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미국의 작문 교수·학습 실태 조사 연구 - 한국의 작문 교수·학습 실태와 비교를 중심으로 = A Survey of Teaching Writing to Secondary Students in the United States - Focusing on Comparison of Teaching Writing i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991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에서는 미국의 중·고등학교 영어, 과학, 사회 교사 283명을 대상으로 작문 교수학습 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교사들은 예비교사 시기보다는 교사가 된 이후 쓰기 지도에 대한 교육을 더 많이 받고 개인적 노력도 더 기울이고 있었다. 둘째, 미국 교사들은 한국 교사에 비해 필자로서의 자기 인식이 높을 뿐만 아니라 실제 글쓰기 지도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국 교사들은 교육청의 평가 방향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작문 지도 계획을 세우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미국 교사들이 자주 사용하는 쓰기 지도 방법은 ‘고쳐쓰기/편집하기’, ‘직접교수법’, ‘모델 보여주고 따라 쓰기’, ‘협력적 글쓰기’, ‘요약해서 쓰기’, 등이었다. 다섯째, 미국에서 가장 자주 수행되는 쓰기 활동 유형은 ‘한 단락으로 답안 쓰기 숙제’, ‘설득하는 글쓰기’, ‘연구 보고서’, ‘읽기 자료에 대한 요약문’, ‘읽기 자료에 대한 반응’, ‘3단 글쓰기’ 등이었다. 여섯째, 미국의 중등 교실에서는 논증적, 설명적 글쓰기는 자주 수행되나 서사적 글쓰기는 가끔 수행되었다. 일곱째, 미국에서는 서술형 문항 시험과 요약문 쓰기의 비중이 높고 논술형 문항 시험이나 포트폴리오 제작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작문 교육의 개선을 위해서는 우선 선택형 위주의 평가를 서술형, 논술형 위주로 전환할 필요가 있으며, 작문 지도가 모든 교사들이 갖추어야 할 기본 소양이라는 인식 아래 작문 지도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모든 교과에서 교과 작문과 관련된 성취기준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번역하기

      이 연구에서는 미국의 중·고등학교 영어, 과학, 사회 교사 283명을 대상으로 작문 교수학습 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교사들은 예비교사 시기보다는 교사가 된 ...

      이 연구에서는 미국의 중·고등학교 영어, 과학, 사회 교사 283명을 대상으로 작문 교수학습 실태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교사들은 예비교사 시기보다는 교사가 된 이후 쓰기 지도에 대한 교육을 더 많이 받고 개인적 노력도 더 기울이고 있었다. 둘째, 미국 교사들은 한국 교사에 비해 필자로서의 자기 인식이 높을 뿐만 아니라 실제 글쓰기 지도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미국 교사들은 교육청의 평가 방향을 적극적으로 반영하여 작문 지도 계획을 세우는 경향을 보였다. 넷째, 미국 교사들이 자주 사용하는 쓰기 지도 방법은 ‘고쳐쓰기/편집하기’, ‘직접교수법’, ‘모델 보여주고 따라 쓰기’, ‘협력적 글쓰기’, ‘요약해서 쓰기’, 등이었다. 다섯째, 미국에서 가장 자주 수행되는 쓰기 활동 유형은 ‘한 단락으로 답안 쓰기 숙제’, ‘설득하는 글쓰기’, ‘연구 보고서’, ‘읽기 자료에 대한 요약문’, ‘읽기 자료에 대한 반응’, ‘3단 글쓰기’ 등이었다. 여섯째, 미국의 중등 교실에서는 논증적, 설명적 글쓰기는 자주 수행되나 서사적 글쓰기는 가끔 수행되었다. 일곱째, 미국에서는 서술형 문항 시험과 요약문 쓰기의 비중이 높고 논술형 문항 시험이나 포트폴리오 제작의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작문 교육의 개선을 위해서는 우선 선택형 위주의 평가를 서술형, 논술형 위주로 전환할 필요가 있으며, 작문 지도가 모든 교사들이 갖추어야 할 기본 소양이라는 인식 아래 작문 지도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한 모든 교과에서 교과 작문과 관련된 성취기준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urveyed 283 middle and high school English, science, and social studies teachers in the U. S. about teaching writing.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American teachers received more formal education on writing instruction and put greater individual effort into it after becoming in-service teachers. They had higher self-awareness as writers than Korean teachers and put more personal effort into writing instruction. They also actively incorporated writing assessment guidelines issued by their states’ education department into their instructional plans and frequently used “revising/editing,” “direct teaching method,” and “imitating a model of good writing,” as instructional methods. Regarding types of activities, “short-answer writing assignments,” “persuasive essays” and “research papers” were often used. Argumentative and informative/explanatory writings were frequently practiced, but not for narrative writing. Finally, “short answer questions” and “a summary of what students read” were more weighted than “essay writing” and “portfolios.” It is necessary to shift from selective evaluation and focus on narrative and essay types. Further, since writing instruction is a basic skill that all teachers should have,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writing education for teachers and to provide standards for disciplinary writing.
      번역하기

      This study surveyed 283 middle and high school English, science, and social studies teachers in the U. S. about teaching writing.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American teachers received more formal education on writing instruction and put greater...

      This study surveyed 283 middle and high school English, science, and social studies teachers in the U. S. about teaching writing. The major results are as follows. American teachers received more formal education on writing instruction and put greater individual effort into it after becoming in-service teachers. They had higher self-awareness as writers than Korean teachers and put more personal effort into writing instruction. They also actively incorporated writing assessment guidelines issued by their states’ education department into their instructional plans and frequently used “revising/editing,” “direct teaching method,” and “imitating a model of good writing,” as instructional methods. Regarding types of activities, “short-answer writing assignments,” “persuasive essays” and “research papers” were often used. Argumentative and informative/explanatory writings were frequently practiced, but not for narrative writing. Finally, “short answer questions” and “a summary of what students read” were more weighted than “essay writing” and “portfolios.” It is necessary to shift from selective evaluation and focus on narrative and essay types. Further, since writing instruction is a basic skill that all teachers should have, it is important to strengthen writing education for teachers and to provide standards for disciplinary writing.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주환, "중등 작문교육에 대한 국제비교 연구 (Ⅰ) - 한국과 미국의 작문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작문학회 (41) : 63-97, 2019

      2 김주환, "중등 작문 교수·학습 실태조사 연구 - 교과 글쓰기(disciplinary writing)를 중심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11 (11): 189-218, 2020

      3 박혜영, "미국의 초·중등 작문 평가의 특징과 시사점 탐색 - 국가 및 주 수준 표준화 작문 평가를 중심으로 -" 한국작문학회 (44) : 73-107, 2020

      4 곽수범, "미국 교원양성기관 작문교육론 내용 분석 연구" 한국작문학회 (38) : 35-63, 2018

      5 이병민, "리터러시 개념의 변화와 미국의 리터러시교육" 한국어교육학회 (117) : 131-172, 2005

      6 Applebee, A. N., "Writing instruction that works" Teachers College Press, Columbia University 2013

      7 Johnston, W. R., "Writing instruction in U.S. classrooms,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Public License"

      8 Graham, S., "Teaching writing to middle school students" 27 (27): 1015-1042, 2014

      9 Kiuhara, S. A., "Teaching writing to high school students" 101 (101): 136-, 2009

      10 Ray, A. B., "Teachers use of writing to support students’ learning in middle school : A national survey in the United States" 29 (29): 1039-1068, 2016

      1 김주환, "중등 작문교육에 대한 국제비교 연구 (Ⅰ) - 한국과 미국의 작문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한국작문학회 (41) : 63-97, 2019

      2 김주환, "중등 작문 교수·학습 실태조사 연구 - 교과 글쓰기(disciplinary writing)를 중심으로" 한국 리터러시 학회 11 (11): 189-218, 2020

      3 박혜영, "미국의 초·중등 작문 평가의 특징과 시사점 탐색 - 국가 및 주 수준 표준화 작문 평가를 중심으로 -" 한국작문학회 (44) : 73-107, 2020

      4 곽수범, "미국 교원양성기관 작문교육론 내용 분석 연구" 한국작문학회 (38) : 35-63, 2018

      5 이병민, "리터러시 개념의 변화와 미국의 리터러시교육" 한국어교육학회 (117) : 131-172, 2005

      6 Applebee, A. N., "Writing instruction that works" Teachers College Press, Columbia University 2013

      7 Johnston, W. R., "Writing instruction in U.S. classrooms,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Public License"

      8 Graham, S., "Teaching writing to middle school students" 27 (27): 1015-1042, 2014

      9 Kiuhara, S. A., "Teaching writing to high school students" 101 (101): 136-, 2009

      10 Ray, A. B., "Teachers use of writing to support students’ learning in middle school : A national survey in the United States" 29 (29): 1039-1068, 2016

      11 Gillespie, A., "High school teachers use of writing to support students’ learning: A national survey" 27 (27): 1043-1072, 2014

      12 Wahleithner, J. M., "Five portraits of teachers’ experiences teaching writing" 120 (120): 1-60, 2018

      13 Troia, G. A., "Common core writing and language standards and aligned state assessments" 29 (29): 1719-1743,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1 2.01 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4 1.63 2.755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