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미국과 주한 미군에 대한 생각에 미디어 뉴스 이용이 미치는 관련성을 파악한다. 연구를 위해 국내 대학생 1,3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귀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5257195
2007
Korean
340.1
KCI등재
학술저널
119-155(3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미국과 주한 미군에 대한 생각에 미디어 뉴스 이용이 미치는 관련성을 파악한다. 연구를 위해 국내 대학생 1,3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귀분...
이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미국과 주한 미군에 대한 생각에 미디어 뉴스 이용이 미치는 관련성을 파악한다. 연구를 위해 국내 대학생 1,32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귀분석에서는 응답자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과 미국 관련 지식, 대화토론, 매체 이용 등의 변수를 독립변수로 그리고 반미 의견과 주한 미군 주둔과 철수에 대한 의견을 각각 종속변수로 활용했다. 분석결과, 응답자의 반미 의견은 민족적 반미, 정치경제적 반미 그리고 문화적 반미로 구분됐다. 반미 의견에는 다양한 형태의 요인들이 영향을 미쳤으며, 특히 일부 매체 이용은 민족적 반미와 정치경제적 반미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체 이용은 문화적 반미 의견에는 별다른 관련성을 갖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몇몇 방송 및 인터넷 매체는 민족적 주체의식을 강조하는 민족적 반미와, 그리고 일부 신문은 한미간의 정치경제적 지배 관계에 관한 정치경제적 반미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한 미군의 역할에 대한 응답자의 인식에는 민족적 반미와 정치경제적 반미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으로 보이며 일부 매체에서 영향력의 관계가 발견됐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적 관점에서 매체경제화가 지니는 의미-공ㆍ민영 이원론적 방송체계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