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글쓰기 교육 우수 대학으로 잘 알려진 미국의 브라운대·예일대·듀크대·프린스턴대의 글쓰기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미국 글쓰기 교육 우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7799177
2021
-
KCI등재
학술저널
7-49(43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글쓰기 교육 우수 대학으로 잘 알려진 미국의 브라운대·예일대·듀크대·프린스턴대의 글쓰기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미국 글쓰기 교육 우수 �...
이 연구는 글쓰기 교육 우수 대학으로 잘 알려진 미국의 브라운대·예일대·듀크대·프린스턴대의 글쓰기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 운영 현황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미국 글쓰기 교육 우수 대학의 글쓰기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이 국내 대학에 주는 시사점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것을 연구 목적으로 삼았다.
미국 4개 대학의 글쓰기 교육 프로그램을 조사해 본 결과, 미국 대학들은 글쓰기센터에서 학부생, 대학원생, 교수자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글쓰기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었다. 이는 국내 대학의 경우, 글쓰기센터 기능이 글쓰기 상담이나 1회성 특강 형식의 프로그램만을 운영하고 있는 것과 대조적이다. 이러한 미국 우수 대학의 글쓰기 교육 프로그램이 국내 대학에 주는 시사점은 크게 세 가지이다. 첫째로 다양한 공동체 지원을 통한 글쓰기 협력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둘째로 글쓰기 교수자 양성을 위한 지원 시스템을 마련해야 한다. 셋째로 글쓰기 가치 확산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
이와 같은 시사점을 바탕으로, 국내 대학에서는 글쓰기 관련 교과목을 필수교양으로 지정하는 것 이외에도 체계적인 글쓰기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통해 대학 글쓰기 비교과 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와 내실화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writing non-subject education programs at Brown University, Yale University, Duke University, and Princeton University, which are well-known for their excellent writing education. Further, this study aimed to examine ...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writing non-subject education programs at Brown University, Yale University, Duke University, and Princeton University, which are well-known for their excellent writing education. Further,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implications of the writing non-subject education program of the best American universities for Korean universities.
According to a survey on writing education programs at four universities in the U.S., American universities were operating various writing education programs for undergraduate and graduate students, as well as professors at the writing center. Contrastingly, in the case of Korean universities, the writing center function only operated programs in the form of writing counseling or one-time special lectures. The three main implications of this writing program of the best American universities for Korean universitie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writing cooperation system through community support. Second, a support system must be prepared for cultivating writing instructors. Third, various programs should be operated to spread the value of writing.
Through these implications, Korean universities need to establish systematic writing education programs beyond designating writing subjects as essential education. Moreover, it is necessary to seek the diversification and substantialization of university writing non-subject education.
참고문헌 (Reference)
1 "한양대 Writing Center"
2 나은미, "한성대학교 글쓰기 대회 현황 및 대학생 글쓰기 대회를 위한 제언"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34 : 271-293, 2015
3 변지선, "컬럼비아대학교 글쓰기센터의 문제해결방식과 국내대학 글쓰기센터의 방향에 대한 제언" 한국 리터러시 학회 (16) : 275-299, 2016
4 박정하, "컬럼비아대학 학부 글쓰기 프로그램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사고와표현학회 7 (7): 151-174, 2014
5 한국교양교육학회, "중앙대 다빈치교양대학 의사소통클리닉"
6 배식한, "전공연계글쓰기(WAC)의 국내 적용을 위한 전제 조건 : 미국 WAC 프로그램의 역사적 고찰을 통해"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591-626, 2012
7 "이화여대 호크마교양대학 이화에크리"
8 "연세대 교수학습센터"
9 이승윤, "연세대 <글쓰기교실> 운영의 성과와 과제 -수요자 만족도 조사 결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8) : 9-34, 2014
10 김현정, "수요자 중심의 대학 글쓰기 비정규 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한국작문학회 (11) : 325-352, 2010
1 "한양대 Writing Center"
2 나은미, "한성대학교 글쓰기 대회 현황 및 대학생 글쓰기 대회를 위한 제언"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34 : 271-293, 2015
3 변지선, "컬럼비아대학교 글쓰기센터의 문제해결방식과 국내대학 글쓰기센터의 방향에 대한 제언" 한국 리터러시 학회 (16) : 275-299, 2016
4 박정하, "컬럼비아대학 학부 글쓰기 프로그램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사고와표현학회 7 (7): 151-174, 2014
5 한국교양교육학회, "중앙대 다빈치교양대학 의사소통클리닉"
6 배식한, "전공연계글쓰기(WAC)의 국내 적용을 위한 전제 조건 : 미국 WAC 프로그램의 역사적 고찰을 통해"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591-626, 2012
7 "이화여대 호크마교양대학 이화에크리"
8 "연세대 교수학습센터"
9 이승윤, "연세대 <글쓰기교실> 운영의 성과와 과제 -수요자 만족도 조사 결과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8) : 9-34, 2014
10 김현정, "수요자 중심의 대학 글쓰기 비정규 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한국작문학회 (11) : 325-352, 2010
11 "성균관대 글쓰기클리닉"
12 "서울대 기초교육원 글쓰기센터"
13 "서울대 기초교육원 CTL 공지사항, 사례로 살펴보는 글쓰기 상담 지도법특강"
14 곽상순, "서강대학교 글쓰기센터의 운영 현황과 과제" 한국 리터러시 학회 10 (10): 71-93, 2019
15 "서강대 글쓰기센터"
16 안상희, "범교과적 글쓰기(WAC)를 통한 대학 글쓰기 교육" 한국작문학회 (24) : 113-134, 2015
17 박병철, "미국 대학의 글쓰기 교육 현황과 그 시사점"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211-221, 2020
18 김민희, "미국 대학 글쓰기센터 발전과정의 함의" 한국 리터러시 학회 11 (11): 255-283, 2020
19 김광해, "문장상담소(writing center) 제도의 도입을 위하여" 국립국어연구원 9 (9): 89-110, 1999
20 나은미, "동료 피드백을 활용한 소통과 협력을 위한 글쓰기 교육 방안 연구" 한국 리터러시 학회 11 (11): 373-403, 2020
21 이윤선, "동국대학교(경주) 글쓰기 비교과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과 특징" 한국문화융합학회 35 : 39-74, 2013
22 염민호, "대학 학습공동체 효과 분석 : 전남대학교 사례" 한국교육행정학회 30 (30): 207-232, 2012
23 임선애, "대학 글쓰기센터 운영의 현황과 과제" 한국 리터러시 학회 (21) : 133-156, 2017
24 김미령, "대학 글쓰기센터 운영성과 및 과제 -조선대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고와표현학회 12 (12): 135-160, 2019
25 손민달, "대학 글쓰기센터 비교과 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한국 리터러시 학회 10 (10): 147-175, 2019
26 김신정,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글쓰기 센터(Writing Center)의 역할" 한국작문학회 (4) : 117-144, 2007
27 김화경, "대학 글쓰기 교육과 비교과 글쓰기 프로그램의 운영방안 연구 - 수요조사 기반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12 (12): 13-40, 2021
28 박정희, "대학 글쓰기 교육과 WAC 운영 체계 -서울대학교 ‘SNU-WAC’ 프로그램 운영을 중심으로-" 한국사고와표현학회 12 (12): 7-38, 2019
29 염민호, "대학 교육과정 개혁을 위한 논술중심전공교과(WAC) 운영 실태와 발전 방안: 전남대학교 사례" 한국교육학회 51 (51): 169-198, 2013
30 염민호, "대학 교수학습센터의 이해와 발전 방안" 한국교육학회 46 (46): 219-248, 2008
31 염민호, "대학 ‘글쓰기 센터’의 학부생 상담원이 인식하는 피드백의 가치와 효과" 한국작문학회 (25) : 157-189, 2015
32 염민호, "대학 ‘글쓰기 센터’ 운영의 성과와 과제: 전남대학교 온라인 글쓰기 상담실 사례" 한국작문학회 (22) : 61-95, 2014
33 박은숙, "대학 CTL 글쓰기 프로그램 개발 연구"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7 (7): 69-90, 2016
34 염민호, "대학 '글쓰기' 교과 개선을 위한 교수 개발 프로그램의 내용과 효과 분석 - 전남대학교 사례 -" 교육연구원 25 (25): 30-51, 2009
35 정덕현, "글쓰기에 대한 교과 영역과 비교과 영역 학습자의 교육 요구도 비교 연구" 한국문화융합학회 42 (42): 415-442, 2020
36 심지현, "글쓰기센터의 비교과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대구가톨릭대학교 일대일 상담첨삭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36 : 61-81, 2014
37 김종규, "글쓰기 심화 교육 프로그램으로서 대학 글쓰기 센터의 필요성 및 운영방안-성균관대학교 재학생 설문조사를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58) : 181-209, 2015
38 이효숙, "글쓰기 기초학력 부진자를 위한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사례 및 방향 모색-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의 “글쓰기 채움터”를 대상으로" 한국문화융합학회 40 (40): 381-412, 2018
39 김현정, "국내 주요 대학 글쓰기 교육의 전개 양상과 발전 방향"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11-23, 2020
40 안상희, "국내 대학의 글쓰기센터 운영 현황 연구" 한국작문학회 (21) : 173-199, 2014
41 조혜경, "교과와 비교과 프로그램을 연계한 명저 읽기와 서평 쓰기 제안- 대구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677-698, 2017
42 백은아, "교과와 비교과 프로그램 연계를 통한글쓰기 교육 방안 -전북대학교 글쓰기 워크숍 운영 현황과 개선점을 중심으로-" 인문학연구원 (39) : 139-168, 2019
43 김병길, "교과과정 연계방안으로서 WAC 프로그램 도입 사례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80) : 49-72, 2008
44 "고려대 교육대학원 논문상담실"
45 "고려대 교양교육원 글쓰기-심화글쓰기"
46 "경희대 글쓰기센터"
47 남진숙, "‘렌즈에세이(Lens Essay)’ 글쓰기 특징과 의미-비교과를 중심으로-" 한국사고와표현학회 12 (12): 7-38, 2019
48 윤현진, "‘담화공동체’로서의 글쓰기 교육 효과 연구: 대학 비교과 글쓰기 소모임 프로그램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발전연구소 30 (30): 73-97, 2020
49 박송이, "[왜 지금 글쓰기인가] 감정 들여다보고 생활 돌아보고…글로 ‘지금의 나’를 즐기다"
50 "Writing “WR” Courses"
51 "Writing in the Disciplines"
52 "Writing for Publication"
53 "Writing Handouts and Model Papers"
54 "Writing Fellows"
55 "Writing Center Fellows"
56 "Writing Across the Curriculum Seminar"
57 "Writing 101: Academic Writing"
58 "Whyiwrite Home"
59 "Tortoise: A Journal of Writing Pedagogy"
60 "The Writing Seminars"
61 "TWP Writing Studio"
62 "National Day on Writing 2018"
63 "Mary W. George Research Conference"
64 "KNIGHTLYnews"
65 "Goals, Methodology, and History"
66 "GWL Writing Retreats and Study Halls"
67 "Faculty Resources"
68 "Excellence at Brown"
69 "ERICA 창의융합교육원 writing center 글쓰기 튜터링 특강"
70 "Duke Reader Project"
71 "Dissertation Writing Retreat"
72 "Dissertation Boot Camps"
73 "Deliberations: Journal of First-Year Writing"
74 "Community Outreach"
75 "Certificate Program"
76 "Brown Learning Collaborative"
77 "Apply"
78 "About The Thompson Writing Program"
79 이수곤, "<전공 연계 글쓰기> 시행과 그 평가 - ‘비교과’를 중심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10 (10): 1-26, 2019
미국의 작문 교수·학습 실태 조사 연구 - 한국의 작문 교수·학습 실태와 비교를 중심으로
부모 전기 쓰기 방법 연구 - 박종채의 <과정록>을 중심으로 -
채점자 경력 요인 및 작문 평가방식이 평가 결과에 미치는 영향 - 한국어 작문 평가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01 | 2.01 | 1.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74 | 1.63 | 2.755 | 0.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