditions" 51 : 425-461, 1996
22 Barber, B., "Just how much do individual investors lose by trading?" 22 : 609-632, 2009
23 Kaplan, P., "Holdings-based and returns-based style models" 2003
24 Fabozzi, F., "Handbook of equity style management, 3rd ed" John Wiley and Sons, Inc 2003
25 De Roon, F., "Evaluating style analysis" 11 : 29-53, 2004
26 Rekenthaler, J., "Estimating portfolio style: A comparative study of portfolio-based fundamental analysis and returnsbased style analysis" 2004
27 Kang, J., "Equity Fund Style and Performance Persistence in an Emerging Market: Evidence from Korea" 2009
28 Ippolito, R., "Efficiency with costly information: A study of mutual fund performance" 104 : 1-24, 1989
29 Elton, E., "Efficiency with costly information: A reinterpretation of evidence from managed portfolios" 6 : 1-22, 1993
30 Sharpe, W. F., "Determining a Fund’s Effective Asset Mix" 56 : 59-69, 1988
31 Fama, E. F., "Common risk factors in the returns on stocks and bonds" 33 : 3-56, 1993
32 Sharpe, W. F., "Asset allocation: Management style and performance measurement" 3 : 7-19, 1992
33 Lobosco, A., "Approximating the confidence intervals for Sharpe style weights" 53 : 80-85, 1997
코스닥기업의 인수합병이 인수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6-28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Korean Journal of Financial Studies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학술지 분리 (기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06 | 1.06 | 0.9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06 | 1.22 | 2.132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