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스리랑카 빨리⋅불교학의 양대 거목말라라세케라와 자야틸레케의 학문과 방법 = On the Scholarship of Two Outstanding Personalities, G.P. Malalasekera and K.N. Jayatillek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8217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surveys the scholarship of two outstanding Buddhist scholars, G.P. Malalasekera and K.N. Jayatilleke. Today’s Pāli and Buddhist studies in Sri Lanka may roughly b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philological studies and philosophical st...

      This paper surveys the scholarship of two outstanding Buddhist scholars, G.P. Malalasekera and K.N. Jayatilleke. Today’s Pāli and Buddhist studies in Sri Lanka may roughly b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philological studies and philosophical studies. G.P. Malalasekera and K.N.
      Jayatilleke’s contributions to Pāli and Buddhist studies are quite crucial because they are considered the fathers of these two fields of Buddhist studies in Sri Lanka. G.P. Malalasekera’s achievements in the field of philological studies is best demonstrated as the compiler of the Dictionary of Pāli Proper Names and the founding editor-in-chief of the Encyclopaedia of Buddhism. However, his achievements were not confined to the realm of academia, for his career was distinguished in several other notable aspects: as educator, religious and social leader and even diplomat. In this way, he combined activism with scholarship in equal measure. K.N. Jayatilleke’s contributions to scholarship center on his having initiated a new approach to the study of Buddhist philosophy and his having attempted to point out the relevance of the philosophy of the Buddha in contemporary philosophical controversies and the problems of modern man. In his monumental work, Early Buddhist Theory of Knowledge, he convincingly argued that Early Buddhism was empirical in its theory of knowledge. He took great pains to convince the academic community as well as the general public that Buddhism can be valued not only as a religion, a faith or a creed but also as a challenging system of thought that could be valued from the perspectives of the highest achievements of the human intellect in philosophy and modern science. Although their scholastic methodologies were different, they were basically on the same level in the sense that they evinced a lively interest in public issues of the day. For them, Buddhist scholarship was not for its own sake. Only if Buddhist scholarship becomes an incentive for those who aspire to Nibbāna can it obtain true vitality and soteriological significance. These two giants will be ever remembered by Buddhist scholars and the general public who appreciate their contributions to Pāli and Buddhist stud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스리랑카의 뛰어난 불교학자인 말라라세케라(G.P. Malalasekara) 와 자야틸레케(K.N. Jayatilleke)의 학문을 탐구한다. 오늘날 스리랑카의 빨리⋅ 불교학(Pāli and Buddhist Studies)은 문헌학적 ...

      본 논문은 스리랑카의 뛰어난 불교학자인 말라라세케라(G.P. Malalasekara) 와 자야틸레케(K.N. Jayatilleke)의 학문을 탐구한다. 오늘날 스리랑카의 빨리⋅ 불교학(Pāli and Buddhist Studies)은 문헌학적 연구와 철학적 연구라는 두 범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말라라세케라는 문헌학적 연구의 아버지로, 자야틸레케는 철학적 연구의 아버지로 각각 간주될 만큼 빨리⋅불교학에 기여한 그들의 공헌은 더할 나위 없이 크다. 말라라세케라는 많은 분야에서 활동한 다재다능한 인물이었다. 문헌학적 연구에서 그의 업적은 『빨리어 고유명사 사전(Dictionary of Pāli Proper Names)』의 편찬과 『불교백과사전(Encyclopaedia of Buddhism)』의 초대 편집장에서 잘 드러난다. 하지만 그의 업적은 비단 학계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왜냐하면 그는 교육가, 종교⋅사회적 지도자, 심지어 외교관과 같은 다른 분야에서도 두각을 나타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그는 학문과 활동을 동일하게 결합하였다. 학계에 대한 자야틸레케의 공헌은 주로 불교철학에 새로운 접근을 시도했으며 당대 철학적 논점들과 현대인의 문제들에대한 불교 철학의 관련성을 지적하는 데 집중되어 있다. 자야틸레케의 역작이자 기념비적인 저서인 『초기 불교의 지식론(Early Buddhist Theory of Knowledge)』 에서 그는 초기 불교가 그 지식론에서 경험주의라는 점을 설득력 있게 논증하고 있다. 자야틸레케는 일반 대중뿐만 아니라 학자들도 불교가 단지 종교나신앙이나 신념으로서 가치가 있을 뿐만 아니라 철학과 현대 과학의 최고 업적이라는 측면에서 가치가 있는 도전적인 사상 체계임을 납득시키려고 노력했다. 비록 두 학자들의 학문적 방법은 달랐지만 모두 당시 사회적 이슈들에남다른 관심을 보였다는 점에서 이들의 지향점은 기본적으로 같았다고 할 수있다. 그들은 공통적으로 불교학이 불교학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열반(涅槃, nibbāna)을 추구하는 사람들을 자극할 때만이 비로소 그 진정한 생명력과 구원론적인 의미를 얻는다고 보았다. 그들은 앞으로도 세계의 빨리⋅불교학에기여한 점을 높이 평가하는 불교학자들과 일반 대중들의 마음속에 영원히 살아 숨 쉴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석오진, "파아나두라 대논쟁 : 기독교인가 불교인가" 운주사 2001

      2 스티븐 배철러, "어느 불교무신론자의 고백" 궁리 2014

      3 김한상, "스리랑카 빨리⋅불교학 - 역사적 고찰과 분석 -" 한국불교학회 (76) : 7-38, 2015

      4 정준영, "빠알리 삼장의 스리랑카어 번역에 대한 연구 : 붓다자얀띠(Buddha-Jayanti) 역경사업을 중심으로" 인도철학회 (27) : 315-343, 2009

      5 Harris E. J., "Theravāda Buddhism and the British Encounter: Religious, missionary and colonial experience in nineteenth-century Sri Lanka" Routledge Taylor & Francis Group 2006

      6 Heinz Bechert, "The World of Buddhism" Thames and Hudson 1991

      7 N.A. Jayawickrama, "The World Fellowship of Buddhists and Its Founder President G.P. Malalasekera"

      8 Tilakaratne Asanga, "The State of Buddhist Studies in the World 1972~1993" Center for Buddhist Studies, Chulalongkorn University 33-71, 2000

      9 Malalasekera G. P., "The Pāli Literature of Ceylon" BPS 1994

      10 Jayatilleke K. N., "The Principles of International Law in Buddhist Doctrine" A.W. Sijthoff 1967

      1 석오진, "파아나두라 대논쟁 : 기독교인가 불교인가" 운주사 2001

      2 스티븐 배철러, "어느 불교무신론자의 고백" 궁리 2014

      3 김한상, "스리랑카 빨리⋅불교학 - 역사적 고찰과 분석 -" 한국불교학회 (76) : 7-38, 2015

      4 정준영, "빠알리 삼장의 스리랑카어 번역에 대한 연구 : 붓다자얀띠(Buddha-Jayanti) 역경사업을 중심으로" 인도철학회 (27) : 315-343, 2009

      5 Harris E. J., "Theravāda Buddhism and the British Encounter: Religious, missionary and colonial experience in nineteenth-century Sri Lanka" Routledge Taylor & Francis Group 2006

      6 Heinz Bechert, "The World of Buddhism" Thames and Hudson 1991

      7 N.A. Jayawickrama, "The World Fellowship of Buddhists and Its Founder President G.P. Malalasekera"

      8 Tilakaratne Asanga, "The State of Buddhist Studies in the World 1972~1993" Center for Buddhist Studies, Chulalongkorn University 33-71, 2000

      9 Malalasekera G. P., "The Pāli Literature of Ceylon" BPS 1994

      10 Jayatilleke K. N., "The Principles of International Law in Buddhist Doctrine" A.W. Sijthoff 1967

      11 Jayatilleke K. N., "The Message of the Buddha" George Allen and Unwin Ltd. 1975

      12 Walshe, Maurice, "The Long Discourses of the Buddha: A Translation of the Dīgha Nikāya" Wisdom Publications 1995

      13 Anālayo, Satipaṭṭhāna, "The Direct Path to Realization" Windhorse Publications 2003

      14 Swearer, Donald K., "The Buddhist World of Southeast Asia"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2012

      15 Bond George D., "The Buddhist Revival in Sri Lanka: Religious Tradition, Reinterpretation and Response"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1988

      16 Wittgenstein, Ludwig, "The Blue and Brown Books: Preliminary Studies for the Philosophical Investigations" Basil Blackwell 1958

      17 "Sutta-Nipāta, PTS"

      18 Jayatilleke K. N., "Survival and Karma in Buddhist Perspective" BPS 1969

      19 "Saṃyutta-Nikāya. 5 Vols., PTS"

      20 Stanley E. Abeynayake, "Remembering Dr. G. P. Malalasekera: An outstanding Lankan"

      21 Jayakody J. A. K., "Nov. 9th is the 103rd birth anniversary of Prof. G. P. Malalasekera:Scholar who blazed a new trail for Lanka"

      22 Smart Ninian, "Mind Vol. 75" 453-455, 1966

      23 Padmasiri de Silva, M.W., "Memorial Tribute to the Late Professor K. N. Jayatilleke" 21 (21): 195-201, 1971

      24 "Majjhima-Nikāya. 3 Vols., PTS"

      25 "Itivuttaka, PTS"

      26 Radhakrishnan, S., "Indian Philosophy Vols. I" George Allen & Unwin 1962

      27 Eliot Sir Charles, "Hinduism and Buddhism: An Historical Sketch Vol. I" Routledge & Kegan Paul 1968

      28 Malalasekera G.P., "Gems of Buddhist Wisdom" The Buddhist Missionary Society 69-88, 1996

      29 Tilakaratne Asanga, "Encyclopedia of Buddhism, Vol. VI" The Government of Sri Lanka 37-41, 1996

      30 Guruge Ananda W.P., "Encyclopedia of Buddhism Vol. VI" The Government of Sri Lanka 582-586, 1996

      31 Malalasekera, G.P., "Encyclopedia of Buddhism Vol. I"

      32 Robinson Richard H., "Early Buddhist Theory of Knowledge by K. N. Jayatilleke" 19 (19): 69-81, 1969

      33 Jayatilleke K. N., "Early Buddhist Theory of Knowledge" George Allen and Unwin Ltd. 1963

      34 "Dīgha-Nikāya. 3 Vols., PTS"

      35 Kalupahana David J., "Buddhist Philosophy: A Historical Analysis" The University Press of Hawaii 1976

      36 G.P. Malalasekera, "Buddhism and the Race Question" Unesco 1958

      37 Richard Gombrich, "Buddhism Transformed: Religious Change in Sri Lanka"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8

      38 "Aṅguttara-Nikāya. 5 Vols., PT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신청제한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7 0.27 0.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5 0.34 0.743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