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고도 산업화에 따른 물질적 풍요와 편리함의 뒤편에는 환경문제의 후유증이 심각하다. 이와 함께 본고는 생태위기로 인한 모든 생명체의 가치를 재확 인하고 피조물의 복지 파괴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오늘날 고도 산업화에 따른 물질적 풍요와 편리함의 뒤편에는 환경문제의 후유증이 심각하다. 이와 함께 본고는 생태위기로 인한 모든 생명체의 가치를 재확 인하고 피조물의 복지 파괴를...
오늘날 고도 산업화에 따른 물질적 풍요와 편리함의 뒤편에는 환경문제의
후유증이 심각하다. 이와 함께 본고는 생태위기로 인한 모든 생명체의 가치를 재확
인하고 피조물의 복지 파괴를 성찰한다. 특히 환경문제의 고통으로부터 억압된 인
간 삶의 치유행복을 통찰한다. 이는 동서양의 철학사상에서 생태 철학적 접근을 통
해 치유행복을 위한 대안으로 생태적 실천철학으로서 작업화 할 수 있는 세 가지
사례를 주목하였다. 첫째, 노·장자 철학에서 생명가치의 토대가 되는 무위자연의 사
상, 즉 ‘빔(虛) 철학’의 사유를 통해 유위로 채워진 회색도시로부터 녹지라는 무위
(빔)가 도시의 생명과 행복을 지탱하는 최고의 기능임을 강조했다. 둘째, 유·불교
철학으로부터 유기체사상과 만물을 범애하는 도덕적 정감으로 생태보전과 녹색소비
에 주목하면서 독일, 프라이부르크(Freiburg) 도시의 ‘보봉(Vauban) 생태공동체’를
통해 인간과 자연의 유기적 지속성이라는 인식하에 도시민의 치유행복의 의미를 고
찰했다. 마지막으로 기독교의 창조사상을 통한 ‘토지안식년’이 주는 치유행복의 의
미를 살펴보았다. 이상의 세 사례를 통해서 생태철학의 관점에서 자연과 인간행복
이 어떻게 연관성을 맺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를 통해서 현재와 미래세
대의 모든 구성원은 물질적 안락과 지속적 행복추구를 위해 인간행위와 자연적 실
체가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새로운 법칙과 질서를 고안해야 할 과제를 던져주고 있
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우보명, "훼손지 환경녹화 공학" 서울대출판부 2003
2 진교훈, "환경윤리" 민음사 1998
3 박길용, "환경문제와 노장사상" 한국환경학회정책학회 5 (5): 7-22, 1997
4 전헌호, "환경문제에 관한 신학적 소고" 광주가톨릭대학교출판부 (106) : 156-175, 1994
5 박길용, "현대 환경학" 대영문화사 2014
6 Steiguer, J. E., "현대 환경사상의 기원"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6
7 김철수, "헌법학개론" 박영사 2008
8 권영성, "헌법학 원론" 법문사 2002
9 박길용, "지속가능한 도시공원 녹지정책-서울시를 중심으로-" 한독사회과학회 13 (13): 11-257, 2003
10 김균진, "자연은 하나님이 주신 것이다" 1989
1 우보명, "훼손지 환경녹화 공학" 서울대출판부 2003
2 진교훈, "환경윤리" 민음사 1998
3 박길용, "환경문제와 노장사상" 한국환경학회정책학회 5 (5): 7-22, 1997
4 전헌호, "환경문제에 관한 신학적 소고" 광주가톨릭대학교출판부 (106) : 156-175, 1994
5 박길용, "현대 환경학" 대영문화사 2014
6 Steiguer, J. E., "현대 환경사상의 기원"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06
7 김철수, "헌법학개론" 박영사 2008
8 권영성, "헌법학 원론" 법문사 2002
9 박길용, "지속가능한 도시공원 녹지정책-서울시를 중심으로-" 한독사회과학회 13 (13): 11-257, 2003
10 김균진, "자연은 하나님이 주신 것이다" 1989
11 문순홍, "생태학의 담론" 아르케 2006
12 이강수, "동양사상과 환경문제" 모색 79-98, 1996
13 뉴톰슨 관주 주석성경 편찬위원회, "뉴톰슨 관주 주석성경" 성서교재간행사 1998
14 김용옥, "노자와 21세기" 통나무 1999
15 조용훈, "개발문제와 기독교 사회윤리" 한국신학연구소 (92) : 164-188, 1996
16 노자, "道德經, 제51장"
17 주희, "近思錄, <道體編>"
18 能本一規, "環境自治體 の 創造" 1992
19 맹자, "孟子, <梁惠王> 上"
20 Carter, A., "Towards a Green Political Theory" 1993
21 Capra, F., "The Turning Point" Simon and Schuster 1982
22 Milbrath, L., "The Shallow and the Deep, Longrange Ecology Movement" 16 : 1973
23 White, Jr., L., "The Historical Roots of Our Ecological Crisis" 1967
24 Sorrell, R. D., "St. Francis of Assisi and Nature" 1998
25 Reynolds, G., "How Walking in Nature Changes the Brain" The New York Times
26 Moltmann, J., "Gott in der Schöpfung. ökologische Schopfungsglaube" 1985
27 Wolfgang, F., "Feiburg Green Stadt - Wege zu einer nachhaltigen Stadtentwicklung" 2013
28 Naess, A., "Ethics of Environment and Development" 1990
29 Milbrath, L., "Environmentalists : Vanguard for a New Society" 1984
30 Doughty, R., "Environmental Theology and Prospects, Christian Thought" 1981
31 Zimmerman M., "Environmental Philosophy: From Animal Rights to Radical Ecology" 1993
32 Devall, B., "Deep Ecology" 1985
33 Brabazon, J., "Albert Schweitzer : A biography" 1975
비판적 사고와 철학상담 - 코헨의 LBT 5단계를 중심으로 -
초기 개혁주의 인식론의 합리성 개념 - 고전적 기초론과 증거주의 비판을 중심으로 -
현대인의 소통과 고독에 관한 고찰 - 야스퍼스의 실존철학적 관점에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8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8-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11-20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미등록 -> Sogang Journal of Philosophy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69 | 0.69 | 0.6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56 | 0.51 | 1.274 | 0.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