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新聞 記事를 바탕으로 살핀 韓國語敎育의 흐름 -1880년부터 2012년까지의 新聞 記事를 中心으로- = A Consideration of the Tren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Newspaper Articles : Focusing on Newspaper Articles from 1880 to 2012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consider the crucial tren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rom newspaper articles that have been reported for the past one hundred years, and to conduct a time-series analysis of articles with the same topics to use these trends as objective indicator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istory.
      Thus far,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history have been difficult to find accurate criteria for the division of periods. Though it may be still tough to look back on the entire Korean language education history, it would be possible to examine its tendencies for the past periods and look for factors to change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not being focused on searching news articles and grouping them for a statistical analysis, or news articles themselves, this study is to use them as standard data for correctly seeing the tren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Ultimately, it would help to briefly sum up the changes and developm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istory.
      번역하기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consider the crucial tren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rom newspaper articles that have been reported for the past one hundred years, and to conduct a time-series analysis of articles with the same topics to use these...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consider the crucial tren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from newspaper articles that have been reported for the past one hundred years, and to conduct a time-series analysis of articles with the same topics to use these trends as objective indicator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istory.
      Thus far, studies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history have been difficult to find accurate criteria for the division of periods. Though it may be still tough to look back on the entire Korean language education history, it would be possible to examine its tendencies for the past periods and look for factors to change Korean language education.
      However, not being focused on searching news articles and grouping them for a statistical analysis, or news articles themselves, this study is to use them as standard data for correctly seeing the tren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Ultimately, it would help to briefly sum up the changes and development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histo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硏究는 지난 100년간 신문에 실린 記事를 통해 韓國語敎育의 중요한 흐름을 살피고, 이러한 흐름이 韓國語敎育史의 객관적인 指標가 될 수 있도록 같은 주제의 記事를 묶어 시기별로 살피는 것을 目的으로 한다. 그동안 韓國語敎育史 硏究는 시대구분의 문제에 있어 정확한 基準을 찾기 어렵다는 難題를 안고 있었고, 그로 인해 연구자에 따라 시대를 살피는 기준이 다를 수밖에 없었다. 전체 韓國語敎育史를 되짚어 보는 일은 아직 어렵겠지만 지난 시대를 살피고, 그 안에서 韓國語敎育의 변화 要因을 살피는 작업은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新聞 記事를 中心으로 論議를 진행하고 있다고 해서 記事를 통계화하거나 목록화한 것은 아니다. 통계적인 수치를 산출하기보다는 韓國語敎育의 흐름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준거 자료로 記事를 활용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통해 지난 시기 韓國語敎育史의 변화와 발전을 간략하게나마 정리해 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번역하기

      이 硏究는 지난 100년간 신문에 실린 記事를 통해 韓國語敎育의 중요한 흐름을 살피고, 이러한 흐름이 韓國語敎育史의 객관적인 指標가 될 수 있도록 같은 주제의 記事를 묶어 시기별로 살피...

      이 硏究는 지난 100년간 신문에 실린 記事를 통해 韓國語敎育의 중요한 흐름을 살피고, 이러한 흐름이 韓國語敎育史의 객관적인 指標가 될 수 있도록 같은 주제의 記事를 묶어 시기별로 살피는 것을 目的으로 한다. 그동안 韓國語敎育史 硏究는 시대구분의 문제에 있어 정확한 基準을 찾기 어렵다는 難題를 안고 있었고, 그로 인해 연구자에 따라 시대를 살피는 기준이 다를 수밖에 없었다. 전체 韓國語敎育史를 되짚어 보는 일은 아직 어렵겠지만 지난 시대를 살피고, 그 안에서 韓國語敎育의 변화 要因을 살피는 작업은 가능하다고 생각한다. 新聞 記事를 中心으로 論議를 진행하고 있다고 해서 記事를 통계화하거나 목록화한 것은 아니다. 통계적인 수치를 산출하기보다는 韓國語敎育의 흐름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준거 자료로 記事를 활용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통해 지난 시기 韓國語敎育史의 변화와 발전을 간략하게나마 정리해 볼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항록, "한국어교육 현장의 주요 쟁점" 한국문화사 233-343, 2010

      2 최정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인문과학연구소 (63) : 53-90, 2011

      3 고경민, "한국어 교재 변천사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4 이상린, "한국어 교육 정책에 대한 신문의 보도 양상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89) : 529-552, 2012

      5 허재영, "일제강점기 교과서정책과 조선어과 교과서" 경진문화사 50-72, 2009

      6 조항록,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사, In 한국어 교육론 1" 한국문화사 29-69, 2005

      7 최은규, "신문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법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209-231, 2004

      8 오대환, "식민지 시기 일본인을 위한 조선어교육 연구 : '조선어 장려 정책'과 '경성 조선어연구회'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9 서민정, "번역을 통해 살펴본 근대 한국어를 보는 제국의 시선" 박이정 출판사 30-55, 2010

      10 고경민, "문화원형콘텐츠를 활용한 다문화가정 자녀의 의사소통 향상 방안 -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6 (6): 245-268, 2012

      1 조항록, "한국어교육 현장의 주요 쟁점" 한국문화사 233-343, 2010

      2 최정순,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 인문과학연구소 (63) : 53-90, 2011

      3 고경민, "한국어 교재 변천사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2

      4 이상린, "한국어 교육 정책에 대한 신문의 보도 양상 연구" 한국국어교육학회 (89) : 529-552, 2012

      5 허재영, "일제강점기 교과서정책과 조선어과 교과서" 경진문화사 50-72, 2009

      6 조항록,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사, In 한국어 교육론 1" 한국문화사 29-69, 2005

      7 최은규, "신문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 방법 연구"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209-231, 2004

      8 오대환, "식민지 시기 일본인을 위한 조선어교육 연구 : '조선어 장려 정책'과 '경성 조선어연구회'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9

      9 서민정, "번역을 통해 살펴본 근대 한국어를 보는 제국의 시선" 박이정 출판사 30-55, 2010

      10 고경민, "문화원형콘텐츠를 활용한 다문화가정 자녀의 의사소통 향상 방안 -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6 (6): 245-268, 2012

      11 민현식, "국어교육론2" 한국문화사 21-25, 2005

      12 백봉자, "교재와 교수법을 통해 본 한국어 교육의 역사와 과제"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5 (25): 11-31, 2001

      13 강승혜, "교육과정의 연구사와 변천사, In 한국어 교육론 1" 한국문화사 107-126, 2005

      14 황호덕, "개념과 역사, 근대 한국의 이중어사전 1" 박문사 69-130,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4-09-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28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Society for Korean Language & Literary Research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8 0.48 0.4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9 0.94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