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설치류 뇌에서 c-Fos를 이용하여 삼투조절과 관련된 신경회로의 규명 = Characterization of Neural Circuits Involved in Osmoregulation using c-Fos as a Metabolic Marker In Rodent Bra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10094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생쥐의 중추신경계통에서 고장액에 반응하여 c-Fos에 대한 면역양성을 나타내는 지역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c-Fos의 발현은 면역조직화적으로 검출하고 신경세포의 활성화에 대한 표식자로 이용하였다. 고장액은 생쥐 뇌의 supraoptic nuclus, median preoptic nucleus organum vasculosum lamina terminalis, sufornical organ, locus coeluleus, nucleus of solitary tract, ventrolateral medulla, parabrachial nucleus 등에서 발현되었다. 특히 retrochiasmatic area의 배쪽 부분에서 많은 c-Fos면역양성의 세포가 관철되었으며, 시상하부의 paraventricular nucleus나 두뇌의 area postrema에서는 c-Fos면역양성세포가 거의 관철되지 않았는데 이들 지역들은 흰쥐에서는 다수의 c-Fos면역양성 세포가 나타나는 지역이다. 이상의 결과들은 생쥐에서 고장액이에 의해 c-Fos면역양성 세포가 나타나는 지역은 흰쥐에서와는 일부 상이한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생쥐의 중추신경계통에서 고장액에 반응하여 c-Fos에 대한 면역양성을 나타내는 지역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c-Fos의 발현은 면역조직화적으로 검출하고 신경세포의 활성화에 ...

      본 연구는 생쥐의 중추신경계통에서 고장액에 반응하여 c-Fos에 대한 면역양성을 나타내는 지역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c-Fos의 발현은 면역조직화적으로 검출하고 신경세포의 활성화에 대한 표식자로 이용하였다. 고장액은 생쥐 뇌의 supraoptic nuclus, median preoptic nucleus organum vasculosum lamina terminalis, sufornical organ, locus coeluleus, nucleus of solitary tract, ventrolateral medulla, parabrachial nucleus 등에서 발현되었다. 특히 retrochiasmatic area의 배쪽 부분에서 많은 c-Fos면역양성의 세포가 관철되었으며, 시상하부의 paraventricular nucleus나 두뇌의 area postrema에서는 c-Fos면역양성세포가 거의 관철되지 않았는데 이들 지역들은 흰쥐에서는 다수의 c-Fos면역양성 세포가 나타나는 지역이다. 이상의 결과들은 생쥐에서 고장액이에 의해 c-Fos면역양성 세포가 나타나는 지역은 흰쥐에서와는 일부 상이한 결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on adult mouse to investigate the regional localization of the cells inducing c-Fos immunoreactivity in central nervous system in response to hypertonic saline(HS). c-Fos induction, detected immunohistochemically, was regarded as a marker for neuronal activation.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HS resulted in dense c-Fos-like immunoreactivity (FLI) in several forebrain and brainstem area. These areas include the supraoptic nucleus(SON), median preoptic nucleus (MnPO), organum vasculosum lamina terminalis(OVLT), subfornical organ(SFO), locus coeruleus(LC), nucleus of solitary tract(NTS), ventrolateral medulla(VLM), and parabrachial nucleus(PBN). In particular, the ventral region of retrochiasmatic area showed numerous and very intensely labeled FLI cells. No FLI or few FLI cells were, however, detected in the hypothalamic paraventricular nucleus (PVN) and the area postrema(AP) respectively, the regions which revealed very intensive FLI in rat after HS treatment. These data suggest that FLI induced in response to osmotic stimuli in the mouse brawn has a different regional distribution from that of rat brain.
      번역하기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on adult mouse to investigate the regional localization of the cells inducing c-Fos immunoreactivity in central nervous system in response to hypertonic saline(HS). c-Fos induction, detected immunohistochemically, was rega...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on adult mouse to investigate the regional localization of the cells inducing c-Fos immunoreactivity in central nervous system in response to hypertonic saline(HS). c-Fos induction, detected immunohistochemically, was regarded as a marker for neuronal activation. Intraperitoneal injection of HS resulted in dense c-Fos-like immunoreactivity (FLI) in several forebrain and brainstem area. These areas include the supraoptic nucleus(SON), median preoptic nucleus (MnPO), organum vasculosum lamina terminalis(OVLT), subfornical organ(SFO), locus coeruleus(LC), nucleus of solitary tract(NTS), ventrolateral medulla(VLM), and parabrachial nucleus(PBN). In particular, the ventral region of retrochiasmatic area showed numerous and very intensely labeled FLI cells. No FLI or few FLI cells were, however, detected in the hypothalamic paraventricular nucleus (PVN) and the area postrema(AP) respectively, the regions which revealed very intensive FLI in rat after HS treatment. These data suggest that FLI induced in response to osmotic stimuli in the mouse brawn has a different regional distribution from that of rat brai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ntroduction
      • Materials and Methods
      • Animals and Treatment
      • Immunohistochemistry
      • Results
      • Introduction
      • Materials and Methods
      • Animals and Treatment
      • Immunohistochemistry
      • Results
      • Discussion
      • Acknowledgemen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