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태(天台)는 사마타 위빠사나 삼관(三觀) 등 근본불교로부터 대승불교에 이르는 수행법들을 총정리하여 지관법문(止觀法門)을 열었다. 그의 지관법은 선정과 삼매를 통해 마음을 한 곳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751120
2015
Korean
지관법문 ; 사마타 ; 위빠사나 ; 삼관 ; 지관명상 ; 식문 ; 색문 ; 심문 ; 소지관 ; 지관수행법 ; 심신치유 ; Jigwan Sutra ; Samatha ; Vipassana ; Samgwan (三觀) ; Jigwanigwan Meditation (止觀冥想) ; breathing gate(息門) ; observation gate (色門) ; mind gate (心門) ; the Jigwan practice method ; heal performers’ minds and bodies
220
KCI등재
학술저널
257-281(25쪽)
6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천태(天台)는 사마타 위빠사나 삼관(三觀) 등 근본불교로부터 대승불교에 이르는 수행법들을 총정리하여 지관법문(止觀法門)을 열었다. 그의 지관법은 선정과 삼매를 통해 마음을 한 곳에 ...
천태(天台)는 사마타 위빠사나 삼관(三觀) 등 근본불교로부터 대승불교에 이르는 수행법들을 총정리하여 지관법문(止觀法門)을 열었다. 그의 지관법은 선정과 삼매를 통해 마음을 한 곳에 모아 심신의 안정을 추구하고 올바른 지혜를 개발해서 깨달음을 얻도록 하는 수행법으로, 일종의 명상 수행법이라고 할 수 있다. 그는 ??마하지관??에서 “지관명정(止觀明靜)”이라 하여, 마음이 대상을 향하여 반연하는 것을 그치고 관조(관찰함)를 통하여 고요한 마음의 본성을 밝히는 일종의 명상법으로 보고 있다. 이 연구는 천태지관법문이 가지고 있는 지관명상으로 심신치유를 이루기 위하여 어떠한 지관 수행체계를 구축할 것인가를 모색한 것이다.
그의 지관법문은 불교 삼장의 모든 수행법을 수행자의 능력과 상황에 따라 정리한 것이다. 점차지관의 『차제법문』(『釋禪波羅蜜次第法門』)에서는 낮은 단계로부터 높은 단계의 수행법을 닦아서 구경에 이르도록 정리한 수행문이고, 원돈지관의 『마하지관(摩訶止觀)』에서는 불가사의한 원융한 실상의 경계를 체득하는 관법의 수행문이며, 부정지관의 ??육묘법문(六妙法門)??에서는 앞의 두 지관문의 체계를 따르지 않고 단일의 수행체계를 능력과 상황에 맞게 활용하도록 한 수행문이다. 여기에 이들 법문의 중요한 수행법을 요약해서 초심자들의 깨달음을 돕도록 지어진 『소지관(小止觀)』을 포함하여 사종지관이라고도 한다.
근래에 들어 불교의 명상법들이 심리치료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그 수행법은 호흡을 통한 아나파나와 대상을 관찰하는 위빠사나 수행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천태는 이들 두 가지 명상수행법을 지관법문에서 모두 수용하고 있다. 그리고 그는 이미 지관법문의 방편장 정수장에서 명상을 심신치유에 사용하였다.
심신치유를 위한 지관명상의 수행체계는 다음의 두 가지 방법을 모색할 수 있다. 첫째, 지관명상 수행체계는 지관법문에 있는 방편장과 정수장을 단일의 수행문으로 통괄하여 식문(息門) · 색문(色門) · 심문(心門)의 3문으로 구성하는 것이 유용하다는 것이다. 둘째, 차제지관 방법은 식문 색문의 순서로 단계적 수행체계를 구성하며, 원돈지관은 색문과 심문을 십승관법으로 수행하게 하고, 부정지관에서는 육묘문을 심신의 상태에 따라 10문을 취사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i?ntai (天台) opened Jigwan Sutra (止觀法門) by comprehensively organizing practice methods ranging from Original Buddhism to Mahayana Buddhism and including Samatha, Vipassana, and Samgwan (三觀). His Jigwan Sutra aims to collect minds in on...
Ti?ntai (天台) opened Jigwan Sutra (止觀法門) by comprehensively organizing practice methods ranging from Original Buddhism to Mahayana Buddhism and including Samatha, Vipassana, and Samgwan (三觀). His Jigwan Sutra aims to collect minds in one place, thereby pursuing the stability of the mind and the body and enabling the development proper wisdom to obtain enlightenment: this can be said to be a sort of meditation performances. In Maha Jigwan, he stated “Jigwan is illuminating and stabilizing (止觀明靜),” presenting Jigwan as a sort of meditations that enables the mind stop responding to objects and illuminates the nature of tranquil mind through observation.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discover a Jigwan system of practice that must be established in order to achieve mind and body healing through Jigwan meditation (止觀冥想), as set forth in the Ti?ntai Jigwan Sutra.
Ti?ntai’s Jigwan Sutra organized all of the performances in the Pali Canon of Buddhism according to the performers’ abilities and situations and is commonly called “three kinds of Jigwan” (三種止觀). The three kinds of Jigwan refer to Jeomchajigwan (『釋禪波羅蜜次第法門』), Bujeongjigwan (『六妙法門』), and Wondonjigwan (『摩訶止觀』). The Jeomchajigwan is a performance writing organized so that the performer can begin with low level performances and progress to higher-level performances in order to reach the state of enlightenment. The indefinite Jigwan includes performances that do not follow the systems or writing styles of the order two Jigwan forms, but utilize a single performance system in order to match abilities and situations. These writings, plus the Sojigwan(小止觀) which summarized important performances in these writings in order to help the enlightenment of beginners are called four kinds of Jigwan (四種止觀).
Recently, meditation methods from Buddhism have been widely used in psychotherapy. The performances mainly include Anapana which is implemented through breathing and vipassana that is implemented by observing objects. Ti?ntai accommodated both of these meditation methods in the Jeomchajigwan, Wondonjigwan, and Bujeongjigwan. In addition, he already used these two methods of meditation to heal performers’ minds and bodies in the Bangpyeonjang (方便章) and Jeongsujang (正修章) of the Jigwan Sutra.
The following two methods may be presented as Jigwan meditation performance systems for mind and body healing. First, as one Jigwan meditation performance system, it is useful to integrate the Bangpyeonjang and Jeongsujang in the Jigwan Sutra into one performance writing and composing it into three gates: the breathing gate (息門), the observation gate (色門), and the mind gate (心門). Second, as for a method for the gradual vipassana, a stepwise performance system can be constructed in the order of precedence of the breathing gate and the observation gate. In the case of Wondonjigwan, the observation gate and the breathing gate can be performed in the Sipseunggwan method (十乘觀法) and in the case of Bujeongjigwan, ten writings can be Jeomchajigwan selected from the Yukmyo writings (六妙門)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conditions of the mind and bod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六妙法門"
2 오지연, "천태지관이란 무엇인가-圓頓止觀의 성립과 전개-" 연기사 1999
3 김종두, "천태지관(天台止觀)을 통한 심리치료법의 고찰" 한국선학회 (39) : 227-260, 2014
4 최기표, "천태 점차지관의 수행체계 연구" 동국대학교 2000
5 배효상, "사상체질에 따라 마음챙김 명상이 분노에 미친 영향 연구" 사상체질의학회 26 (26): 133-145, 2014
6 김진무, "불교의 사대설과 한의학 수용에 관한 고찰" 6 (6): 2005
7 란메이, "불교의 명상" 일빛 22-30, 2011
8 이남경, "불교수행의 심리치료적 적용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2011
9 김근우, "명상프로그램(α version) 시행 전후의 사상체질별 심리척도 및 HRV 변화 연구"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25 (25): 1-12, 2014
10 불교와 사상의학연구회, "명상 어떻게 연구되었나?" 올리브그린 94-,
1 "六妙法門"
2 오지연, "천태지관이란 무엇인가-圓頓止觀의 성립과 전개-" 연기사 1999
3 김종두, "천태지관(天台止觀)을 통한 심리치료법의 고찰" 한국선학회 (39) : 227-260, 2014
4 최기표, "천태 점차지관의 수행체계 연구" 동국대학교 2000
5 배효상, "사상체질에 따라 마음챙김 명상이 분노에 미친 영향 연구" 사상체질의학회 26 (26): 133-145, 2014
6 김진무, "불교의 사대설과 한의학 수용에 관한 고찰" 6 (6): 2005
7 란메이, "불교의 명상" 일빛 22-30, 2011
8 이남경, "불교수행의 심리치료적 적용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2011
9 김근우, "명상프로그램(α version) 시행 전후의 사상체질별 심리척도 및 HRV 변화 연구"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25 (25): 1-12, 2014
10 불교와 사상의학연구회, "명상 어떻게 연구되었나?" 올리브그린 94-,
11 慧命, "마하지관의 이론과 실천" 경서원 27-, 2011
12 임승택, "마음지킴의 차제적 성격에 관한 일고찰" 1 : 102-103, 2002
13 임승택, "마음지킴(sati)의 위상과 용례에 대한 재검토" 보조사상연구원 19 : 8-352, 2003
14 金煐泰, "니르바나에 이르는 여섯가지의 길" 經書院 67-,
15 湛然述, "止觀大意"
16 박성식, "東武 李濟馬의 四象醫學과 佛敎의 影響" 불교문화연구원 (57) : 261-293, 2011
17 "摩訶止觀 卷第二"
18 김종두, "天台의 病因論과 治病法" 불교문화연구원 44 (44): 197-218, 2006
19 大野榮人, "天台止觀成立史の硏究" 法藏館 323-, 1994
20 윤성문, "天台二十五方便의 심리치유원리와 활용" 동국대학교 2013
21 "大集法門經 卷上"
22 影山教俊, "修行と情動制御―瞑想後術の体系化に向けて―" (3) : 2012
23 "修習止觀坐禪法要"
24 이기운, "佛敎와 四象醫學의 ‘醫’개념 -天台 止觀書와 李濟馬의 東醫壽世保元에 나타난 病因論을 중심으로-" 한국선학회 (31) : 351-383, 2012
25 鎌田茂雄, "体と心の調節法-天台小止觀物語-" 大法輪閣 9-10, 1992
26 "『釋禪波羅蜜次第法門』 卷第二 分別禪波羅蜜前方便第六之一"
27 影山敎俊, "『佛敎の身體技法』-止觀と心理療法, 佛敎醫學-" 國書刊行會 57-, 2007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9-16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 Buddhist Culture Research Institute |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23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n Buddhist Research Institute -> Institute for Buddhist Culture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3 | 0.73 | 0.6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3 | 0.55 | 1.313 | 0.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