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악을 연계한 사회과 수업의 효과 분석 = Analysis of Effects of Social Studies Classes Linked with Korean Music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0048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at constructing Korean music activities related to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3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conducting social studies lessons linked with Korean music and then analyzing educational effects of those lessons. The followings are three main subjects for the research inquiry: First, changes in students' interests in social studies lessons through linking them with Korean music. Second, students' understanding of social studies lessons and patterns of participation in those lessons. Third, changes in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music. For this, social studies lessons lined with 10 Korean music lessons were given for 108 third graders of 'S' elementary school.
      The result showed that the social studies lessons linked with Korean music had a meaningful influence on raising the students’ general interests in social studies and they also effectively worked for increasing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social studies lessons and the level of the class participation. Additionally, the social studies integrated with the Korean music helped the students change their perception of the Korean music into a more positive direction.
      To organize students' experience in a way that they can read culture through Korean music and find it in cultural phenomena ultimately agrees with convergent education. From that aspect, there should be more studies on utilization of Korean music for other lessons. Additionally, efforts should be made to continuously secure the possibility that Korean music will be effectively used for other academic fields through verifying its effects.
      번역하기

      This study aims at constructing Korean music activities related to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3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conducting social studies lessons linked with Korean music and then analyzing educational effects of those l...

      This study aims at constructing Korean music activities related to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for 3th 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conducting social studies lessons linked with Korean music and then analyzing educational effects of those lessons. The followings are three main subjects for the research inquiry: First, changes in students' interests in social studies lessons through linking them with Korean music. Second, students' understanding of social studies lessons and patterns of participation in those lessons. Third, changes in their understanding of Korean music. For this, social studies lessons lined with 10 Korean music lessons were given for 108 third graders of 'S' elementary school.
      The result showed that the social studies lessons linked with Korean music had a meaningful influence on raising the students’ general interests in social studies and they also effectively worked for increasing the students’ understanding of the social studies lessons and the level of the class participation. Additionally, the social studies integrated with the Korean music helped the students change their perception of the Korean music into a more positive direction.
      To organize students' experience in a way that they can read culture through Korean music and find it in cultural phenomena ultimately agrees with convergent education. From that aspect, there should be more studies on utilization of Korean music for other lessons. Additionally, efforts should be made to continuously secure the possibility that Korean music will be effectively used for other academic fields through verifying its effec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교육과정을 국악과 연계하여 실행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국악을 연계한 사회과 수업이 지니는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문제는 국악을 연계한 사회과 수업을 통한 사회과 수업에 대한 흥미 변화, 사회과 수업에 대한 이해도와 참여도의 양상, 국악에 대한 인식 변화의 세 가지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S초등학교의 3학년 학생 총 108명을 대상으로 10차시 분량의 국악을 연계한 사회 수업을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 국악을 연계한 사회과 수업은 학습자들의 사회과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 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사회과 수업의 이해도와 참여도를 높이는 데도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더불어 국악교육의 측면에서도 ‘국악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의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킨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국악을 통해 문화를 읽어 나가고, 문화 현상 속에서 국악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학습자들의 경험을 조직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융합교육과 맞닿아 있다. 이런 측면에서 앞으로 타 교과 수업에서의 국악의 활용에 관한 연구가 보다 활발히 전개될 필요가 있다. 또한 그에 대한 효과 검증을 통해 다른 학문 분야에서도 국악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계속적으로 확보해 나가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교육과정을 국악과 연계하여 실행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국악을 연계한 사회과 수업이 지니는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문제는...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3학년 사회과 교육과정을 국악과 연계하여 실행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국악을 연계한 사회과 수업이 지니는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문제는 국악을 연계한 사회과 수업을 통한 사회과 수업에 대한 흥미 변화, 사회과 수업에 대한 이해도와 참여도의 양상, 국악에 대한 인식 변화의 세 가지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S초등학교의 3학년 학생 총 108명을 대상으로 10차시 분량의 국악을 연계한 사회 수업을 실행하였다. 연구 결과 국악을 연계한 사회과 수업은 학습자들의 사회과에 대한 흥미를 높이는 데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사회과 수업의 이해도와 참여도를 높이는 데도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더불어 국악교육의 측면에서도 ‘국악을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의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킨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국악을 통해 문화를 읽어 나가고, 문화 현상 속에서 국악을 발견할 수 있도록 학습자들의 경험을 조직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융합교육과 맞닿아 있다. 이런 측면에서 앞으로 타 교과 수업에서의 국악의 활용에 관한 연구가 보다 활발히 전개될 필요가 있다. 또한 그에 대한 효과 검증을 통해 다른 학문 분야에서도 국악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계속적으로 확보해 나가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주)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전라북도)"

      2 (주)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전라남도)"

      3 (주)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경상북도)"

      4 MBC, "한국민요대전(경상북도 해설집)" MBC 1995

      5 MBC, "한국민요대전 전라북도민요해설집" MBC 1995

      6 정은경, "풍속화를 활용한 초등 국악 수업 연구-음악·사회 교과의 통합 수업 설계-"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6 (6): 103-127, 2012

      7 김민주, "팀 기반 학습이 사회과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 교과 흥미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8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9 변미혜, "전통문화예술교육 교육활동 지침서-국악분야 초등과정"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

      10 엄경숙, "이천지역의 거북놀이 지도 연구 : 거북이 노래와 쩍쩍이 가락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 (주)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전라북도)"

      2 (주)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전라남도)"

      3 (주)문화방송, "한국민요대전(경상북도)"

      4 MBC, "한국민요대전(경상북도 해설집)" MBC 1995

      5 MBC, "한국민요대전 전라북도민요해설집" MBC 1995

      6 정은경, "풍속화를 활용한 초등 국악 수업 연구-음악·사회 교과의 통합 수업 설계-"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6 (6): 103-127, 2012

      7 김민주, "팀 기반 학습이 사회과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 교과 흥미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8 교육인적자원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9 변미혜, "전통문화예술교육 교육활동 지침서-국악분야 초등과정"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2010

      10 엄경숙, "이천지역의 거북놀이 지도 연구 : 거북이 노래와 쩍쩍이 가락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1 윤경식, "이천거북놀이의 전승과 전통창출" 안동대학교 대학원 2011

      12 교육부, "음악과 교육과정"

      13 교육과학기술부, "음악과 교육과정"

      14 편해문, "옛 아이들의 노래와 놀이 읽기" 박이정 2006

      15 김헌선, "양주 상여와 회다지소리" 월인 2006

      16 김민하,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민요 교육 방법 연구-상여소리를 중심으로-"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8 (8): 5-36, 2014

      17 교육과학기술부, "사회과 교육과정"

      18 교육부, "사회 3-2" 천재교육 2014

      19 허정미, "문화자원으로서의 국악, 그 교육의 현황과 활성화 방안"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9 (9): 261-283, 2015

      20 변미혜, "문화 예술 주제 중심의 교과 간 통합 지도 방안" 한국교원대학교 부설 교과교육공동연구소 4 (4): 2005

      21 한미경, "달떠온다 강강술래" 웅진주니어 2013

      22 김정연, "교과통합에 의한 국악감상 지도방안 연구"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3 권보리, "교과 간 통합을 통한 국악기 지도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24 교육부, "가족 1-1" 지학사 2013

      25 성기련, "‘소리판’을 주제로 한 통합적 판소리 교수․학습 방법 연구" 판소리학회 (28) : 219-262, 2009

      26 "kocca 문화콘텐츠닷컴"

      27 "(사)해남우수영 강강술래 진흥보존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7 0.97 1.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5 0.88 1.394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