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일본 대학에서 비전공 한국어 과목 수강자의 수강 동기에 대한 현황과 추이 = A study of the current and longitudinal motivation of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for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who do not major in Korean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tivation of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for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who do not major in Korean. In the analysis, we compared different types of motivation for the participants classified with two dif...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tivation of learning the Korean language for Japanese university students who do not major in Korean. In the analysis, we compared different types of motivation for the participants classified with two different variables: gender and presence of former experience in Korea-related fields. In addition, we compared this study with the 2014 survey to examine if there were any longitudinal differences.
      We conducted a survey with 552 students in twelve different regions in Japan. We found that most of the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a non-major Korean language course had an internal motivation. Not many students, both male and female, were taking the Korean language class for a practical reason. This study also showed that those students who previously visited Korea were taking the language class with an internal motivation. Former experience in making Korean friends or learning the language did not seem to play an important role to form students’ motivation to take the Korean language class. As we compare the results of the current study and the 2014 study, it is noteworthy that external motivation has decreased and internal motivation has increased in contrast. Namely, internal motivation has become more crucial over tim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recalibrating the purpos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n elective subject in Japanese universities.
      (Dokkyo University · Former Yonsei KLI)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순연, "일본인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에 대한 인식 -일본 에히메현 소재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 대상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동아시아일본학회 (67) : 257-275, 2018

      2 강영숙, "일본 대학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일어일문학회 89 (89): 365-383, 2014

      3 박종후, "일본 대학의 비전공 한국어 이수자들의 학습 동기를 중심으로 한 관련 항목 분석 - 한국 관련 경험을 변인으로 고려한 분석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1 (11): 193-219, 2015

      4 김수정, "일본 대학에서의 한국어 학습자의요구 분석 - 규슈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학회 (113) : 399-432, 2004

      5 박종후, "일본 대학에서의 비전공 한국어 이수생의 학습 만족도 조사 방법론 – 학습자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10-115, 2015

      6 박종후, "일본 대학에서 한국어 교육 현황에 대한 조사 결과 보고 : 한국어 수업의 도달도 설정을 위한 기초 조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15-126, 2014

      7 박종후, "일본 대학에서 비전공 한국어 교육의 현황 조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0 (10): 119-139, 2014

      8 오고시 나오키, "일본 대학에 있어서의 한국어교육" 중앙대학교 일본어연구소 18 : 17-32, 2003

      9 오고시 나오키, "도쿄대학의 한국어교육 및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6 (16): 337-352, 2005

      10 박진희, "日本における韓国語教育に関する研究 - 大学の韓国語学習者調査にみる現状と問題" 岡山県立大学 大学教育開発センター 1 (1): 21-31, 2016

      1 이순연, "일본인 한국어 초급 학습자의 한국어에 대한 인식 -일본 에히메현 소재 대학의 한국어 학습자 대상 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동아시아일본학회 (67) : 257-275, 2018

      2 강영숙, "일본 대학의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 한국일어일문학회 89 (89): 365-383, 2014

      3 박종후, "일본 대학의 비전공 한국어 이수자들의 학습 동기를 중심으로 한 관련 항목 분석 - 한국 관련 경험을 변인으로 고려한 분석 -"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1 (11): 193-219, 2015

      4 김수정, "일본 대학에서의 한국어 학습자의요구 분석 - 규슈대학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학회 (113) : 399-432, 2004

      5 박종후, "일본 대학에서의 비전공 한국어 이수생의 학습 만족도 조사 방법론 – 학습자 변인을 중심으로"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10-115, 2015

      6 박종후, "일본 대학에서 한국어 교육 현황에 대한 조사 결과 보고 : 한국어 수업의 도달도 설정을 위한 기초 조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15-126, 2014

      7 박종후, "일본 대학에서 비전공 한국어 교육의 현황 조사" 한국언어문화교육학회 10 (10): 119-139, 2014

      8 오고시 나오키, "일본 대학에 있어서의 한국어교육" 중앙대학교 일본어연구소 18 : 17-32, 2003

      9 오고시 나오키, "도쿄대학의 한국어교육 및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6 (16): 337-352, 2005

      10 박진희, "日本における韓国語教育に関する研究 - 大学の韓国語学習者調査にみる現状と問題" 岡山県立大学 大学教育開発センター 1 (1): 21-31, 2016

      11 Woolfolk, A. E., "Educational psychology" 박학사 68-371, 200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 1 0.9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 1.03 1.376 0.4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