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朱子의 南嶽遊山詩와 퇴계학파의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2073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宋代의 理學을 집대성하여 朱子라고 칭송되는 晦庵朱熹(1130∼
      1200)와 南軒張?(1133∼1180)과 林用中세 사람이 衡山을 유람
      하고 『南嶽唱酬集』을 남겼는데, 이 가운데 특히 주자의 남악유산
      과 유산시는 이후 조선조의 문인 학자들, 특히 퇴계학파의 문인
      학자들에게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영향을 밝히기 위해
      서는 주자의 남악유산시의 성격 규명이 요구되는데, 먼저 그것을
      형식·소재·주제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한 후 주자의 남악유산과
      유산시가 퇴계학파에 끼친 영향을 소개한다.
      주자의 남악유산시는 절구·율시·고시의 형식을 두루 사용하였다.
      전체적으로 7언절구가 가장 많고 율시와 고시는 모두 5언으로 지
      었으며 7언으로 지은 것은 한편도 없다. 또 다른 특징은 시를 지
      음에 있어서 簾韻의 律格에 그다지 엄하지 않았는데, 이는 율격·
      형식보다는 내용·주제를 더 중시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
      한 화차운 시가 많은 것이 그 특징인데, 이는 遊山도중 동행한
      사람들끼리 서로 번갈아가며 唱酬하였기 때문에 자연히 그럴 수밖
      에 없었다.
      주자에게 있어서는 남악 유산 도중에 만나는 산천의 풍경이 모
      두 시의 소재가 아님이 없었다. 그리고 산중에 전하는 고사·유적·
      인물도 또한 그러하였다.
      주제는 대체로 유산의 宿志와 歡喜, 자연 경물의 아름다움, 형
      산의 氣象과 豪氣, 醇正意識과 學問意思등 네 가지로 크게 요약
      된다.
      주자의 남악유산시가 퇴계학파에 끼친 영향은 ‘유산의 故事’와
      ‘시문의 典故’ 두 가지 측면으로 설명할 수 있다.
      번역하기

      宋代의 理學을 집대성하여 朱子라고 칭송되는 晦庵朱熹(1130∼ 1200)와 南軒張?(1133∼1180)과 林用中세 사람이 衡山을 유람 하고 『南嶽唱酬集』을 남겼는데, 이 가운데 특히 주자의 남악유산 ...

      宋代의 理學을 집대성하여 朱子라고 칭송되는 晦庵朱熹(1130∼
      1200)와 南軒張?(1133∼1180)과 林用中세 사람이 衡山을 유람
      하고 『南嶽唱酬集』을 남겼는데, 이 가운데 특히 주자의 남악유산
      과 유산시는 이후 조선조의 문인 학자들, 특히 퇴계학파의 문인
      학자들에게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 이러한 영향을 밝히기 위해
      서는 주자의 남악유산시의 성격 규명이 요구되는데, 먼저 그것을
      형식·소재·주제 세 가지 측면에서 분석한 후 주자의 남악유산과
      유산시가 퇴계학파에 끼친 영향을 소개한다.
      주자의 남악유산시는 절구·율시·고시의 형식을 두루 사용하였다.
      전체적으로 7언절구가 가장 많고 율시와 고시는 모두 5언으로 지
      었으며 7언으로 지은 것은 한편도 없다. 또 다른 특징은 시를 지
      음에 있어서 簾韻의 律格에 그다지 엄하지 않았는데, 이는 율격·
      형식보다는 내용·주제를 더 중시하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또
      한 화차운 시가 많은 것이 그 특징인데, 이는 遊山도중 동행한
      사람들끼리 서로 번갈아가며 唱酬하였기 때문에 자연히 그럴 수밖
      에 없었다.
      주자에게 있어서는 남악 유산 도중에 만나는 산천의 풍경이 모
      두 시의 소재가 아님이 없었다. 그리고 산중에 전하는 고사·유적·
      인물도 또한 그러하였다.
      주제는 대체로 유산의 宿志와 歡喜, 자연 경물의 아름다움, 형
      산의 氣象과 豪氣, 醇正意識과 學問意思등 네 가지로 크게 요약
      된다.
      주자의 남악유산시가 퇴계학파에 끼친 영향은 ‘유산의 故事’와
      ‘시문의 典故’ 두 가지 측면으로 설명할 수 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남악유산시 연구의 필요성
      • 2. 남악유산시와 『남악창수집』
      • 3. 남악유산시의 성격
      • 4. 퇴계학파의 영향
      • 1. 남악유산시 연구의 필요성
      • 2. 남악유산시와 『남악창수집』
      • 3. 남악유산시의 성격
      • 4. 퇴계학파의 영향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의강, "李荇의 和韻詩集 『和朱文公南嶽唱酬集』 硏究" 우리한문학회 14 (14): 105-133, 2006

      2 王利民, "流水高山萬古心 ― 『南嶽唱酬集』論析 ―"

      3 호승희, "조선전기 유산록 연구" 한국한문학회 18 : 1995

      4 韓愈, "韓昌黎集"

      5 金富倫, "雪月堂集"

      6 黃俊良, "錦溪集"

      7 심경호, "退溪의 山水遊記" 단국대학교 퇴계학연구소 10 : 1996

      8 李滉, "退溪集"

      9 "退溪集"

      10 李光庭, "訥隱集"

      1 이의강, "李荇의 和韻詩集 『和朱文公南嶽唱酬集』 硏究" 우리한문학회 14 (14): 105-133, 2006

      2 王利民, "流水高山萬古心 ― 『南嶽唱酬集』論析 ―"

      3 호승희, "조선전기 유산록 연구" 한국한문학회 18 : 1995

      4 韓愈, "韓昌黎集"

      5 金富倫, "雪月堂集"

      6 黃俊良, "錦溪集"

      7 심경호, "退溪의 山水遊記" 단국대학교 퇴계학연구소 10 : 1996

      8 李滉, "退溪集"

      9 "退溪集"

      10 李光庭, "訥隱集"

      11 "莊子"

      12 李喜朝, "芝村集"

      13 周世朋, "武陵雜稿"

      14 權好文, "松巖集"

      15 李恒老, "朱子大全箚疑輯補"

      16 "朱子大全"

      17 "月川先生年譜"

      18 鄭逑, "寒岡集"

      19 李荇, "容齋集"

      20 "孟子"

      21 "南嶽唱酬集"

      22 金宗直, "佔畢齋文集"

      23 程顥, "二程文集"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4-1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OEGYE-HAK-LON-GIB -> TOEGYE-HAK-LON-JIB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2-0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OEGYE-HAK-LON-GIB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9 0.59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4 0.42 0.934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