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기술에 대한 조망적 사회기술훈련과 행동적 사회기술훈련 비교 = Comparison of Perspective Social Skill Training and Behavioral Social Skill Training for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ocial Skil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60049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 of perspective social skill training on improvement of conversational skill,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assertive behavior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compared with the that of behavioral social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 of perspective social skill training on improvement of conversational skill,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assertive behavior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compared with the that of behavioral social skill training.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November 24, 2010 to January 27, 2011. There were 17 people in experimental group and 16 people in control group. Social skill training were conducted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during 10 weeks, once a week, 60 minutes for each sess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t-test, chi-square test and Fisher's exact test using the SPSS WIN 18.0 program. Experimental group in perspective social skill training showed u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s compared with before the participation in conversational skill (t=-3.456, p<.003)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3.323, p=.004). On the other hand, assertive behavior of experimental group made no differences as compared with control group (t=-.598, p=.554).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proves that perspective social skill training should be used in clinical practice as an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for improvement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social skill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낮병원에 등록된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조망적 사회기술훈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대화기술, 대인관계 및 주장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0년...

      본 연구는 낮병원에 등록된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조망적 사회기술훈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대화기술, 대인관계 및 주장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2010년 11월 24일부터 2011년 1월 27일까지 B시에 소재하고 있는 Y 낮병원과 D 낮병원에 등록한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최종 실험군 17명, 대조군 16명이 포함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8.0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검정(t-test), 카이제곱검정(chi-square test), Fisher 정확검정(Fisher's exact test), 독립이표본 t-검정(independent two-sample t-test)으로 분석하였다. 조망적 사회기술훈련 실시 후 실험군은 대조군에 비해 대화기술(t=-3.456, p<.003)과 대인관계(t=3.323, p=.004)는 향상되었으나 주장행동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조망적 사회기술훈련을 통해 습득된 대화기술, 대인관계가 실제생활에서 지속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재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기 위한 종단적 연구를 실시하는 게 필요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용표, "현장과제를 활용한 정신장애인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역량강화와 증상에 관한 훈련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15 (15): 77-105, 2003

      2 손경희, "한국의 정신분열병 환자 재활을 위한 웹기반 약물 및 증상 자가 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자료분석학회 11 (11): 671-685, 2009

      3 송동호, "최신정신의학" 일조각 2006

      4 김복숙, "초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사회적 행동 특성의 관계" 한국자료분석학회 10 (10): 2559-2570, 2008

      5 강소영, "초등학생의 신체상 인식에 따른 자기표현 및 대인관계의 특성" 한국자료분석학회 13 (13): 771-785, 2011

      6 김이영, "조망지향적 사회기술 훈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기능과 증상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 17 (17): 140-150, 2008

      7 박상규, "조망적 사회기술훈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0

      8 이경숙, "정신장애인의 극복력에 관한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14 (14): 1427-1438, 2012

      9 全錫均, "정신분열증 환자의 재활을 위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崇實大學校 大學院 1995

      10 김귀남,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기술에 대한 조망적 사회기술훈련과 행동적 사회기술훈련 비교"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1

      1 이용표, "현장과제를 활용한 정신장애인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역량강화와 증상에 관한 훈련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 15 (15): 77-105, 2003

      2 손경희, "한국의 정신분열병 환자 재활을 위한 웹기반 약물 및 증상 자가 관리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자료분석학회 11 (11): 671-685, 2009

      3 송동호, "최신정신의학" 일조각 2006

      4 김복숙, "초등학생의 외모만족도와 사회적 행동 특성의 관계" 한국자료분석학회 10 (10): 2559-2570, 2008

      5 강소영, "초등학생의 신체상 인식에 따른 자기표현 및 대인관계의 특성" 한국자료분석학회 13 (13): 771-785, 2011

      6 김이영, "조망지향적 사회기술 훈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기능과 증상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 17 (17): 140-150, 2008

      7 박상규, "조망적 사회기술훈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기술 향상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0

      8 이경숙, "정신장애인의 극복력에 관한 연구" 한국자료분석학회 14 (14): 1427-1438, 2012

      9 全錫均, "정신분열증 환자의 재활을 위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崇實大學校 大學院 1995

      10 김귀남,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기술에 대한 조망적 사회기술훈련과 행동적 사회기술훈련 비교"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1

      11 Bellack, A. S., "정신분열병 환자를 위한 사회기술훈련: 단계적 학습 안내서" 하나의학사 2001

      12 Liberman, R. P., "정신과 환자를 위한 사회기술훈련" 하나의학사 2000

      13 문선모, "인간관계 훈련 집단상담의 효과에 관한 일 연구" 19 : 195-204, 1980

      14 Corrigan, P. W., "사회인지와 정신분열병" 중앙문화사 2004

      15 김이영, "사회복귀시설의 통합정신재활서비스가 정신장애인의 재활성과에 미치는 영향: 1년간 추적연구" 한국심리학회 25 (25): 175-193, 2006

      16 서지민, "사회기술훈련이 만성 정신분열병환자의 대화기술과 주장행동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 15 (15): 22-30, 2006

      17 김영채, "사고력: 이론, 개발과 수업" 교육과학사 1998

      18 한국정신건강복지연구소, "만성정신장애와 사회복지 서비스" 인간과 복지 1994

      19 전재영,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가한 정신분열병 환자의 사회적 상황문제해결 기능의 특성" 10 (10): 62-70, 2007

      20 최기홍, "Social cognition enhancement training for schizophrenia: A preliminary randomized controlled trial" SPRINGER 42 (42): 177-187, 200604

      21 Carini, M. A., "Social appropriates and impaired perspective in schizophrenia" 48 (48): 170-177, 1992

      22 Schlein, A., "Relationship enhancement" Josey-Bass 1971

      23 Yildiz, M., "Psychosocial skills training on social functioning and quality of life in the treatment of schizophrenia : A controlled study in Turkey" 8 (8): 219-225, 2004

      24 Dilk, M. N., "Meta-analytic evaluation of skills training research for individuals with severe mental illness" 64 : 1337-1346, 1996

      25 Massel, H. K., "Conversation skills training of thought-disordered schizophrenic patients through attention focusing" 38 : 51-61, 1991

      26 Rathus, S. A., "A 30 item schedule for assessing assertive behavior" 4 (4): 398-406, 197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6 1.26 1.1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05 0.98 0.956 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