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만삭 분만에서 임신 주수와 제대동맥혈 pH의 임상적 고찰 = Clinical Studies : Umbilical cord artery blood pH analysis at term pregnan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9950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정상 만삭 분만 후 제대동맥혈 pH를 측정하여 임신주수와 pH의 상관관계를 조사하며 산혈증의 발생빈도 및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6년 12월 사이에, 만삭 분만...

      목적: 정상 만삭 분만 후 제대동맥혈 pH를 측정하여 임신주수와 pH의 상관관계를 조사하며 산혈증의 발생빈도 및 연관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2004년 1월부터 2006년 12월 사이에, 만삭 분만 중 산모측에 내과적 질환이나 임신관련 합병증이 없으며 분만진통 중 태아가사 상태를 보이지 않았던 1,918예에서 측정된 제대동맥혈 가스 분석결과 중 제대동맥혈 pH를 임신주수, 분만 방법에 따라서 분석하였다. 산혈증에 대하여 제대동맥혈 pH 7.10 미만인 경우와 임신주수별 평균값에서 2표준편차 미만인 경우 두 가지로 정의하여 임신주수에 따른 발생빈도 및 신생아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 37주 이후 만삭 분만에서 임신주수가 증가함에 제대동맥혈 pH 수치가 유의하게 감소함을 볼 수 있었다(p=0.000). 또한 분만 방법에 따라서 질식 분만 군에서 임신주수에 따른 제대동맥혈의 pH 수치는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p=0.001) 제왕절개군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산혈증 발생빈도에 있어서, 임신주수별 평균값에서 2표준편차 미만으로 산혈증을 정의한 경우 임신주수에 따른 산혈증 발생빈도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두가지 정의에 의한 산혈증 군에서는 신생아 5분 아프가 점수가 7미만과 grade II 이상의 태변착색이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 만삭 분만 산모에서 분만 시 임신주수가 증가함에 따라서 제대동맥혈 pH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지만 임신주수 보정에 따른 기준에 의하면 산혈증의 빈도는 증가하지 않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To assess the gestational age adjusted values of umbilical cord artery blood pH in term pregnancy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umbilical arterial blood pH values and obstetric data of 1,918 term singleton deliveries without maternal...

      Objective: To assess the gestational age adjusted values of umbilical cord artery blood pH in term pregnancy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umbilical arterial blood pH values and obstetric data of 1,918 term singleton deliveries without maternal medical disease,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and fetal distress during labor periods at Kangnam St. Mary`s Hospital,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between January 2004 and December 2006. Low pH was defined as less than 7.10 as a stationary cutoff value, whereas pH less than (mean -2 standard deviations [SDs]) was used when gestational age was considered. We evaluated the risk of 5 minute Apgar score of less than 7 and meconium staining more than grade II at low pH. Result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gestational age and umbilical artery pH (p=0.000). We evaluated the umbilical artery pH value in different delivery mode. Vaginal delivery cases showed negative correlation (p=0.000), but elective cesarean section cases didnt. Low pH patients defined by both criteria of pH less than 7.10 and pH less than (mean -2SD) showed significantly increased risk of 5 minutes Apgar score of less than 7 (pH less than 7.10: p=0.000, pH less than (mean -2SD): p=0.001) and meconium staining more than grade II (pH less than 7.10: p=0.001, pH less than (mean -2SD): p=0.001). Conclusion: Our results suggest that umbilical cord pH has a negative relation with gestational age during term period.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