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디지털기기에서 앱을 활용한 그림검사가 가능한지를 탐색해보고자 게임 중독군을 대상으로 ‘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 그리기(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이하 PPAT)’ 그림 검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305353
2021
Korean
310
KCI등재
학술저널
707-717(11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디지털기기에서 앱을 활용한 그림검사가 가능한지를 탐색해보고자 게임 중독군을 대상으로 ‘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 그리기(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이하 PPAT)’ 그림 검사...
본 연구는 디지털기기에서 앱을 활용한 그림검사가 가능한지를 탐색해보고자 게임 중독군을 대상으로 ‘나무에서 사과 따는 사람 그리기(Person Picking an Apple from a Tree: 이하 PPAT)’ 그림 검사를 바탕으로 진단을 확인하여 미술치료에서의 그림검사 앱을 활용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할 수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PPAT 그림검사는 사람이 사과를 어떤 식으로 따는지 문제해결력을 검증하는데 유용하고 이에 대한 신뢰도, 타당도가 높은 검사이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결과, 디지털 기기에서 앱을 활용한 PPAT 그림검사의 형식척도(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이하 FEATS) 항목 14개 중 ‘문제해결력’ 항목에서 인터넷 과몰입군이 일반사용자군 보다 낮은 점수를 받았는데, 과몰입군의 경우 사과를 향해 손을 뻗지 않고 있거나, 사과가 떨어지는 그림, 합리적인지지 기반 없이 사과를 따는 방법으로 사과를 따른 모습을 표현했다. 본 연구에서 발견한 내용은 디지털 기기에서 앱을 사용한 PPAT 그림 검사가 본래의 목적인 ‘문제해결력’을 유의미하게 드러내었다는 점은 앞으로 디지털 기기를 활용하여 인터넷 과몰입 대상자들을 위한 심리치료적 개입뿐만 아니라 디지털 기기를 익숙하게 활용하는 사용자들에게는 PPAT 그림검사 앱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ether PPAT drawing using an application can be developed on digital devices for game addicts. The PPAT drawing test is useful and reliable for verifying problem-solving skills in how people pick apples. As a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whether PPAT drawing using an application can be developed on digital devices for game addicts. The PPAT drawing test is useful and reliable for verifying problem-solving skills in how people pick apple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over-immersion group scored lower than the average user group in the problem Solving category of the PPAT drawing test using the PPAT drawing applicaion on digital devices, and expressed by not reaching for apples, or by picking apples without reasonable support. The findings in this study suggest that the PPAT drawing test application on digital devices has significantly demonstrated its original purpose of problem resolution, as well as future psychotherapeutic interventions for Internet over-immersion subjects as well as users who are familiar with digital devic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혜온, "현실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인터넷 중독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내적 통제성 및 인터넷 중독 개선에 미치는 효과" 18 (18): 11-22, 2006
2 채유경, "초등학생 게임 과몰입에 관한통합예술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한국상담학회 7 (7): 885-898, 2006
3 신영희, "집단미술치료가 인터넷 중독 초등학생의 과몰입도 감소에 미치는 영향" 4 (4): 101-124, 2008
4 이형초, "인터넷게임 중독의 진단척도 개발" 한국건강심리학회 7 (7): 211-239, 2002
5 이진화,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가 컴퓨터 게임중독 아동의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05
6 정여주, "미술치료의 이해-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3
7 J. N. Buck, "The HTP technique;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coring manual" 4 (4): 317-396, 1948
8 L. Gantt, "The 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 : The Rating Manual Morgantown" Gargoyle Press 1998
9 H. Wadeson, "The Dynamics of Art Psychotherapy" John Wiley & Sons 1987
10 E. M. Koppitz, "Psychological evaluation of human figure drawings by middle school pupils" Grune & Stratto 1984
1 김혜온, "현실치료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인터넷 중독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내적 통제성 및 인터넷 중독 개선에 미치는 효과" 18 (18): 11-22, 2006
2 채유경, "초등학생 게임 과몰입에 관한통합예술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한국상담학회 7 (7): 885-898, 2006
3 신영희, "집단미술치료가 인터넷 중독 초등학생의 과몰입도 감소에 미치는 영향" 4 (4): 101-124, 2008
4 이형초, "인터넷게임 중독의 진단척도 개발" 한국건강심리학회 7 (7): 211-239, 2002
5 이진화, "인지-행동 집단미술치료가 컴퓨터 게임중독 아동의 자기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05
6 정여주, "미술치료의 이해-이론과 실제" 학지사 2003
7 J. N. Buck, "The HTP technique; a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scoring manual" 4 (4): 317-396, 1948
8 L. Gantt, "The Formal Elements Art Therapy Scale : The Rating Manual Morgantown" Gargoyle Press 1998
9 H. Wadeson, "The Dynamics of Art Psychotherapy" John Wiley & Sons 1987
10 E. M. Koppitz, "Psychological evaluation of human figure drawings by middle school pupils" Grune & Stratto 1984
11 K. Machover, "Human figure drawings of children" 17 (17): 85-91, 1953
12 M. Griffiths, "Does Internet and computer‘addiction exist? Some case study evidence" 3 (3): 211-218, 1998
13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년 인터넷 중독 실태조사" 한국정보화진흥원 2006
국민기초생활보장법의 개정과정 연구: 맞춤형급여를 중심으로
영화 크라우드펀딩 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중국의 영화 플랫폼 크라우드펀딩을 중심으로
지역 설화를 활용한 OSMU 전략 분석 -장성군『홍길동』테마파크와 곡성군『심청』테마파크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7-05-0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21 | 1.21 | 1.2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29 | 1.25 | 1.573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