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8년 3월 1일 특허심판원과 특허법원이 개원함으로써 우리나라 특허쟁송제도의 새로운 장이 열린지도 어언 12년이 지났다. 그동안 특허청은 시대적 상황에 부응하기 위하여 부단히 심판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99890277
2010
Korean
특허심판 ; 특허심판원 ; 특허법원 ; 거절결정불복심판 ; 무효심판 ; 권리범위확인심판 ; 정정심판 ; 특허쟁송제도 ; 개선방안 ; 특허법 개정 ; Board of patent appeals ; Patent trial system ; Patent court ; scope of examination ; Appeals against final decision of rejection ; Invalidation trial ; Confirmation trial of scope of the right ; Trial for correction ; Patent law revisio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17-157(41쪽)
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1998년 3월 1일 특허심판원과 특허법원이 개원함으로써 우리나라 특허쟁송제도의 새로운 장이 열린지도 어언 12년이 지났다. 그동안 특허청은 시대적 상황에 부응하기 위하여 부단히 심판제...
1998년 3월 1일 특허심판원과 특허법원이 개원함으로써 우리나라 특허쟁송제도의 새로운 장이 열린지도 어언 12년이 지났다. 그동안 특허청은 시대적 상황에 부응하기 위하여 부단히 심판제도와 실무를 개선함과 동시에 심판기간의 획기적 단축, 심판관의 전문화를 추진하여 특허심판 이용자편의를 고려하면서 적정하고 신속하고 공평한 절차의 심판이 이루어지도록 나름대로 상당한 노력을 기울여 왔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로 우리나라 특허심판제도는 선진국제도에 못지않게 정비되어 왔지만 이상론에 비추어보면 아직도 개선하여야 과제 또한 적잖게 남아 있다. 본고는 우선 특허법상 특허심판제도를 운영하는 주체이면서도 관심의 대상으로 크게 주목 받지 못하여 온 특허심판원의 위상과 역할을 재점검해 보고 그 본질적 역할에 비추어 특허심판제도의 개선 방향성을 제시해 보았다. 특히 특허심판원의 독립성 강화와 심사 계도 및 방향성 제시기능에 주목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토대로 현행 특허심판제도의 문제점을 총체적으로 도출해 보고 그 개선방안을 강구하였던 바, 현행 특허법상 심판관련 제도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법 개정이 필요한 사항을 중심으로 대표적인 특허심판 유형별로 구분하여 쟁점과제들을 정리해 보았다. 아울러 심판원 운영 실무상의 제 문제에 관한 그 동안의 공과와 쟁점 과제도 살펴보았다. 특히 이와 관련하여서는 구술심리와 집중심리를 더욱 활성화하고, 심판관의 전문성 향상 방안에 대해 중점적으로 다루어 보았다. 나아가 효율적인 분쟁해결 구도의 수립을 위해 법원과 기능적 역할분담차원에서 제기 되어온 쟁점과 제들을 살펴보고 특허법원과의 연계 내실화 방안을 살펴본 후 시대변화에 따른 특허쟁송제도의 새로운 위상정립을 모색해 보았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has passed 12 years since the Korean Patent Court and the Board of Patent Appeals established as of March 1st. 1998. During the times, Korean Patent Appeals & Litigation system has been drastically changed in volumes in that the number of demanding...
It has passed 12 years since the Korean Patent Court and the Board of Patent Appeals established as of March 1st. 1998. During the times, Korean Patent Appeals & Litigation system has been drastically changed in volumes in that the number of demanding a trial increased 4 times(patent cases) and the number of rendering a judgement also increased as much as it. But also it shows quite a development in quality in that average trial pendency shortened, the rate of cancellation of trial decision by the Korean Patent Court decreased due to the precise and well-reasoned decision. All the above development of Korean Patent Appeals & Litigation system, it still leaves much problems to be solved in the future.
This article aims to review on a desirable direction for the Korean Patent Trial System to go and on the implemental inner policy of the Board of Patent Appeals to be more effective in the course of management. This article firstly studies the roles and status of the Board of Patent Appeals in general. Further, this article is to address issues concerning the principal directions for the appeal system to enhance such as to increase the quality of trial decisions, to guide and control examination of patent application and to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Patent Court.
Further, Contending Legal Issues on an individual trials such as Appeals against final decision of rejection, Invalidation Trial, Confirmation Trial of Scope of the Right, Trial for Correction and interrelationship thereof are discussed in detail to enhance more effective trial system. For example, the Scope of examination of the Patent Court, Reconsideration by an Examiner before Appel, and relationship between infringement suits and invalidation trial are discussed in detail and so on.
In order to introduce them into Korean patent trial system properly, the above issues are discussed or examined and proposed a desirable directions for the revision of the Korean Patent law and regulation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경홍, "특허침해소송에서의 무효판단운용에 과한 연구-일본과의 비교를 통하여" 특허청 2009
2 이한주, "특허침해소송에 있어 무효사유의 판단" 41 : 2005
3 박영탁, "특허심판제도의 현황 및 발전방향. in: 10주년 세미나 자료집" 특허청 2008
4 이상정, "특허심판제도 개선방향" 특허심판원 2003
5 이병균, "특허심판의 쟁점과 사례" 법경출판사 1991
6 정차호, "특허심판원의 나아갈 방향: 세계 최고 심판품질의 달성" 특허청 2008
7 정양섭, "특허심판 -이론과 실무-" 대광서림 1999
8 황한식, "특허심결취소소송의 심리범위" 법조협회 1997
9 법원행정처, "특허소송실무" 법원행정처 1988
10 박희섭, "특허법원론 (개정 4판)" 2009
1 이경홍, "특허침해소송에서의 무효판단운용에 과한 연구-일본과의 비교를 통하여" 특허청 2009
2 이한주, "특허침해소송에 있어 무효사유의 판단" 41 : 2005
3 박영탁, "특허심판제도의 현황 및 발전방향. in: 10주년 세미나 자료집" 특허청 2008
4 이상정, "특허심판제도 개선방향" 특허심판원 2003
5 이병균, "특허심판의 쟁점과 사례" 법경출판사 1991
6 정차호, "특허심판원의 나아갈 방향: 세계 최고 심판품질의 달성" 특허청 2008
7 정양섭, "특허심판 -이론과 실무-" 대광서림 1999
8 황한식, "특허심결취소소송의 심리범위" 법조협회 1997
9 법원행정처, "특허소송실무" 법원행정처 1988
10 박희섭, "특허법원론 (개정 4판)" 2009
11 이수완, "특허법원 10년간의 권리범위확인(특,실)심판사건에 관한 판결의 통계적 분석. in: 특허법원 개원10주년 기념논문집" 2007
12 박정희, "특허무효심판에서의 특허의 정정" 특허법원 4 : 2008
13 특허법원 지적재산소송실무연구회, "지적재산소송실무" 박영사 2006
14 법원행정처, "지적재산권 재판실무편람"
15 송영식, "지적소유권법(상)" 육법사
16 이수완, "적극적 권리범위확인심판과 이용관계" 법원도서관 (41) : 2002
17 박원규, "심결취소소송의 심리범위. in: 특허판례연구" 박영사 2008
18 최성준, "무효사유가 명백한 특허권에 기초한 금지청구 등이 권리남용에 해당하는지 여부. in: 정보법 판례백선1" 박영사 2006
19 박정희, "권리범위확인심판제도의 폐지 필요성에 대한 고찰" 특허법원 3 : 2005
20 이우권, "권리범위확인심판제도의 운영상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향" 1996
21 최성준, "권리범위확인심판의 폐지의 타당성에 관하여" 법조협회 43 (43): 1994
22 김원오, "권리범위확인심판의 존폐문제연구" 지적재산권연구센터 2000
23 김태현, "권리범위확인심판의 본질과 진보성 판단의 가부" 특허법원 4 : 2008
24 오충진, "권리범위확인심판에서 확인대상발명의 특정" 특허법원 4 : 2008
25 최정열, "권리범위확인심판에 관한 소고" 특허법원 3 : 2005
26 구대환, "권리범위확인심판에 관한 고찰 - 권리 대 권리의 적극적 권리범위확인심판을 중심으로 -" 특허청 1999
27 吉藤幸朔, "特許法槪說(弟13板)" 有斐閣
28 塚原朋一, "無効審決取消訴訟の審理の範囲とその制限事由. in: 知的財産權法の理論と實務第2卷" 新日本法規 2007
29 日本産業構造審議會-知的財産政策剖-紛爭處理小委員會, "工業所有權紛爭の迅速と合理的な解決方案"
30 특허청, "『지식재산백서』, 각 2007. 2008. 2009, 2010년 판"
31 김용헌, "“구술심리(법원) 1년의 회고와 과제”, 인터넷법률신문, 2006. 12. 26"
32 "YUASA AND HARA IP NEWS, Jan 2007 vol.20"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2 | 1.12 | 1.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97 | 0.95 | 1.123 | 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