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에서의 직업재활훈련 개인성과지표 개발 = The development of the personal performance indicator of vocational rehabilitation training for the career and vocation education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306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the performance indicator regarding a vocational rehabilitation training for the educational succes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econdary school curriculum. Also, the developed indictor will be utilized to support the career and vocation education in schools. The study implemented a content validity of preliminary question items with 19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n, the study evaluated a criterion validity, reliability, factor difference threshold on 1,044 items of main indicator including ‘vacational readiness' and ‘vocational functioning' with 190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results, first, the 1,044 performance indicator items were correlated and developed one construct. Second,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998 on ‘vacational readiness' and .999 on ‘vocational functioning'. Thus,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high. Finally, the factor difference threshold of the indicator item on disability level was meaningful both on ‘vacational readiness' and ‘vocational functioning'.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the performance indicator regarding a vocational rehabilitation training for the educational succes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econdary school curriculum. Also, the developed indictor will be utilized to...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the performance indicator regarding a vocational rehabilitation training for the educational succes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econdary school curriculum. Also, the developed indictor will be utilized to support the career and vocation education in schools. The study implemented a content validity of preliminary question items with 19 special education teachers. Then, the study evaluated a criterion validity, reliability, factor difference threshold on 1,044 items of main indicator including ‘vacational readiness' and ‘vocational functioning' with 190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the results, first, the 1,044 performance indicator items were correlated and developed one construct. Second,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998 on ‘vacational readiness' and .999 on ‘vocational functioning'. Thus, the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was high. Finally, the factor difference threshold of the indicator item on disability level was meaningful both on ‘vacational readiness' and ‘vocational function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발달장애 및 지적장애 중․고등학교 장애학생을 위한 진로 및 직업교육에서 직업재활훈련 영역의 교육적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직업재활훈련 개인성과지표를 개발하여 학교 교육현장에서 진로․직업교육의 직업재활훈련 개인성과지표로 활용하도록 지원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19명의 현장 특수교사를 통해 예비문항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후 ‘직업준비’와 ‘직업기능’의 2가지 하위지표, 14개 영역, 42개 하위영역, 그리고 하위영역에 따른 91개 요소와 최종 1,044개 문항을 가지고 190명의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준거타당도, 신뢰도, 영역별 변별력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1,044개의 개인성과지표 문항에 대한 ‘문항-전체 상관계수’를 산출한 결과 문항을 구성하는 요인들이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하나의 구인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체 지표문항에 대한 내적일관성 신뢰도를 통해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직업준비’의 Cronbach's α는 전체 .998, ‘직업기능’의 Cronbach's α는 전체 .999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셋째, 지표문항의 영역별 변별력을 검증한 결과 ‘직업준비’와 ‘직업기능’영역에서 장애등급 독립변인이 의미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발달장애 및 지적장애 중․고등학교 장애학생을 위한 진로 및 직업교육에서 직업재활훈련 영역의 교육적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직업재활훈련 개인성과지표를 개발하여 학교 교...

      본 연구는 발달장애 및 지적장애 중․고등학교 장애학생을 위한 진로 및 직업교육에서 직업재활훈련 영역의 교육적 성과를 측정할 수 있는 직업재활훈련 개인성과지표를 개발하여 학교 교육현장에서 진로․직업교육의 직업재활훈련 개인성과지표로 활용하도록 지원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19명의 현장 특수교사를 통해 예비문항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실시한 후 ‘직업준비’와 ‘직업기능’의 2가지 하위지표, 14개 영역, 42개 하위영역, 그리고 하위영역에 따른 91개 요소와 최종 1,044개 문항을 가지고 190명의 장애학생을 대상으로 준거타당도, 신뢰도, 영역별 변별력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첫째, 1,044개의 개인성과지표 문항에 대한 ‘문항-전체 상관계수’를 산출한 결과 문항을 구성하는 요인들이 서로 유기적인 관계를 맺으면서 하나의 구인을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체 지표문항에 대한 내적일관성 신뢰도를 통해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직업준비’의 Cronbach's α는 전체 .998, ‘직업기능’의 Cronbach's α는 전체 .999로,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셋째, 지표문항의 영역별 변별력을 검증한 결과 ‘직업준비’와 ‘직업기능’영역에서 장애등급 독립변인이 의미 있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성태제, "현대 기초통계학의 이해와 적용" 교육과학사 2006

      2 백순근, "학위논문 작성을 위한 교육연구 및 통계분석" 교육과학사 2006

      3 이승미,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직업교과에 대한 수행평가 적용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4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학용어사전" 도서출판 하우 2009

      5 이유훈, "특수교육기관 운영실태분석Ⅰ" 국립특수교육원 2002

      6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 대상자 교육성과 실태조사 도구 개발 연구" 2010

      7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 교육성과 평가 방안 연구" 2009

      8 오길승, "직업재활 분야에서 본 발달장애 학생 위한 특수학교 직업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특수교육학회 38 (38): 99-132, 2003

      9 오영석, "직업과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 운영자료 개발" 국립특수교육원 2011

      10 교육과학기술부, "직업과 생활 교사용지도서"

      1 성태제, "현대 기초통계학의 이해와 적용" 교육과학사 2006

      2 백순근, "학위논문 작성을 위한 교육연구 및 통계분석" 교육과학사 2006

      3 이승미, "특수학교 기본교육과정 직업교과에 대한 수행평가 적용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4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학용어사전" 도서출판 하우 2009

      5 이유훈, "특수교육기관 운영실태분석Ⅰ" 국립특수교육원 2002

      6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 대상자 교육성과 실태조사 도구 개발 연구" 2010

      7 국립특수교육원, "특수교육 교육성과 평가 방안 연구" 2009

      8 오길승, "직업재활 분야에서 본 발달장애 학생 위한 특수학교 직업교육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국특수교육학회 38 (38): 99-132, 2003

      9 오영석, "직업과 주제중심 통합교육과정 운영자료 개발" 국립특수교육원 2011

      10 교육과학기술부, "직업과 생활 교사용지도서"

      11 박희찬, "정신지체특수학교 지업교육 혁신을 위한 교사참조요목 개발" 국립특수교육원 12 (12): 283-304, 2005

      12 정인실, "정신지체 특수학교 직업평가 실태 분석"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3 이경희, "정신지체 특수학교 고등부 직업교육 실태와 개선 방안"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4 국립특수교육원, "장애학생 진로ㆍ직업교육의 내실화 방안" 2010

      15 송소현, "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 자립생활훈련 성과지표 개발"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55 (55): 19-44, 2012

      16 교육과학기술부, "장애인에 대한 특수교육법령 해설자료집"

      17 백광호, "장애인 직업재활 프로그램의 현황과 개선방향" 목원대학교 산업정보대학원 2007

      18 임경원, "웹 기반 「정신지체인용 간편 직업적성검사」 개발연구(I): 예비 문항분석"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8 (8): 409-431, 2007

      19 김성수, "성과 측정 어떻게 하는가" 보문각 2006

      20 교육인적자원부, "발달장애학생의 지역사회 현장실습 중심 직업교육실시 방안" 2007

      21 교육과학기술부, "기본교육과정 진로와 직업 교사용지도서"

      22 강무섭, "교육지표의 체계화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1998

      23 박미숙,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직업위탁교육 실태와 교사의 인식 및 지원요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4 국립특수교육원, "고등학교 장애학생 진로‧직업교육 내실화를 위한 지표개발"

      25 Ysseldykey, J., "NCEO framework for educational accountability.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National Center on Educational Outcomes 1998

      26 Hallahan, D. P., "Exceptional learners" Allyn and Bacon 2002

      27 교육과학기술부, "2008 특수교육 연차보고서"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7-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8 1.08 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9 1.06 1.628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