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리산 중산리계곡 관속식물의 고도별 온도구배에 따른 수직 분포 = Vertical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Jungsanri, Mt. Jiri by Temperature Gradi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9825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investigate vertical plant distribution on Jungsanri of Mt. Jirisan by temperature change, vascular plants of fourteen areas with 100-meter-high difference were surveyed from the Jungsan bridge(348 m alt.) to the Jangteumog(1653 m alt.). A total of 440 taxa belonging to 104 families, 287 genera, 385 species, 7 subspecies, 42 varieties, and 6 forma were vegetated on survey areas. Around 700 m high did species diversity of vascular plants decrease rapidly, but foreign species were not found. The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DCA) divided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to five groups; areas below 500m alt., 500~600m alt., 600~1000m alt., 1000~1200m alt., and areas above 1200m alt.. These results showed that vegetation of vascular plants on investigated areas has high correlation with climate elements of temperature. Vascular plants should be crowded within their own optimal ranges of vegetation. Climate change would result in shift of these distribution ranges, and thus vegetation shift will be happened accordingly.
      번역하기

      In order to investigate vertical plant distribution on Jungsanri of Mt. Jirisan by temperature change, vascular plants of fourteen areas with 100-meter-high difference were surveyed from the Jungsan bridge(348 m alt.) to the Jangteumog(1653 m alt.). A...

      In order to investigate vertical plant distribution on Jungsanri of Mt. Jirisan by temperature change, vascular plants of fourteen areas with 100-meter-high difference were surveyed from the Jungsan bridge(348 m alt.) to the Jangteumog(1653 m alt.). A total of 440 taxa belonging to 104 families, 287 genera, 385 species, 7 subspecies, 42 varieties, and 6 forma were vegetated on survey areas. Around 700 m high did species diversity of vascular plants decrease rapidly, but foreign species were not found. The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DCA) divided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to five groups; areas below 500m alt., 500~600m alt., 600~1000m alt., 1000~1200m alt., and areas above 1200m alt.. These results showed that vegetation of vascular plants on investigated areas has high correlation with climate elements of temperature. Vascular plants should be crowded within their own optimal ranges of vegetation. Climate change would result in shift of these distribution ranges, and thus vegetation shift will be happened accordingl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지리산 중산리지역의 고도별 온도변화에 따른 관속식물의 수직분포 및 분포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중산교(348m)에서 장터목(1,653m)까지 해발 100m단위로 등분하여 14개 구간에 대한 식물목록을 작성하였다. 2009년 4월부터 10월까지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104과 287속 385종 7아종 42변종 6품종 총 440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해발 700m(WI=79.5℃·month)를 경계로 관속식물의 출현종 수가 급격히 감소함과 동시에 귀화식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DCA방법에 의한 구간 간의 식물종 분포의 유사도는 고도에 따른 온도변화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제1축(Eig.=0.76)에 대하여 해발 500m(WI=89), 700m(WI=80), 900m(WI=71), 1,200m(WI=60)를 경계로 5개 그룹으로 구분되어 배열되었다. 한편, 해발 1,200m 이상의 고해발 지역에서는 제2축(Eig.=0.25)에 대하여 해발 1,500m, 1,600m를 경계로 구분되어 배열되었다. 따라서 고도에 따라 구간 간 관속식물 분포의 유사성 및 상이성을 확인함으로써, 관속식물 종들의 고도별 생존 분포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식물종의 분포가 변화하는 것은 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물종은 생육지역의 온도에 따라 생존에 필수적인 호적범위 내에서 분포하므로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상승은 현재 식물종의 분포범위를 변경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번역하기

      지리산 중산리지역의 고도별 온도변화에 따른 관속식물의 수직분포 및 분포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중산교(348m)에서 장터목(1,653m)까지 해발 100m단위로 등분하여 14개 구간에 대한 식물목록을 ...

      지리산 중산리지역의 고도별 온도변화에 따른 관속식물의 수직분포 및 분포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중산교(348m)에서 장터목(1,653m)까지 해발 100m단위로 등분하여 14개 구간에 대한 식물목록을 작성하였다. 2009년 4월부터 10월까지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104과 287속 385종 7아종 42변종 6품종 총 440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해발 700m(WI=79.5℃·month)를 경계로 관속식물의 출현종 수가 급격히 감소함과 동시에 귀화식물은 관찰되지 않았다. DCA방법에 의한 구간 간의 식물종 분포의 유사도는 고도에 따른 온도변화와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제1축(Eig.=0.76)에 대하여 해발 500m(WI=89), 700m(WI=80), 900m(WI=71), 1,200m(WI=60)를 경계로 5개 그룹으로 구분되어 배열되었다. 한편, 해발 1,200m 이상의 고해발 지역에서는 제2축(Eig.=0.25)에 대하여 해발 1,500m, 1,600m를 경계로 구분되어 배열되었다. 따라서 고도에 따라 구간 간 관속식물 분포의 유사성 및 상이성을 확인함으로써, 관속식물 종들의 고도별 생존 분포 양상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식물종의 분포가 변화하는 것은 온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식물종은 생육지역의 온도에 따라 생존에 필수적인 호적범위 내에서 분포하므로 지구온난화로 인한 기온상승은 현재 식물종의 분포범위를 변경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구균, "지리산국립공원 피아골과 대성골 지역의 산림군집구조 동태(Ⅰ)" 한국환경생태학회 22 (22): 514-520, 2008

      2 김용식, "지리산 동부지역의 관속식물상-거림계곡,백무동계곡,한신계곡,중산리계곡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 18 (18): 415-436, 2004

      3 오병운, "지리산 국립공원의 식물상 연구" 한국식물분류학회 37 (37): 155-196, 2007

      4 엄안흠, "속리산 국립공원의 경관 및 식생 분석과 그 보존을 위한 생태학적 제안" 한국생태학회 27 (27): 185-192, 2004

      5 김동필, "낙동정맥 가지한~능동산 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 18 (18): 279-287, 2004

      6 Kim, Y.S., "Vascular plants of east area in Chirisan National Park" 13 (13): 316-329, 2000

      7 Yim, Y.J., "The vegetation of Mt. Chiri National Park" Chung-Ang Univ. Press 467-, 1992

      8 Okamoto, S., "The plants list of Mt. Chirisan in Chosen" 31 : 13-161, 1961

      9 Raunkiaer, C., "The life form of plants and stistical plant geog raphy. in: Being the collected papers of C. Raunkiaer" Clarendon Press 1934

      10 Kim, Y.D., "The investigation of flowering plants and ferns in the northern side of the Mt. Jiri. Ⅲ. Ferns and herbs (Monocotyledones)" 15 : 235-242, 1977

      1 오구균, "지리산국립공원 피아골과 대성골 지역의 산림군집구조 동태(Ⅰ)" 한국환경생태학회 22 (22): 514-520, 2008

      2 김용식, "지리산 동부지역의 관속식물상-거림계곡,백무동계곡,한신계곡,중산리계곡을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 18 (18): 415-436, 2004

      3 오병운, "지리산 국립공원의 식물상 연구" 한국식물분류학회 37 (37): 155-196, 2007

      4 엄안흠, "속리산 국립공원의 경관 및 식생 분석과 그 보존을 위한 생태학적 제안" 한국생태학회 27 (27): 185-192, 2004

      5 김동필, "낙동정맥 가지한~능동산 구간의 능선부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 18 (18): 279-287, 2004

      6 Kim, Y.S., "Vascular plants of east area in Chirisan National Park" 13 (13): 316-329, 2000

      7 Yim, Y.J., "The vegetation of Mt. Chiri National Park" Chung-Ang Univ. Press 467-, 1992

      8 Okamoto, S., "The plants list of Mt. Chirisan in Chosen" 31 : 13-161, 1961

      9 Raunkiaer, C., "The life form of plants and stistical plant geog raphy. in: Being the collected papers of C. Raunkiaer" Clarendon Press 1934

      10 Kim, Y.D., "The investigation of flowering plants and ferns in the northern side of the Mt. Jiri. Ⅲ. Ferns and herbs (Monocotyledones)" 15 : 235-242, 1977

      11 Kim, Y.D., "The investigation of flowering plants and ferns in the northern side of the Mt. Jiri. Ⅱ. Herbs (Dicotyledones)" 14 : 13-22, 1976

      12 Kim, Y.D., "The investigation of flowering plants and ferns in the northern side of the Mt. Jiri. I. Woody plants (Trees and Shrubs)" 13 : 798-86, 1975

      13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1482-, 2007

      14 Yun, J.H., "The comparative studies on the species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forest communities in the Korean Peninsula, northern Kyushu and the satellite islands" 25 : 75-93, 2008

      15 Hong, K.H., "Study of the herbaceous flora in Sunduryu area of Mt. Chirisan" Korea Univ 1987

      16 Kim, G.T., "Studies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at Myungsunbong, Tokp'yongbong area in Chirisan National Park(Abies koreana forest)" 13 (13): 299-308, 2000

      17 Lee, W.C.,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8 : 103-107, 1978

      18 Benzecri, J.P., "Statistical analysis as a tool to make patterns emerge from data. in: Methodologies of pattern recognition" Academic Press 35-74, 1969

      19 Lee, W.T.,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1996

      20 Mussain, M.S., "Species composi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forest stands in Kumaon Himalaya, Uttarakhand, India" 49 (49): 167-181, 2008

      21 Nakai, T., "Report on the Vegetation of Mt. Chiisan" Government-General of Korea 1915

      22 Hatsusima, S., "Preliminary report on the flowering plants and ferns colleted on the Nansen experimental forest of Kyushu imperial university" Kyushu imperial U 5-241, 1934

      23 Zhang, G.S., "Plant community succession in modern Yellow River Delta, China" 8 (8): 540-548, 2007

      24 Lee, K.J., "Plant community structure in Keolim valley of Chirisan National Park" 13 (13): 392-403, 2000

      25 Oh, K.K., "Plant community structure by aspect and altitude at eastern district in Chirisan National Park" 14 (14): 67-79, 2000

      26 Kira, T., "On the altitudinal arrangement of climatic zones in Japan" 2 : 147-173, 1948

      27 Park, S.H.,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2009

      28 Lee, Y.N., "New Flora of Korea Vol. Ⅰ, Ⅱ" Gyohaksa 2006

      29 "Ministry of Environment"

      30 Orloci, L., "Measurement of redundancy in species collection" 31 : 65-67, 1975

      31 Lee, W.T., "Lineamenta Florae Koreae" Academy Press 1996

      32 Chung, T.H., "Korean Flora Vol. I and Ⅱ" Shinjisa 1957

      33 Lee, T.B.,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1980

      34 Oh, Y.C., "Illustrated Encyclopedia of Fauna & Flora of Korea Vol. 41" Monocotyledoneae, Cyperaceae, Ministry of Education and Human Resources Development 2006

      35 Park, I.H., "Forest structure in relation to slope aspect and altitude in valley forests at Chirisan National Park" 14 (14): 11-17, 2000

      36 Cho, H.S., "Forest community structure of Yunhachon valley, Jirisan National Park" 13 (13): 382-391, 2000

      37 Kim, Y.S., "Flora of the Hwaomsa Valley, Chirisan Nnational Park" 5 (5): 1-8, 1991

      38 Lee, Y.N., "Flora of Korea" Gyohaksa 1996

      39 Korea Fern Society,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2005

      40 Ministry of Environment, "Endemic species of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325-417, 2005

      41 Yim, Y.J.,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Ⅲ. Distribution of tree species along the thermal gradient" 27 : 177-189, 1977

      42 Yim, Y.J.,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Ⅱ. Distribution of climatic humidity/aridity" 25 : 157-164, 1976

      43 Yim, Y.J.,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V. Zonal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in relation to thermal climate" 27 : 177-189, 1977

      44 Yim, Y.J.,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 25 : 77-88, 1975

      45 Hill, M.O.,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an improved ordination technique" 43 : 47-58, 1980

      46 Lee, T.B., "Coloured Flora of Korea Vol. Ⅰ,Ⅱ" Hyangmunsa 2003

      47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Climatological stand normals of Korea" 2009

      48 Bray, J.R., "An ordination of the upland forest communities of southern Wisconsin" 27 : 325-349, 1957

      49 Ministry of Environment, "A guide to the Thi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50 Lee, E.B., "A floristic study of the northern part of Mt. Chiri" (31) : 37-79, 1993

      51 Korea National Arboretum,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1 0.61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8 0.773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