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단첨형식 연화문은 연꽃잎이 뾰족한 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원형돌기식, 삼각돌기식, 판구곡절식 등과 더불어 백 제의 대표적인 연화문 형식 중 하나이다. 이 연화문은 백제 한성기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956690
조원창 (한얼문화유산연구원)
2009
Korean
백제 ; 연화문 ; 와당 ; 형식 ; 편년 ; Baekjae ; lotus flower ; pattern ; roof-end tile form ; chronicle year
900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32-153(22쪽)
7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판단첨형식 연화문은 연꽃잎이 뾰족한 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원형돌기식, 삼각돌기식, 판구곡절식 등과 더불어 백 제의 대표적인 연화문 형식 중 하나이다. 이 연화문은 백제 한성기부...
판단첨형식 연화문은 연꽃잎이 뾰족한 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원형돌기식, 삼각돌기식, 판구곡절식 등과 더불어 백 제의 대표적인 연화문 형식 중 하나이다. 이 연화문은 백제 한성기부터 사비기에 이르기까지 와당을 비롯한 불상 광배, 사 리병, 두침 등에 다양하게 시문되었다. 그러나 현재 남아 있는 대부분의 판단첨형식 연화문은 사비기의 와당에 시문된 것 이 대부분이다. 이들 연화문은 중국 북조나 남조, 고구려 등의 영향으로 제작된 것이 대부분이나 풍납토성 경당지구 출토 와당, 용정리사지 출토 와당, 왕흥사지 출토 사리병 등에 시문된 연화문으로 볼 때 중국 북조의 영향이 절대적이었던 것으 로 생각된다. 아울러 백제기에 나타난 여러 문양의 판단첨형식 연화문은 당시 백제의 활발한 문화교섭을 판단케 한다. 백제의 판단첨형식 연화문은 그 평면형태에 따라 보주형, 유엽형, 세장유엽형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보주형은 풍납 토성 및 용정리사지에서 검출된 와당으로 그 시기는 한성기~웅진기의 것들이다. 반면, 유엽형 및 세장유엽형의 연화문은 무령왕릉 왕비두침, 은제탁잔, 서혈사지 와당, 구교리사지 와당, 하죽리 와당 등에서 확인되고 있어 웅진기 이후인 6세기 전반 이후의 연화문임을 추정케 한다. 현재 판단첨형 연화문 중 가장 이른 시기의 것은 풍납토성 경당지구에서 수습된 5세기 중반대의 것이다. 그러나 향후 점진적인 발굴조사를 통해 시기적으로 선행되는 와당이 수습될 가능성이 매우 높고 아울러 다른 다양한 형식도 출토될 여 지가 적지 않다. 나아가 중국 남북조시기의 사지, 왕궁지, 기타 건물지의 발굴조사를 통해 다른 판단첨형식 연화문이 수습 될 가능성도 적지 않다. 이는 그 동안 알려지지 않은 백제 판단첨형식 연화문의 계통을 파악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lotus flower pattern of the shape of straight and pointed petals has the forms whose lotus flowers are pointed, and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forms of lotus flower pattern of Baekjae along with a round and a triangle protruded style. This style o...
A lotus flower pattern of the shape of straight and pointed petals has the forms whose lotus flowers are pointed, and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forms of lotus flower pattern of Baekjae along with a round and a triangle protruded style. This style of lotus flower pattern was applied to roof-end tiles, halos of Buddhist images, containers of Buddha's bones, head supports, etc. from the Hanseong period to the Sabi period of Baekjae. However most of lotus flower patterns that remain today were used for the tiles of the Sabi period. Many of them were produced under the influence of the Northern Dynasties and the Southern Dynasties of China, and of Goryeo, which implies the active cultural exchange of Baekjae at that time. Among the present lotus flower patterns of the shape of the straight and pointed petals, that of the earliest time is from Gyeongdang district of Poongnab mud castle and belongs to the mid-fifth century. However there is a higher chance that the gradual subsequent excavation and research will find some tiles of the earlier period and other styles can also be unearthed.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賀云, "六朝瓦當與六朝都城" 文物出版社 2005
2 李裕群, "중국 북조시기의석굴사원종합고찰, in:중국의 석굴" 2003
3 정내고문화연구실, "조선와전도보Ⅱ-고구려-"
4 최맹식, "정림사지출토 백제기와및 전의성격, in:정림사" 국립문화재연 구소·부여군 2008
5 충남대학교박물관·충청남도청, "정림사" 충남대학교박물관·충청남도청 1981
6 곽동석, "웅진기중국과의 문물교류" 충청남도역사문화원 (10) : 2007
7 소재윤, "웅진·사비기 백제수막새에 대한 편년연구" 호남고고학회 (23) : 2006
8 국립경주박물관, "신라와전" 국립경주박물관 2000
9 조선고적연구회, "소화13년도 고적조사보고" 조선고적연구회
10 보령시·충남대학교박물관, "성주사" 보령시·충남대학교박물관 1998
1 賀云, "六朝瓦當與六朝都城" 文物出版社 2005
2 李裕群, "중국 북조시기의석굴사원종합고찰, in:중국의 석굴" 2003
3 정내고문화연구실, "조선와전도보Ⅱ-고구려-"
4 최맹식, "정림사지출토 백제기와및 전의성격, in:정림사" 국립문화재연 구소·부여군 2008
5 충남대학교박물관·충청남도청, "정림사" 충남대학교박물관·충청남도청 1981
6 곽동석, "웅진기중국과의 문물교류" 충청남도역사문화원 (10) : 2007
7 소재윤, "웅진·사비기 백제수막새에 대한 편년연구" 호남고고학회 (23) : 2006
8 국립경주박물관, "신라와전" 국립경주박물관 2000
9 조선고적연구회, "소화13년도 고적조사보고" 조선고적연구회
10 보령시·충남대학교박물관, "성주사" 보령시·충남대학교박물관 1998
11 국립부여박물관, "부여 정암리가마터(Ⅱ)" 국립부여박물관 1992
12 국립부여박물관·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백제왕흥사" 국립부여박물관·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2008
13 백제문화개발연구원, "백제와전도록" 백제문화개발연구원 1983
14 국립공주박물관, "백제와당특별전" 국립공주박물관 1988
15 충청남도·공주대학교백제문화연구소, "백제무령왕릉" 충청남도·공주대학교백제문화연구소 1991
16 서울대학교박물관, "발굴유물도록" 서울대학교박물관 1997
17 국립중앙박물관·문화재청, "발굴에서전시까지" 국립중앙박물관·문화재청 2007
18 문물출판사, "내몽고 출토와당" 문물출판사 2003
19 金和英, "韓國蓮花紋硏究" 梨花女子大學校 1976
20 趙源昌, "皇龍寺重建期瓦當으로본 新嶺의 對南朝交涉" (52) : 2006
21 金誠龜, "百濟의瓦塼, in:百濟의 彫刻과美術" 公州大學校博物館·忠淸南道 1992
22 朴容塡, "百濟瓦當의괮型硏究" 忠南大學校百濟硏究所 (15) : 1984
23 朴容塡, "百濟瓦當의體系的分類" 公州師範大學百濟文化硏究所 (9) : 1976
24 朴容塡, "百濟瓦當에關한 硏究, in :公州敎育大學論文集 제5집" 公州敎育大學 1968
25 趙源昌, "熊津遷都後百濟瓦當의變遷과飛鳥寺創建瓦에대한 檢討" 嶺南考古學會 (27) : 2000
26 조원창, "熊津~泗沘��� 瓦當으로 본 高句麗 製瓦術의 百濟 傳播" 백산학회 81 (81): 297-331, 2008
27 趙源昌, "法泉里4號墳出土靑銅蓋곝花突帶文의意味" 公州大學校百濟文化硏究所 (33) : 2004
28 李炳鎬, "扶餘陵山里寺址出土瓦當의 再檢討" 한국 고대사학회 51 : 2008
29 李炳鎬, "扶餘定林寺址出土塑造像의製作時期와系統" 國立中央博物館 (74) : 2006
30 文物出版社, "中國石窟괟門石窟一" 文物出版社 1991
31 文物出版社, "中國石窟云岡石窟二" 文物出版社 1994
32 文物出版社, "中國石窟云岡石窟一" 文物出版社 1991
33 文物出版社, "2002 中國重要考古發現" 文物出版社 2003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39 | 0.39 | 0.32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 | 0.32 | 0.57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