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안서 김억의 언어관과 한글 문법론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449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안서 김억의 ‘에스페란토 어’와 ‘한글 문법’에 관한 논문을 대상으로 그의 언어관을 고찰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지금까지 김억은 시인이자 번역가로서 널리 알려져 있으나, 그는 에스페란토나 국어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보임으로써 문학과 국어학이 매우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가 남긴 에스페란토 어 관련 논문은『매일신보』에 2회, 『동광』에 7회 연재되었으며, ‘한글 문법’과 관련된 논문은『매일신보』에 12회에 걸쳐 연재되었다. 그는 비록 국어학자로서의 면모를 보여주지는 못했지만, 제국주의 언어에 저항하는 세계 공통어로서 ‘에스페란토’를 소개하고, 사상과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수단으로서 언어의 가치를 지각하였으며, 국어의 통일 과정에 대한 비판적 지지를 보냄으로써 국어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특히 언어가 사상과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수단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점은 국어의 담화 분석이나 화용론적 연구 태도와 비슷한 면을 보인다는 점에서 담화 중심의 언어 연구가 보편성을 띨 수 있음을 보여준다.
      번역하기

      이 글은 안서 김억의 ‘에스페란토 어’와 ‘한글 문법’에 관한 논문을 대상으로 그의 언어관을 고찰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지금까지 김억은 시인이자 번역가로서 널리 알려져 있...

      이 글은 안서 김억의 ‘에스페란토 어’와 ‘한글 문법’에 관한 논문을 대상으로 그의 언어관을 고찰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고 있다. 지금까지 김억은 시인이자 번역가로서 널리 알려져 있으나, 그는 에스페란토나 국어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보임으로써 문학과 국어학이 매우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그가 남긴 에스페란토 어 관련 논문은『매일신보』에 2회, 『동광』에 7회 연재되었으며, ‘한글 문법’과 관련된 논문은『매일신보』에 12회에 걸쳐 연재되었다. 그는 비록 국어학자로서의 면모를 보여주지는 못했지만, 제국주의 언어에 저항하는 세계 공통어로서 ‘에스페란토’를 소개하고, 사상과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수단으로서 언어의 가치를 지각하였으며, 국어의 통일 과정에 대한 비판적 지지를 보냄으로써 국어의 발전에 기여하였다. 특히 언어가 사상과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하는 수단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 점은 국어의 담화 분석이나 화용론적 연구 태도와 비슷한 면을 보인다는 점에서 담화 중심의 언어 연구가 보편성을 띨 수 있음을 보여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Kim Eok was a famous Korean poet, translator and journalist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He wrote much poetry and translated the French symbolistic poetry into Korean. But he was concerned with the language problems and introduced Esperanto.
      This study aims to describe and explain the works regarding Esperanto and Korean language problems written by Kim Eok. Ironically, he regarded the universal language as a defiant language relating to imperialism. He thought that the universal language unified all national languages of the world. I guess that his thoughts were formed from the experience of translating poetry.
      He supported criticism of the Korean standard"s problems, because he thought grammar was necessary, but the language"s function was the free expression of thoughts and feelings essentially.
      I think that Kim Eok"s works were samples of related study between language parts and literature.
      번역하기

      Kim Eok was a famous Korean poet, translator and journalist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He wrote much poetry and translated the French symbolistic poetry into Korean. But he was concerned with the language problems and introduced Esperanto. Th...

      Kim Eok was a famous Korean poet, translator and journalist during the Japanese imperialism. He wrote much poetry and translated the French symbolistic poetry into Korean. But he was concerned with the language problems and introduced Esperanto.
      This study aims to describe and explain the works regarding Esperanto and Korean language problems written by Kim Eok. Ironically, he regarded the universal language as a defiant language relating to imperialism. He thought that the universal language unified all national languages of the world. I guess that his thoughts were formed from the experience of translating poetry.
      He supported criticism of the Korean standard"s problems, because he thought grammar was necessary, but the language"s function was the free expression of thoughts and feelings essentially.
      I think that Kim Eok"s works were samples of related study between language parts and litera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서론
      • 2. 저항어로서의 에스페란토
      • 3. 안서의 문법관
      • 4. 결론
      • 국문초록
      • 1. 서론
      • 2. 저항어로서의 에스페란토
      • 3. 안서의 문법관
      • 4.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글학회, "한글학회 50년사" 선일인쇄 1971

      2 김현, "한글 운동의 문학적 의미" 외솔회 26 : 112-116, 1977

      3 고영근, "한국 어문운동과 근대화" 탑출판사 1998

      4 배개화, "한국 문학의 탈식민적 주체성" 창비 2009

      5 연구생, "조선어학자의 오해" (11) : 1916

      6 안확, "조선어의 가치" (4) : 98-100, 1915

      7 김두봉, "조선말본, In 역대문법대계 1-22" 신문관 1917

      8 허재영, "일제강점기 우리말 연구의 경향과 의미 -잡지, 학술지에 실린 논문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소 (39) : 289-310, 2008

      9 허재영, "일제강점기 교과서정책과 조선어과 교과서" 경진문화사 2009

      10 최경봉, "일제 강점기 조선어 연구의 지향" 한국어학회 40 : 127-148, 2008

      1 한글학회, "한글학회 50년사" 선일인쇄 1971

      2 김현, "한글 운동의 문학적 의미" 외솔회 26 : 112-116, 1977

      3 고영근, "한국 어문운동과 근대화" 탑출판사 1998

      4 배개화, "한국 문학의 탈식민적 주체성" 창비 2009

      5 연구생, "조선어학자의 오해" (11) : 1916

      6 안확, "조선어의 가치" (4) : 98-100, 1915

      7 김두봉, "조선말본, In 역대문법대계 1-22" 신문관 1917

      8 허재영, "일제강점기 우리말 연구의 경향과 의미 -잡지, 학술지에 실린 논문을 중심으로-" 민족문화연구소 (39) : 289-310, 2008

      9 허재영, "일제강점기 교과서정책과 조선어과 교과서" 경진문화사 2009

      10 최경봉, "일제 강점기 조선어 연구의 지향" 한국어학회 40 : 127-148, 2008

      11 김억, "에쓰페란토 獨學, In 역대문법대계 2-63" 박문서관 1923

      12 김혜정, "미래를 여는 국어교육사 1"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7

      13 문혜윤, "문학어의 근대" 소명출판 2008

      14 김두봉, "깁더조선말본" 새글집 1922

      15 배수찬, "근대적 글쓰기의 형성 과정 연구" 소명출판 2008

      16 이연숙, "국어라는 사상" 소명출판 2006

      17 윤여탁, "국어교육 100년사" 서울대출판부 2005

      18 하동호, "국문론집성, In 역대문법대계 3-06" 탑출판사 1985

      19 권덕규, "朝鮮語文에 就야(1)~(8). 매일신보 (1919).12.20.~(1920).1.7.(8회 연재)"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 0.80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