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항록, "한국어교육 현장의 주요 쟁점" 한국문화사 233-343, 2010
2 최정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인문과학연구소 (63) : 53-90, 2011
3 고경민, "한국어 교재 변천사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4 이상린, "한국어 교육 정책에 대한 신문의 보도 양상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89) : 529-552, 2012
5 허재영, "일제강점기 교과서정책과 조선어과 교과서" 경진문화사 50-72, 2009
6 조항록,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사, In 한국어 교육론 1" 한국문화사 29-69, 2005
7 최은규, "신문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법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209-231, 2004
8 오대환, "식민지 시기 일본인을 위한 조선어교육 연구 : '조선어 장려 정책'과 '경성 조선어연구회'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9 서민정, "번역을 통해 살펴본 근대 한국어를 보는 제국의 시선" 박이정 출판사 30-55, 2010
10 고경민, "문화원형콘텐츠를 활용한 다문화가정 자녀의 의사소통 향상 방안 -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6 (6): 245-268, 2012
1 조항록, "한국어교육 현장의 주요 쟁점" 한국문화사 233-343, 2010
2 최정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인문과학연구소 (63) : 53-90, 2011
3 고경민, "한국어 교재 변천사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4 이상린, "한국어 교육 정책에 대한 신문의 보도 양상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89) : 529-552, 2012
5 허재영, "일제강점기 교과서정책과 조선어과 교과서" 경진문화사 50-72, 2009
6 조항록,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사, In 한국어 교육론 1" 한국문화사 29-69, 2005
7 최은규, "신문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법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209-231, 2004
8 오대환, "식민지 시기 일본인을 위한 조선어교육 연구 : '조선어 장려 정책'과 '경성 조선어연구회'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9 서민정, "번역을 통해 살펴본 근대 한국어를 보는 제국의 시선" 박이정 출판사 30-55, 2010
10 고경민, "문화원형콘텐츠를 활용한 다문화가정 자녀의 의사소통 향상 방안 -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6 (6): 245-268, 2012
11 민현식, "국어교육론2" 한국문화사 21-25, 2005
12 백봉자, "교재와 교수법을 통해 본 한국어 교육의 역사와 과제"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5 (25): 11-31, 2001
13 강승혜, "교육과정의 연구사와 변천사, In 한국어 교육론 1" 한국문화사 107-126, 2005
14 황호덕, "개념과 역사, 근대 한국의 이중어사전 1" 박문사 69-130,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