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 근대론자들의 이론적 출발점인 다원성을 자신의 철학적 전제로 삼으면서 보편주의적 관점을 완전히 포기하지 않는 테일러(C. Taylor)는 헤겔의 “상호인정” 개념을 통해 탈 근대론자들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탈 근대론자들의 이론적 출발점인 다원성을 자신의 철학적 전제로 삼으면서 보편주의적 관점을 완전히 포기하지 않는 테일러(C. Taylor)는 헤겔의 “상호인정” 개념을 통해 탈 근대론자들의 ...
탈 근대론자들의 이론적 출발점인 다원성을 자신의 철학적 전제로 삼으면서 보편주의적 관점을 완전히 포기하지 않는 테일러(C. Taylor)는 헤겔의 “상호인정” 개념을 통해 탈 근대론자들의 “근본적 다원주의”가 지닌 상대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은 차이에 근거한 새로운 윤리규범을 정초 하려는 테일러의 인정이론이 다양성의 권리를 손상하지 않으면서 상대주의의 위험을 어느 정도 성공적으로 극복하는지를 그의 문화 다원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비판적으로 탐색하는 것이다. 이와 함께 본 논문은 무엇보다도 테일러가 제시하는 인정의 윤리규범 속에서 각 문화의 특수성만을 고집하는 문화 다원주의적인 시각과 모든 인간에게 적용되는 보편적 규범을 추구하는 보편주의적 관점의 의사소통 가능성을 모색할 것이다. 이를 통해 다원주의와 보편주의는 서로 모순적이고 상호 제약적인 관계 속에 놓여 있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서로에 대해 서로를 풍부하게 해줄 수 있는 필요조건임이 드러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aylor’s Philosophie basiert auf der Pluralitt, von der die postmodernen Theoretiker ausgehen, whrend er doch nicht vllig den universalistischen Gesichtspunkt aufgibt. Taylor versucht die Grenze des Relativismus von "radikalem Pluralismus" der Postm...
Taylor’s Philosophie basiert auf der Pluralitt, von der die postmodernen Theoretiker ausgehen, whrend er doch nicht vllig den universalistischen Gesichtspunkt aufgibt. Taylor versucht die Grenze des Relativismus von "radikalem Pluralismus" der Postmodernisten durch den Begriff der "gegenseitigen Anerkennung" von Hegel zu berwinden. Der Hauptzweck dieser Arbeit besteht darin, die Anerkennungsethik Taylors im Hinblick auf seinen multikulturalistischen Gesichtspunkt kritisch zu berprfen, indem sie untersucht, inwieweit diese Anerkennungsethik in der Lage ist, die Gefahr des Relativismus zu berwinden, ohne die Rechte der Verschiedenheit zu schdigen. Damit will sie untersuchen, ob es in der Anerkennungsethik von Taylor die Mglichkeit der Kommunikation gibt zwischen dem Multikulturalismus, der nur an der Besonderheit jeweiliger Kultur festhlt, und dem Universalismus, der nach den allgemeingltigen Normen streben. Die Arbeit will schließlich zeigen, daß der Multikulturalismus und der Universalismus eigentlich nicht in einem sich widersprechenden und beschrnkenden Verhltnis zueinander stehen, sondern vielmehr die notwendige Bedingung freinander darstellen, die den anderen bereichern kann.
참고문헌 (Reference)
1 Honneth, A., "인정투쟁" 동녘 1996
2 Welsch, W., "우리의 포스트모던적 조건" 책세상 2001
3 박구용, "우리 안의 타자" 철학과 현실사 2003
4 Taylor, C., "불안한 현대사회" 이학사 2003
5 문성원, "배제의 배제와 환대" 동녘 2000
6 박이문, "문화다원주의의 타당성과 한계" 철학문화연구소 52 : 2002
7 장은주, "문화다원주의와 보편주의(다원주의, 축복인가 재앙인가)" 철학과 현실사 2003
8 Senghaas,D., "Zivilisierung wider Willen" Frakfurt a. M 1998
9 Benhabib, S., "The Generalized and Concrete Other(in Situating the Self Gender, Community and Postmodernis in Contemporary Ethics)" Routledge 1992
10 Hegel,G.W.F, "Phänomenologie des Geistes(in Werke in zwanzig Bänden Bd. 3)" Frankfurt a. M 1970
1 Honneth, A., "인정투쟁" 동녘 1996
2 Welsch, W., "우리의 포스트모던적 조건" 책세상 2001
3 박구용, "우리 안의 타자" 철학과 현실사 2003
4 Taylor, C., "불안한 현대사회" 이학사 2003
5 문성원, "배제의 배제와 환대" 동녘 2000
6 박이문, "문화다원주의의 타당성과 한계" 철학문화연구소 52 : 2002
7 장은주, "문화다원주의와 보편주의(다원주의, 축복인가 재앙인가)" 철학과 현실사 2003
8 Senghaas,D., "Zivilisierung wider Willen" Frakfurt a. M 1998
9 Benhabib, S., "The Generalized and Concrete Other(in Situating the Self Gender, Community and Postmodernis in Contemporary Ethics)" Routledge 1992
10 Hegel,G.W.F, "Phänomenologie des Geistes(in Werke in zwanzig Bänden Bd. 3)" Frankfurt a. M 1970
11 "Negative Freiheit?" Frankfurt. a. M 1995
12 "Grundlinien der Philosophie des Rechts(in Werke in zwanzig Bänden Bd. 7)" Frankfurt a. M 1970
13 Mead, G. H., "Geist, Idetität und Gesellschaft" Frakfurt a. M 1991
14 "Die Politik der Anerkennung(in Multikulturalismus und die Politik der Anerkenung)" Frankfurt a. M 1997
15 "Demokratie und Ausgrenzung(http://www.iwm.at/t - 14.htm)" 14 : 1997
다윈생물학의 남성중심주의비판 : 여성주의시각에서의 철학적 비판
유가철학에 있어서 文과 道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주자의 理氣論을 통해서 본 文과 道의 관계를 중심으로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3 | 0.53 | 0.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1 | 0.47 | 1.284 | 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