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공부문의 갈등관리 제도화 모색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757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현재 대통령령으로 시행되고 있는 「공공기관의 갈등예방과 해결에 관한 규정」, 국회에 제출된 2개의 갈등관리 법안, 그리고 대통령자문 사회통합위원회의 갈등관리법안을 중심으로 갈등관리 법?제도가 어떠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한 후 향후 우리나라의 갈등관리 제도화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를 분석하고 있다.
      분석 결과, 현재 시행되고 있는 갈등규정은 적용범위에서 한계가 있고, 갈등예방에 효과적이지 않으며, 갈등관리심의위원회가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이 있지적되었다. 국회에 제출된 2개의 갈등관리법안 역시 갈등예방에 관한 규정이 전혀 없다는 점 등이 문제로 지적되었다. 사회통합위원회의 갈등관리법안 역시 이전의 법률안을 보완하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지만 ‘갈등의 사후영향평가 실시’, ‘갈등관리실태 점검ㆍ평가 결여’ 등의 측면에서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우리나라의 공공갈등관리를 제도화할 경우에는 각 부처로 하여금 ‘갈등예방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는 인센티브 마련’, ‘일정한 요건에 해당되는 정부정책이나 사업의 사전의견수렴절차에의 회부’, ‘정부의 갈등관리실태ㆍ점검의 강화’, ‘갈등관리심의위원회 제도의 개선’ 등의 정책방안이 제시되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현재 대통령령으로 시행되고 있는 「공공기관의 갈등예방과 해결에 관한 규정」, 국회에 제출된 2개의 갈등관리 법안, 그리고 대통령자문 사회통합위원회의 갈등관리법안을 중심...

      본 논문은 현재 대통령령으로 시행되고 있는 「공공기관의 갈등예방과 해결에 관한 규정」, 국회에 제출된 2개의 갈등관리 법안, 그리고 대통령자문 사회통합위원회의 갈등관리법안을 중심으로 갈등관리 법?제도가 어떠한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문제점을 파악한 후 향후 우리나라의 갈등관리 제도화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지를 분석하고 있다.
      분석 결과, 현재 시행되고 있는 갈등규정은 적용범위에서 한계가 있고, 갈등예방에 효과적이지 않으며, 갈등관리심의위원회가 형식적으로 운영되고 있다는 점이 있지적되었다. 국회에 제출된 2개의 갈등관리법안 역시 갈등예방에 관한 규정이 전혀 없다는 점 등이 문제로 지적되었다. 사회통합위원회의 갈등관리법안 역시 이전의 법률안을 보완하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지만 ‘갈등의 사후영향평가 실시’, ‘갈등관리실태 점검ㆍ평가 결여’ 등의 측면에서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우리나라의 공공갈등관리를 제도화할 경우에는 각 부처로 하여금 ‘갈등예방에 적극적으로 나설 수 있는 인센티브 마련’, ‘일정한 요건에 해당되는 정부정책이나 사업의 사전의견수렴절차에의 회부’, ‘정부의 갈등관리실태ㆍ점검의 강화’, ‘갈등관리심의위원회 제도의 개선’ 등의 정책방안이 제시되었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요약
      • Ⅰ. 서론
      • Ⅱ. 공공갈등의 개념 및 시행 중인 갈등규정의 주요 내용과 문제점
      • Ⅲ. 국회에 제출된 갈등관리 법안 및 사회통합위원회의 갈등관리법안의 주요 내용과 문제점
      • Ⅳ. 공공부문의 갈등관리 제도화를 모색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
      • 논문요약
      • Ⅰ. 서론
      • Ⅱ. 공공갈등의 개념 및 시행 중인 갈등규정의 주요 내용과 문제점
      • Ⅲ. 국회에 제출된 갈등관리 법안 및 사회통합위원회의 갈등관리법안의 주요 내용과 문제점
      • Ⅳ. 공공부문의 갈등관리 제도화를 모색하기 위한 정책적 제언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귀현, "행정상의 갈등해소를 위한 법제개선방안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04

      2 이선우, "타율을 넘어 자율로, 혼돈에서 문화로" 국무조정실 2005

      3 국회입법조사처, "중앙・지방정부간 갈등의 해결방안 정책토론회" 2010

      4 박재희, "중앙행정부처의 갈등관리방안" 한국행정연구원 2004

      5 국무조정, "주요국의 갈등관리시스템 조사․연구" 국무조정실 2005

      6 국회,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갈등관리법"

      7 박홍엽, "국내외 갈등관련 법제도 분석과 효율적 운영방안" 한국행정연구원 2005

      8 국회, "공공정책 갈등예방 및 해결을 위한 기본법"

      9 사회통합위원회, "공공기관의 갈등예방과 해결에 관한 법률"

      10 법제처, "공공기관의 갈등예방 및 해결에 관한 규정 시행규칙"

      1 한귀현, "행정상의 갈등해소를 위한 법제개선방안 연구" 한국법제연구원 2004

      2 이선우, "타율을 넘어 자율로, 혼돈에서 문화로" 국무조정실 2005

      3 국회입법조사처, "중앙・지방정부간 갈등의 해결방안 정책토론회" 2010

      4 박재희, "중앙행정부처의 갈등관리방안" 한국행정연구원 2004

      5 국무조정, "주요국의 갈등관리시스템 조사․연구" 국무조정실 2005

      6 국회, "사회통합을 위한 정책갈등관리법"

      7 박홍엽, "국내외 갈등관련 법제도 분석과 효율적 운영방안" 한국행정연구원 2005

      8 국회, "공공정책 갈등예방 및 해결을 위한 기본법"

      9 사회통합위원회, "공공기관의 갈등예방과 해결에 관한 법률"

      10 법제처, "공공기관의 갈등예방 및 해결에 관한 규정 시행규칙"

      11 법제처, "공공기관의 갈등예방 및 해결에 관한 규정"

      12 하승창, "공공기관의 갈등관리에 관한 기본법(안)공청회 토론자료" 국무조정실 2005

      13 조현석, "공공기관의 갈등관리에 관한 기본법(안)공청회 토론자료" 국무조정실 2005

      14 박홍엽, "공공기관의 갈등관리에 관한 기본법(안) 공청회 토론자료" 국무조정실 2005

      15 국무조정실, "공공기관의 갈등관리에 관한 기본법 종합 설명자료"

      16 조영숙, "공공기관 갈등관리 기본법 제정에 대한 의견" 국무조정실 2005

      17 김유환, "공공갈등관리를 위한 제도정비방향" 한국공법학회 33 (33): 639-664, 2004

      18 박홍엽, "공공갈등관리 시스템의 비교연구" 한국인사행정학회 5 (5): 149-188, 2006

      19 나태준, "갈등해결의 제도적 접근: 현행 갈등관련 제도 분석 및 대안" 한국행정연구원 2004

      20 박중훈, "갈등조정기구의 기능과 역할" 한국행정연구원 2003

      21 지속가능발전위원회, "갈등관리시스템 구축방안 연구보고서" 대통령자문 지속가능발전위원회 2004

      22 지속가능발전위원회, "갈등관리기본법 및 법․제도개선" 대통령자문 지속가능발전위원회 2004

      23 Lempereur, Alain, "Towards a Negotiating State in France? Sixty Years of Evolution of Public Negotiation and Dispute Resolution, Comparative Studies in Public Conflict Resolution" KDI School of Public Policy and Management 55-73, 2005

      24 Duzert, Yann, "The Use of the Matrix of Complex Negotiations in the Context of Reforms in Brazil, Comparative Studies in Public Conflict Resolution" KDI School of Public Policy and Management 2005

      25 Susskind, Lawrence E., "Overview of Development in Public Participation" In Public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Decision making 1994

      26 Zijst, Hans Van, "Environmental Conflict Resolution in the Netherlands: Practices, Trends and Lessons Learned, Comparative Studies in Public Conflict Resolution" KDI School of Public Policy and Management 2005

      27 OECD, "Citizens as Partners : Engaging citizens in policy-making" Public Governance and Territorial Development-OECD 200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중앙행정학회 -> 한국공공관리학회
      영문명 : Chung-Ang Academy Of Public Administration -> Korean Association for Public Management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1.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1 1.13 1.252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