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변호사의 신뢰 상실에 따른 윤리적 태도 확립을 위한 제언 = A Proposal for Ethical Attitude to Attorney’s Wrongdo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09245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is trying to propose of necessity of ethical attitude to attorney's wrongdoing. Necessity of ethical attitude to attorney's wrongdoing is ethical study of the moral values inherent in legal practice and of the rules and principles that ought to govern the conduct of individual attorney and attorney community. Attorneys are a privileged position in a social community. They are privileged by reason of their close involvement in the law applying enterprise that converts social situations into legal categories, and offers legal remedies in a wide range of circumstances. This is a power of attorneys. The attorney's power is considerable because every concrete social situation is unique and there is nearly always some room for choice in the application of general rules to particular facts. And attorneys function as gatekeepers between citizens and officials, as mediators between individuals and the society. This power and privileged brings with it responsibility of the interests of clients and the demands of the community and the state. Therefore, necessity of ethical attitude of attorney's wrongdoing matter is not only to attorney, but also everyone. That is, necessity of ethical attitude of attorney's wrongdoing emphasis on social roles of attorneys. This paper aims to show that attorneys are responsibility of ethical attitude for the social community.
      번역하기

      This paper is trying to propose of necessity of ethical attitude to attorney's wrongdoing. Necessity of ethical attitude to attorney's wrongdoing is ethical study of the moral values inherent in legal practice and of the rules and principles that ough...

      This paper is trying to propose of necessity of ethical attitude to attorney's wrongdoing. Necessity of ethical attitude to attorney's wrongdoing is ethical study of the moral values inherent in legal practice and of the rules and principles that ought to govern the conduct of individual attorney and attorney community. Attorneys are a privileged position in a social community. They are privileged by reason of their close involvement in the law applying enterprise that converts social situations into legal categories, and offers legal remedies in a wide range of circumstances. This is a power of attorneys. The attorney's power is considerable because every concrete social situation is unique and there is nearly always some room for choice in the application of general rules to particular facts. And attorneys function as gatekeepers between citizens and officials, as mediators between individuals and the society. This power and privileged brings with it responsibility of the interests of clients and the demands of the community and the state. Therefore, necessity of ethical attitude of attorney's wrongdoing matter is not only to attorney, but also everyone. That is, necessity of ethical attitude of attorney's wrongdoing emphasis on social roles of attorneys. This paper aims to show that attorneys are responsibility of ethical attitude for the social communi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국가나 사회에서 이른바 주도적 역할을 한다고 하는 사회적 리더의 도덕적 해이와 윤리적 일탈은 사회나 국가의 윤리 기반 전체를 토대부터 허물어뜨리게 된다. 대체로 그들의 윤리적 일탈은 그들이 사회에서 행사하는 사회적 영향력을 상쇄시키지 못할 만큼 커다란 사회적 파행으로 점철되고 만다. 이런 사회적 파행 가운데 하나로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사회 구성원의 권리 침해에 맞서 그들의 이익을 직접 대변해야 할 법률 전문인인 변호사조차 이러한 윤리적 일탈에 빈번히 가담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이런 까닭에, 사회 구성원의 이익을 위해 법을 다루어야 할 변호사 자신이 오히려 법을 지키지 않거나 윤리적 일탈과 직접 결부되어 있다는 사실은 우리의 직접적인 윤리적 논의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이 글은 변호사들이 사회 일반 구성원들로부터 신뢰를 회복하고 사회와 사회 구성원의 권익 보호를 위한 존재로서 그 직업적 책무를 다하기 위해서는 변호사에 대한 엄격한 윤리 기준 적용과 그에 따른 윤리적 태도 확립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차원에서, 변호사의 신뢰 상실에 따른 구체적 윤리 회복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에 따라 이 글에서는 먼저, 변호사들의 윤리적 일탈에 대한 실제 사례와 그런 일탈과 비행이 가져오는 막대한 사회적 영향력부터 소개할 것이다. 그런 다음, 변호사가 사회 일반 구성원들로부터 직업적 정당성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변호사들 스스로 엄격한 윤리 기준을 마련하거나 이것을 적극적으로 실천해나가는 용기를 보이는 식으로 자신의 도덕성을 회복하려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는 차원에서, 변호사의 윤리적 태도 확립의 의의를 적극 개진할 것이며 그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할 것이다. 특히, 변호사 윤리 회복에 대한 자구적인 노력의 방안으로 노블리스 오블리제 태도 확립, 직분 도덕에 대한 의무를 제안할 것이며, 변호사들에 대한 도덕 품성 교육 역시 강화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할 것이다. 그리고 사회 일반 구성원들이 변호사의 윤리적 태도 회복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제안도 곁들일 것이다.
      번역하기

      국가나 사회에서 이른바 주도적 역할을 한다고 하는 사회적 리더의 도덕적 해이와 윤리적 일탈은 사회나 국가의 윤리 기반 전체를 토대부터 허물어뜨리게 된다. 대체로 그들의 윤리적 일탈...

      국가나 사회에서 이른바 주도적 역할을 한다고 하는 사회적 리더의 도덕적 해이와 윤리적 일탈은 사회나 국가의 윤리 기반 전체를 토대부터 허물어뜨리게 된다. 대체로 그들의 윤리적 일탈은 그들이 사회에서 행사하는 사회적 영향력을 상쇄시키지 못할 만큼 커다란 사회적 파행으로 점철되고 만다. 이런 사회적 파행 가운데 하나로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사회 구성원의 권리 침해에 맞서 그들의 이익을 직접 대변해야 할 법률 전문인인 변호사조차 이러한 윤리적 일탈에 빈번히 가담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이런 까닭에, 사회 구성원의 이익을 위해 법을 다루어야 할 변호사 자신이 오히려 법을 지키지 않거나 윤리적 일탈과 직접 결부되어 있다는 사실은 우리의 직접적인 윤리적 논의의 대상이 될 수 있다.
      이 글은 변호사들이 사회 일반 구성원들로부터 신뢰를 회복하고 사회와 사회 구성원의 권익 보호를 위한 존재로서 그 직업적 책무를 다하기 위해서는 변호사에 대한 엄격한 윤리 기준 적용과 그에 따른 윤리적 태도 확립이 절실히 필요하다는 차원에서, 변호사의 신뢰 상실에 따른 구체적 윤리 회복 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한다. 이에 따라 이 글에서는 먼저, 변호사들의 윤리적 일탈에 대한 실제 사례와 그런 일탈과 비행이 가져오는 막대한 사회적 영향력부터 소개할 것이다. 그런 다음, 변호사가 사회 일반 구성원들로부터 직업적 정당성을 인정받기 위해서는 변호사들 스스로 엄격한 윤리 기준을 마련하거나 이것을 적극적으로 실천해나가는 용기를 보이는 식으로 자신의 도덕성을 회복하려는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는 차원에서, 변호사의 윤리적 태도 확립의 의의를 적극 개진할 것이며 그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할 것이다. 특히, 변호사 윤리 회복에 대한 자구적인 노력의 방안으로 노블리스 오블리제 태도 확립, 직분 도덕에 대한 의무를 제안할 것이며, 변호사들에 대한 도덕 품성 교육 역시 강화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안할 것이다. 그리고 사회 일반 구성원들이 변호사의 윤리적 태도 회복에 관심을 가질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제안도 곁들일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도현, "한국의 법 전문직과 법률가 양성"

      2 전택수, "한국경제의 선진화에 있어서 한국인의 전통적인 경제문제와 법치원리" 한국정신문화원 2004

      3 "소비자보호원 피해구제사례"

      4 사법개혁위원회, "사법서비스 및 형사사법제도"

      5 윤혜진, "변호사의 직업상 거짓말에 대하여" 한국동서철학회 (52) : 365-387, 2009

      6 윤혜진, "법조윤리의 기초" 한국동서철학회 (45) : 321-341, 2007

      7 "법률신문, 2004년 7월 12일"

      8 "미디어다음, 2004년 3월 22일"

      9 윤혜진, "도덕 품성 교육에 관한 고찰 ―에드문드 핀코프의 덕윤리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동서철학회 (51) : 323-345, 2009

      10 "대한변호사협회"

      1 김도현, "한국의 법 전문직과 법률가 양성"

      2 전택수, "한국경제의 선진화에 있어서 한국인의 전통적인 경제문제와 법치원리" 한국정신문화원 2004

      3 "소비자보호원 피해구제사례"

      4 사법개혁위원회, "사법서비스 및 형사사법제도"

      5 윤혜진, "변호사의 직업상 거짓말에 대하여" 한국동서철학회 (52) : 365-387, 2009

      6 윤혜진, "법조윤리의 기초" 한국동서철학회 (45) : 321-341, 2007

      7 "법률신문, 2004년 7월 12일"

      8 "미디어다음, 2004년 3월 22일"

      9 윤혜진, "도덕 품성 교육에 관한 고찰 ―에드문드 핀코프의 덕윤리적 관점을 중심으로―" 한국동서철학회 (51) : 323-345, 2009

      10 "대한변호사협회"

      11 "네이버 용어"

      12 Oldenquist, Andrew, "‘Indoctrination’ and ‘Societal Sucide’" 63 : 1981

      13 MacIntyer, A, "What has Ethics to learn from Medical Ethics?" 37 : 1978

      14 Louden, R, "Virtue Ethics and Anti-Theory" 1989

      15 Battin, Margaret P, "The Professional-Client Relationship: Introductory. In: Ethical Issues in the Professions" Prentice-Hall 1989

      16 Christensen, Barlow F, "The Lawyer’s Pro Bono Publico Responsibility" 1981

      17 Pincoffs, Edmund, "Quandaries and Virtues: Against Reductivism in Ethics" University Press of Kansas 1986

      18 Tur, R. H. S, "Legal Ethics, Overview. In: Encyclopedia of Applied Ethics, vol 3" Academic Press 1998

      19 Pojman, Louis P, "Ethics: Discovering Right and Wrong" Wadsworth Publishing Co 1990

      20 Lyons,D, "Ethics and the Rule of Law"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4

      21 Bradley, F. H, "Ethical Studies, 2ed" Oxford University Press 1927

      22 Kronman, "A Life in the Law" 54 : 198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3 0.53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1 0.47 1.284 0.1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