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근대 전환기 문종(文種) 관념의 변천 = Changes in the concept of Munjong (文種) in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991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근대 전환기 어문 교육에서 근대적 문종(文種) 관념이 출현하고 변화하는 일련의 과정을 고찰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문종(文種)은 문학과 설명문, 논설문 등의 소위 비문학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어문 교육에서 사용해 오던 용어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글을 특정한 방식으로 범주화하는 추상적 관념을 문종으로 규정하고, 문종에 대한 관념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그것이 오늘날의 국어 교육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판단되는 근대 전환기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분석 대상은 해당 시기 어문 교육에서 활용되었던 독본과 교수(敎授) 서적이다.
      1910년대에 등장한 ‘文種’은 언어 사용을 추동하는 인간의 심리적 기제를 중심으로 소통의 목적에 따라 글을 의론, 설명, 서사, 기사의 네 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1920년대에는 문필 활동에 참여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글에 대한 개인적 욕구가 증대함에 따라 일기, 편지, 감상문 등 다양한 유형으로 문종이 분화되었고, 이는 감정 표현을 예술로 승화한 문학으로 확장되었다. 『문예독본』은 시, 소설, 희곡, 동화 등 당대 신문학의 성과를 쓰기 교육의 장으로 포섭함으로써 문종 관념이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로서 문종은 비문학과 문학을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근대 전환기 어문 교육에서 근대적 문종(文種) 관념이 출현하고 변화하는 일련의 과정을 고찰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문종(文種)은 문학과 설명문, 논설문 등의 소위 비문학까지 ...

      이 연구는 근대 전환기 어문 교육에서 근대적 문종(文種) 관념이 출현하고 변화하는 일련의 과정을 고찰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문종(文種)은 문학과 설명문, 논설문 등의 소위 비문학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어문 교육에서 사용해 오던 용어이다. 이에 본 연구는 글을 특정한 방식으로 범주화하는 추상적 관념을 문종으로 규정하고, 문종에 대한 관념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그것이 오늘날의 국어 교육에도 많은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판단되는 근대 전환기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고자 한다. 분석 대상은 해당 시기 어문 교육에서 활용되었던 독본과 교수(敎授) 서적이다.
      1910년대에 등장한 ‘文種’은 언어 사용을 추동하는 인간의 심리적 기제를 중심으로 소통의 목적에 따라 글을 의론, 설명, 서사, 기사의 네 가지 범주로 구분하여 제시하였다. 1920년대에는 문필 활동에 참여하는 인구가 증가하고, 글에 대한 개인적 욕구가 증대함에 따라 일기, 편지, 감상문 등 다양한 유형으로 문종이 분화되었고, 이는 감정 표현을 예술로 승화한 문학으로 확장되었다. 『문예독본』은 시, 소설, 희곡, 동화 등 당대 신문학의 성과를 쓰기 교육의 장으로 포섭함으로써 문종 관념이 확장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로서 문종은 비문학과 문학을 포괄하는 광의의 개념으로 확장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series of processes through which the modern concept of literary species emerged and changed in language education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from the 1900s to the 1930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Munjong (文種), meaning species, refers to a concept encompassing literary works and non-literary works such as explanatory exposition and discourse. This study defined Munjong as categorizing text in a specific way. This study focused on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during which the idea of categorizing text has rapidly changed and greatly influenced modern language education, analyzing the Dogbons (讀本) and other teaching tools used in language education at that time.
      Since the 1910s, Munjong has categorized texts into four types― discussion, explanation, narrative, and description―focusing on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human communication. In the 1920s, as people’s increased leisure time allowed them to engage in literary pursuits like reading and writing increased, Munjong was divided into various types such as diaries, letters, and sentimentals. It then expanded into literature, as evidenced by the Literature Reader (文藝讀本), which showcased achievements of modern literature such as poetry, novels, plays, and fairy-tales for use in writing education. Thus, the Munjong concept expanded to encompassing non-literature and literature.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d the series of processes through which the modern concept of literary species emerged and changed in language education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from the 1900s to the 1930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Munjong (文種...

      This study examined the series of processes through which the modern concept of literary species emerged and changed in language education during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from the 1900s to the 1930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Munjong (文種), meaning species, refers to a concept encompassing literary works and non-literary works such as explanatory exposition and discourse. This study defined Munjong as categorizing text in a specific way. This study focused on the modern transition period, during which the idea of categorizing text has rapidly changed and greatly influenced modern language education, analyzing the Dogbons (讀本) and other teaching tools used in language education at that time.
      Since the 1910s, Munjong has categorized texts into four types― discussion, explanation, narrative, and description―focusing on the psychological mechanism of human communication. In the 1920s, as people’s increased leisure time allowed them to engage in literary pursuits like reading and writing increased, Munjong was divided into various types such as diaries, letters, and sentimentals. It then expanded into literature, as evidenced by the Literature Reader (文藝讀本), which showcased achievements of modern literature such as poetry, novels, plays, and fairy-tales for use in writing education. Thus, the Munjong concept expanded to encompassing non-literature and literatur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순전, "초등학교 일본어 독본 1" 제이앤씨 2009

      2 강매, "중등조선어작문" 창문사 1928

      3 마르셀 그라네, "중국사유" 한길사 2015

      4 미조구치 유조, "중국 사상 문화 사전" 책과함께 2015

      5 배성룡, "조선 경제의 현재와 장래" 한성도서출판주식회사 1933

      6 이정찬, "작문사(作文史)적인 관점에서 본 근대 초기 작문 교재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79) : 329-362, 2011

      7 오토 루트비히, "쓰기의 역사" 연세대학교대학출판원 2013

      8 최재학, "실지응용작문법" 휘문관 1909

      9 이각종, "실용작문법" 박문서관 1912

      10 쓰보우치 쇼요, "소설신수" 고려대학교출판부 2007

      1 김순전, "초등학교 일본어 독본 1" 제이앤씨 2009

      2 강매, "중등조선어작문" 창문사 1928

      3 마르셀 그라네, "중국사유" 한길사 2015

      4 미조구치 유조, "중국 사상 문화 사전" 책과함께 2015

      5 배성룡, "조선 경제의 현재와 장래" 한성도서출판주식회사 1933

      6 이정찬, "작문사(作文史)적인 관점에서 본 근대 초기 작문 교재 연구" 한국언어문학회 (79) : 329-362, 2011

      7 오토 루트비히, "쓰기의 역사" 연세대학교대학출판원 2013

      8 최재학, "실지응용작문법" 휘문관 1909

      9 이각종, "실용작문법" 박문서관 1912

      10 쓰보우치 쇼요, "소설신수" 고려대학교출판부 2007

      11 Charles, A., "법한자뎐" Seoul Press 1901

      12 이태준, "문장강화" 창작과비평사 2004

      13 이윤재, "문예독본" 진광당 1931

      14 유협, "문심조룡" 현암사 1975

      15 필립 브르통, "논증의 역사" 커뮤니케이션북스 2006

      16 천정환, "근대의 책 읽기" 푸른역사 2003

      17 배수찬, "근대 초기 서양 수사학의 도입 과정 연구: <신미사학>(1902)의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30 (30): 199-221, 2007

      18 강진호, "근대 국어 교과서를 읽는다" 경진 2015

      19 野村泰亨, "新佛和事典" 大倉書店 1924

      20 稻垣國三郞, "國定讀本敎授用修辭法及取扱" 同文館 1912

      21 好樹堂, "佛和事典" 美國長老派傳道敎會 1871

      22 P. Bizzell, "The rhetoric tradition : Reading from classical times to the present" ST. Martin’s Boston 2001

      23 Tomasi, M., "Studies of western rhetoric in modern japan: : The years between shimamura Hōgetsu's "shin bijigaku" (1902) and the end of the taishō era" 16 : 116-190, 2004

      24 Bain, A., "English composition and rhetoric. intellectual elements of style" D. Appleton and Company 1890

      25 Bain, A., "English composition and rhetoric. a manual" BiblioLife 186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1 2.01 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4 1.63 2.755 0.6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