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과 의료기관 이용에 있어 건강증진행위의 매개효과 = Mediating Effects of Health-Promotion Behaviors on the Correlation between Self-Perceived Health and Medical Care Utilization among Older Adul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5021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on the correlation between self-perceived health and medical care utilization among older adults.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from a .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Mediation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obel test. Results: The self-perceived health and some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older adul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medical care utilization. Only the nutritional management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the self-perceived health and medical care utilization of older adults. Conclusions: The nutritional management of older adults was confirmed as an important factor to health promotion and prevention.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the political directions for establishing health care policy for the older adults.
      번역하기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on the correlation between self-perceived health and medical care utilization among older adults.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from a . Data were analyzed...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on the correlation between self-perceived health and medical care utilization among older adults. Methods: This study used data from a .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Mediation analysi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Sobel test. Results: The self-perceived health and some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older adult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medical care utilization. Only the nutritional management of health promotion behaviors had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 between the self-perceived health and medical care utilization of older adults. Conclusions: The nutritional management of older adults was confirmed as an important factor to health promotion and prevention. This study wa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the political directions for establishing health care policy for the older adult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령,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활용한 노년기 연령그룹에 따른 의료이용" 보건의료산업학회 8 (8): 49-61, 2014

      2 유수진, "한국 노인에서 건강상태와 삶의 질의 관련성: 주관적,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 중심으로" 보건의료산업학회 9 (9): 47-56, 2015

      3 전보영, "장애노인의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회 31 (31): 171-188, 2011

      4 전경숙, "의료이용의 남녀차이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 24 (24): 182-196, 2010

      5 최윤정,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서울 지역 노인의 체력, 영양상태,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 40 (40): 270-280, 2007

      6 이상매, "여성노인의 건강증진행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2 (12): 203-214, 2012

      7 김지윤, "성인의 신체활동 정도가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과학회 42 (42): 199-206, 2012

      8 김철휘, "노인의 주관적 건강, 일상생활능력,건강증진 생활양식의 관계" 한국웰니스학회 8 (8): 35-44, 2013

      9 우경숙, "노인의 사회자본과 건강위해 행위 및 건강수준이 의료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행정학회 22 (22): 497-521, 2012

      10 유진선, "노인의 건강과 의료비 간의 관계 - 운동과 주관적 건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스포츠사회학회 30 (30): 1-18, 2017

      1 최령,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활용한 노년기 연령그룹에 따른 의료이용" 보건의료산업학회 8 (8): 49-61, 2014

      2 유수진, "한국 노인에서 건강상태와 삶의 질의 관련성: 주관적, 신체적, 정신적 건강상태 중심으로" 보건의료산업학회 9 (9): 47-56, 2015

      3 전보영, "장애노인의 의료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노년학회 31 (31): 171-188, 2011

      4 전경숙, "의료이용의 남녀차이와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간호학회 24 (24): 182-196, 2010

      5 최윤정, "영양교육 프로그램이 서울 지역 노인의 체력, 영양상태,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양학회 40 (40): 270-280, 2007

      6 이상매, "여성노인의 건강증진행위가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2 (12): 203-214, 2012

      7 김지윤, "성인의 신체활동 정도가 의료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과학회 42 (42): 199-206, 2012

      8 김철휘, "노인의 주관적 건강, 일상생활능력,건강증진 생활양식의 관계" 한국웰니스학회 8 (8): 35-44, 2013

      9 우경숙, "노인의 사회자본과 건강위해 행위 및 건강수준이 의료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건행정학회 22 (22): 497-521, 2012

      10 유진선, "노인의 건강과 의료비 간의 관계 - 운동과 주관적 건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한국스포츠사회학회 30 (30): 1-18, 2017

      11 윤지현, "건강한 성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스트레스 인지, 건강 관련 습관, 혈청 생화학 지표 및 영양 섭취와의 관계" 한국식품영양학회 30 (30): 83-95, 2017

      12 C. Pu, "The impact of self rated health on medical care utilization for older people with depressive symptoms" 28 (28): 479-486, 2013

      13 W.D. Sun, "The development of health care system for older Koreans"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5

      14 M.H. Oh, "Preferences, frequency and consumption of vegetables, fruits & milk, and practices of dietary guideline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n Chungbuk area" 16 (16): 43-54, 2012

      15 N.J. Pender, "Predicting health-promoting lifestyles in the workplace" 39 (39): 326-332, 1990

      16 J. Tsai, "Physical activity and optimal self-rated health of adults with and without diabetes" 10 (10): 365-, 2010

      17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Office of disease prevention and health promotion. Healthy people(2020)"

      18 OECD, "OECD Health Statistics 2016" 2016

      19 H.R. Kim, "Nutrition transition and shiting diet linked noncommunicable diseases and policy issues" 198 (198): 27-37, 2013

      20 S.R. Do, "Increasing medical utilization and implications for the elderly" 167 (167): 1-8, 2012

      21 N. PENDER, "Health promotion in nursing practice" Appleton &Lange 9-11, 1987

      22 National Statistical Office, "Future Population Forecast"

      23 G.C. Yoo, "Correlation analysis of health-related behaviors, medical use and medical expenses"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07

      24 H.S. Kim, "A study on self-rated health,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8 (8): 187-187, 2007

      25 K.H. Jung, "2014 National Survey on Elderly in Korea"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01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6-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의료경영학회 -> 보건의료산업학회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1 1.11 1.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7 1.1 1.637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