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빛과 그림자를 이용한 가변 형상 제작에 관한 연구 1 = A Study on the Production of Variable Figures Using the Light and the Shadow.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7998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light is a key element for recognizing the object. It makes the size, the shape and the location of an object to be recognizable. It also gives the three-dimensional effect and the depth of an object as well as the passing of time through the shad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possibility of producing a Variable Figure shape using the shadow generated by the light. Chapters 1 and 2 introduces the background, purpose, and methodology of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the physical attributes of light and shadow and Chapter 3 categorizes the previous works of formative shape using light and shadow. Chapters 4 and 5 studies the necessary principles and structures such as the shape, height, distance, and angel of the image slate used for producing shadow figures with natural and artificial light. The latter chapters further prove the possibility of producing a Variable Figure shape using the shadow by creating an actual work using the given principles and structures.
      Unlike previous works of the formative shape of shadow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light and the shadow and introduces actually produced works to confirm that it is possible to create a Variable Figure shape using the shadow. We expect that, by the conversion with other area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applicable in a wide-range of aspects.
      번역하기

      The light is a key element for recognizing the object. It makes the size, the shape and the location of an object to be recognizable. It also gives the three-dimensional effect and the depth of an object as well as the passing of time through the shad...

      The light is a key element for recognizing the object. It makes the size, the shape and the location of an object to be recognizable. It also gives the three-dimensional effect and the depth of an object as well as the passing of time through the shad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possibility of producing a Variable Figure shape using the shadow generated by the light. Chapters 1 and 2 introduces the background, purpose, and methodology of the present study as well as the physical attributes of light and shadow and Chapter 3 categorizes the previous works of formative shape using light and shadow. Chapters 4 and 5 studies the necessary principles and structures such as the shape, height, distance, and angel of the image slate used for producing shadow figures with natural and artificial light. The latter chapters further prove the possibility of producing a Variable Figure shape using the shadow by creating an actual work using the given principles and structures.
      Unlike previous works of the formative shape of shadow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light and the shadow and introduces actually produced works to confirm that it is possible to create a Variable Figure shape using the shadow. We expect that, by the conversion with other area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applicable in a wide-range of aspec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빛은 사물을 인지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빛은 사물의 크기, 형태, 공간적 위치를 인지하게 하며, 입체감과 물체의 깊이, 시간성을 그림자를 통하여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빛을 사용한 조형 표현들 중에서도 빛에 의해 생성되는 그림자 형상 제작과 이를 이용한 가변 형상 제작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면 1장과 2장에서는 빛에 의해 생성되는 그림자 형상제작에 관하여 연구하게 된 배경과 목적, 방법 빛과 그림자의 물리적 성질에 대하여 개관하고, 3장에서는 빛과 그림자를 이용한 조형표현의 선행 작품들을 분류하였다. 4장과 5장에서는 자연광과 인공광에 의한 그림자 형상 제작에 있어 이미지판의 형태, 높이, 간격, 각도 등 제작 상에 필요한 원리 및 구조에 대하여 연구하고, 이를 통한 그림자 가변 형상 제작을 실제 작품 제작을 통해 그 가능성을 검증 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되었던 그림자 조형 표현과 달리, 다양한 표현 방법을 통해서 자연광과 인공광을 이용한 시간성과 가변성에 의한 그림자 가변 형상 제작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가 제안하는 그림자를 이용한 표현방법이 다른 분야와의 융합을 통해 폭넓게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번역하기

      빛은 사물을 인지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빛은 사물의 크기, 형태, 공간적 위치를 인지하게 하며, 입체감과 물체의 깊이, 시간성을 그림자를 통하여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해 준다. ...

      빛은 사물을 인지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이다. 빛은 사물의 크기, 형태, 공간적 위치를 인지하게 하며, 입체감과 물체의 깊이, 시간성을 그림자를 통하여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해 준다. 본 연구의 목적은 빛을 사용한 조형 표현들 중에서도 빛에 의해 생성되는 그림자 형상 제작과 이를 이용한 가변 형상 제작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의 내용을 정리하면 1장과 2장에서는 빛에 의해 생성되는 그림자 형상제작에 관하여 연구하게 된 배경과 목적, 방법 빛과 그림자의 물리적 성질에 대하여 개관하고, 3장에서는 빛과 그림자를 이용한 조형표현의 선행 작품들을 분류하였다. 4장과 5장에서는 자연광과 인공광에 의한 그림자 형상 제작에 있어 이미지판의 형태, 높이, 간격, 각도 등 제작 상에 필요한 원리 및 구조에 대하여 연구하고, 이를 통한 그림자 가변 형상 제작을 실제 작품 제작을 통해 그 가능성을 검증 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되었던 그림자 조형 표현과 달리, 다양한 표현 방법을 통해서 자연광과 인공광을 이용한 시간성과 가변성에 의한 그림자 가변 형상 제작 표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가 제안하는 그림자를 이용한 표현방법이 다른 분야와의 융합을 통해 폭넓게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열, "착시디자인" 브랜미술 1996

      2 "조열"

      3 아사쿠라나오미, "예술디자인의 빛의구성" 조형사 1992

      4 "미술대사전"

      5 "두산백과"

      6 전신종, "그림자를 이용한 시각적 표현 개발과 수퍼그래픽디자인에서의 적용 : 판재형 오브제 실험을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2002

      7 "굿모님 국어사전"

      8 조열, "거울 반사 각 제어에 의한 가변 형상 제작 연구 1-시각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15 (15): 675-684, 2014

      9 "http://www.paikhygallery.com/03_02_2004_jt.htm"

      10 "http://larrykagansculpture.com/"

      1 조열, "착시디자인" 브랜미술 1996

      2 "조열"

      3 아사쿠라나오미, "예술디자인의 빛의구성" 조형사 1992

      4 "미술대사전"

      5 "두산백과"

      6 전신종, "그림자를 이용한 시각적 표현 개발과 수퍼그래픽디자인에서의 적용 : 판재형 오브제 실험을 중심으로" 한성대학교 2002

      7 "굿모님 국어사전"

      8 조열, "거울 반사 각 제어에 의한 가변 형상 제작 연구 1-시각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기초조형학회 15 (15): 675-684, 2014

      9 "http://www.paikhygallery.com/03_02_2004_jt.htm"

      10 "http://larrykagansculpture.com/"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2-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4 0.34 0.51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