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주)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전라북도)"
2 (주)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전라남도)"
3 (주)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경상북도)"
4 MBC, "한국민요대전(경상북도 해설집)" MBC 1995
5 MBC, "한국민요대전 전라북도민요해설집" MBC 1995
6 정은경, "풍속화를 활용한 초등 국악 수업 연구-음악·사회 교과의 통합 수업 설계-"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6 (6): 103-127, 2012
7 김민주, "팀 기반 학습이 사회과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 교과 흥미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8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9 변미혜, "전통문화예술교육 교육활동 지침서-국악분야 초등과정"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
10 엄경숙, "이천지역의 거북놀이 지도 연구 : 거북이 노래와 쩍쩍이 가락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 (주)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전라북도)"
2 (주)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전라남도)"
3 (주)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경상북도)"
4 MBC, "한국민요대전(경상북도 해설집)" MBC 1995
5 MBC, "한국민요대전 전라북도민요해설집" MBC 1995
6 정은경, "풍속화를 활용한 초등 국악 수업 연구-음악·사회 교과의 통합 수업 설계-"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6 (6): 103-127, 2012
7 김민주, "팀 기반 학습이 사회과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 교과 흥미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8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9 변미혜, "전통문화예술교육 교육활동 지침서-국악분야 초등과정"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
10 엄경숙, "이천지역의 거북놀이 지도 연구 : 거북이 노래와 쩍쩍이 가락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1 윤경식, "이천거북놀이의 전승과 전통창출" 안동대학교 대학원 2011
12 교육부, "음악과 교육과정"
13 교육과학기술부, "음악과 교육과정"
14 편해문, "옛 아이들의 노래와 놀이 읽기" 박이정 2006
15 김헌선, "양주 상여와 회다지소리" 월인 2006
16 김민하,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민요 교육 방법 연구-상여소리를 중심으로-"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8 (8): 5-36, 2014
17 교육과학기술부, "사회과 교육과정"
18 교육부, "사회 3-2" 천재교육 2014
19 허정미, "문화자원으로서의 국악, 그 교육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9 (9): 261-283, 2015
20 변미혜, "문화 예술 주제 중심의 교과 간 통합 지도 방안" 한국교원대학교 부설 교과교육공동연구소 4 (4): 2005
21 한미경, "달떠온다 강강술래" 웅진주니어 2013
22 김정연, "교과통합에 의한 국악감상 지도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3 권보리, "교과 간 통합을 통한 국악기 지도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4 교육부, "가족 1-1" 지학사 2013
25 성기련, "‘소리판’을 주제로 한 통합적 판소리 교수․학습 방법 연구" 판소리학회 (28) : 219-262, 2009
26 "kocca 문화콘텐츠닷컴"
27 "(사)해남우수영 강강술래 진흥보존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