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념(pathos)의 지속과 근대 문학의 공간성-김동인의 문학론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1817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근대 문학에서 정념의 재현과 공간성의 문제
      • 3. 주객합일의 공간과 근대 문학의 비환원적 독창성
      • 4. ‘나’라는 리얼리티와 세계와의 관계
      • 국문초록
      • 1. 서론
      • 2. 근대 문학에서 정념의 재현과 공간성의 문제
      • 3. 주객합일의 공간과 근대 문학의 비환원적 독창성
      • 4. ‘나’라는 리얼리티와 세계와의 관계
      • 5.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석형락, "한국근대작가론의 형성과 미완의 흔적 -김동인의 작가론 서술 양상과 그 의미-"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1 (21): 183-210, 2017

      2 송민호, "한국과 일본의 근대적 ‘문학’ 관념의 한 단면 -다카야마 조규와 이광수를 중심으로" 한국비교문학회 (77) : 5-34, 2019

      3 빌헬름 엠리히, "카프카를 읽다 1" 유로서적 2005

      4 최성희, "정동 이론 : 몸과 문화·윤리·정치의 마주침에서 생겨나는 것들에 대한 연구" 갈무리 2015

      5 김선, "임노월의 예술론적 실천 양상과 그 의미 : 동시대 문단과의 관련성과 표현주의수용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2017

      6 박현수, "일원묘사의 도입과 그 변용-김동인을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48) : 193-222, 2018

      7 가라타니 고진, "일본근대문학의 기원" b 2010

      8 시모어 채트먼, "이야기와 담화: 영화와 소설의 서사 구조" 호모 루덴스 2019

      9 스즈키 토미, "이야기된 자기: 일본 근대성의 형성과 사소설 담론" 생각의나무 2004

      10 최호영, "오이켄(R. Eucken)의 ‘신이상주의’ 수용과 한일 ‘문화주의’의 전개 양상 이쿠다 조코(生田長江)와 노자영(盧子泳)을 중심으로" 일본연구소 9 (9): 254-283, 2017

      1 석형락, "한국근대작가론의 형성과 미완의 흔적 -김동인의 작가론 서술 양상과 그 의미-"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1 (21): 183-210, 2017

      2 송민호, "한국과 일본의 근대적 ‘문학’ 관념의 한 단면 -다카야마 조규와 이광수를 중심으로" 한국비교문학회 (77) : 5-34, 2019

      3 빌헬름 엠리히, "카프카를 읽다 1" 유로서적 2005

      4 최성희, "정동 이론 : 몸과 문화·윤리·정치의 마주침에서 생겨나는 것들에 대한 연구" 갈무리 2015

      5 김선, "임노월의 예술론적 실천 양상과 그 의미 : 동시대 문단과의 관련성과 표현주의수용을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2017

      6 박현수, "일원묘사의 도입과 그 변용-김동인을 중심으로-" 반교어문학회 (48) : 193-222, 2018

      7 가라타니 고진, "일본근대문학의 기원" b 2010

      8 시모어 채트먼, "이야기와 담화: 영화와 소설의 서사 구조" 호모 루덴스 2019

      9 스즈키 토미, "이야기된 자기: 일본 근대성의 형성과 사소설 담론" 생각의나무 2004

      10 최호영, "오이켄(R. Eucken)의 ‘신이상주의’ 수용과 한일 ‘문화주의’의 전개 양상 이쿠다 조코(生田長江)와 노자영(盧子泳)을 중심으로" 일본연구소 9 (9): 254-283, 2017

      11 김윤식, "염상섭 연구" 서울대출판사 1987

      12 제라르 주네트, "서사담론" 교보문고 1992

      13 자크 데리다, "문학의 행위" 문학과지성사 행위, 문학과지성사-, 2013

      14 자크 데리다, "목소리와 현상: 후설 현상학에서 기호 문제에 대한 입문" 인간사랑 2006

      15 신범순, "동아시아 근대 도시와 문학" 한중인문학회 51-61, 2013

      16 나츠메 소세키, "나츠메 소세키 문학예술론" 소명출판 2004

      17 김동인, "김동인 평론 전집" 삼중당 1984

      18 손정수, "김동인 초기 소설에 나타난 서사 형식의 변모과정에 관한 고찰" 문학사와 비평학회 8 : 173-206, 2001

      19 김윤식, "김동인 연구" 민음사 1987

      20 김윤식, "김동인 문학의 세 가지 형식-대동강의 사상과 감각을 중심으로" 일지사 11 : 2-62, 1985

      21 고사카 시로, "근대라는 아포리아" 이학사 2007

      22 송명진, "근대 소설어의 형성 과정 연구 - 김동인의 「소설작법」과 소설론을 중심으로 -" 국어국문학회 (173) : 153-179, 2015

      23 김선, "근대 문학에서 묘사의 형식과 주관의 문제‒김억의 「近代文藝」를 중심으로" 한국현대문학회 (60) : 191-230, 2020

      24 자크 데리다, "그라마톨로지" 민음사 2010

      25 에른스트 카시러, "계몽주의 철학" 민음사 1995

      26 강용훈, "‘작가(作家)’ 관련 개념의 변용 양상과 ‘작가론(作家論)’의 형성 과정 - 1910년대~1930년대 중반 식민지 조선의 경우를 중심으로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40) : 207-238,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