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Sustaining Ecology,Equity and Plurality in the age of globalization:From the gender balanced perspective = 성평등적 관점에서 본 세계화 시대의 환경,평등,문화적 다원성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7181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GATT 우르그아이 라운드로 대변되는 경제적 자유주의의 일환으로 강조되고 있는 세계화 과정이 환경, 평등, 문화적 다원성이라는 차원과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결과 '세계화 과정'은 자본과 노동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경제발전을 이루고'세계시민', '세계 보편 문화'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을 주로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NICs국가에 대한 발전 모델이 제2의 신흥공업국을 꿈꾸는 필리핀, 타일랜드, 인도네시아에 급속하게 전파되어 '아시아적 발전 모델'로 자리잡게 되었다.
      제2의 신흥공업국이 되려는 나라 뿐 아니라 중국, 베트남 등의 '변천 과정'에 있는 경제 체제에서나 인도, 스리랑카 등 남아시아 여러 나라들까지 자극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긍정적인 측면이 강조됨에도 불구하고 세계화 추세는 환경, 평등 문화적 다원성의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그 구체적인 내역으로는 1) 환경파괴와 지역 공동체의 생계 기반 파괴 2) 대대적인 인구 이동 3)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과 이출 4) 소비의 촉진과 물질적 생활양식 지향 5) 성의 상품화에 따른 가족 공동체의 파괴 6) 토착 문화 지식 지혜 파괴 7) 경쟁의 강화 등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부정적 여향 가운데 가장 근본적인 것은 환경의 파괴와 여성의 주변화로 요약된다.
      환경고 여성은 '시장'과 가격을 강조하는 경제발전 모델에서는 둘 다 취약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 동질성을 지니고 있다.
      여성은 생명 생산의 임무를 떠 안음으로써 경쟁에서 배제되며 자연 역시 공공재로써 시장가격의 범주밖에 있기 때문이다.
      세계화의 가속적인 추세 앞에서 가장 취약한 입장에 있는 '여성'의 주변화는 구체적으로 수출 자유 지역의 여성 노동자, 관광객의 성 상품, 서비스 산업의 이주노동자군으로 등장한다.
      그러나 여성은 수동적으로 주변화되지 않고 변화에 적극적인 저항 운동을 '심도 깊은' 차원에서 일으키고 있는 것이 확인된다.
      대안적 발전에 대한 시도의 예로 일본으 오끼다마 현의 여성농민회, 태국의 치앙마이에서의 여성 유기 농부, 홍콩과 중국의 여성 연대를 통해 이루어지는 신용금고 설립과 대안 무역활동, 히말라야산지에서 벌목꾼에 대항하는 인도의 칩코 운동 등은 중요한 사회적 의미를 띤다.
      이들 대안적 운동들은 남성 주도로 일어나는 운동에 비해 그 규모는 적지만 발전의 방향의 질적 측면에서 중요한 문제제기를 한다는 점에서 더 주목을 요하는 움직임들이다.
      즉 이들은 시장경제의 폐해 속에서 자원의 이용과 활용에 대한 결정권을 누가 갖는가라는 점을 문제 제기 하고 있으며 특히 일본의 오끼따마 여성 농부의 사례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시장경제의 경쟁의 틀에서 여성은 보다 빠져나오기 쉽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여성이 대안적 발전에 대한 다양한 시도에서 주역이 되는 것이 우연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환경 평등 문화적 원성의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들의 주도에 의해 일어나는 미시적 수준의 대안적 움직임에 더 많은 관심이 기울어져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GATT 우르그아이 라운드로 대변되는 경제적 자유주의의 일환으로 강조되고 있는 세계화 과정이 환경, 평등, 문화적 다원성이라는 차원과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본 논문은 GATT 우르그아이 라운드로 대변되는 경제적 자유주의의 일환으로 강조되고 있는 세계화 과정이 환경, 평등, 문화적 다원성이라는 차원과 어떤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연구결과 '세계화 과정'은 자본과 노동의 흐름을 원활하게 함으로써 경제발전을 이루고'세계시민', '세계 보편 문화'를 만들어 낼 수 있다는 긍정적인 측면을 주로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NICs국가에 대한 발전 모델이 제2의 신흥공업국을 꿈꾸는 필리핀, 타일랜드, 인도네시아에 급속하게 전파되어 '아시아적 발전 모델'로 자리잡게 되었다.
      제2의 신흥공업국이 되려는 나라 뿐 아니라 중국, 베트남 등의 '변천 과정'에 있는 경제 체제에서나 인도, 스리랑카 등 남아시아 여러 나라들까지 자극하고 있다.
      그러나 이렇게 긍정적인 측면이 강조됨에도 불구하고 세계화 추세는 환경, 평등 문화적 다원성의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그 구체적인 내역으로는 1) 환경파괴와 지역 공동체의 생계 기반 파괴 2) 대대적인 인구 이동 3)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과 이출 4) 소비의 촉진과 물질적 생활양식 지향 5) 성의 상품화에 따른 가족 공동체의 파괴 6) 토착 문화 지식 지혜 파괴 7) 경쟁의 강화 등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인 부정적 여향 가운데 가장 근본적인 것은 환경의 파괴와 여성의 주변화로 요약된다.
      환경고 여성은 '시장'과 가격을 강조하는 경제발전 모델에서는 둘 다 취약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 동질성을 지니고 있다.
      여성은 생명 생산의 임무를 떠 안음으로써 경쟁에서 배제되며 자연 역시 공공재로써 시장가격의 범주밖에 있기 때문이다.
      세계화의 가속적인 추세 앞에서 가장 취약한 입장에 있는 '여성'의 주변화는 구체적으로 수출 자유 지역의 여성 노동자, 관광객의 성 상품, 서비스 산업의 이주노동자군으로 등장한다.
      그러나 여성은 수동적으로 주변화되지 않고 변화에 적극적인 저항 운동을 '심도 깊은' 차원에서 일으키고 있는 것이 확인된다.
      대안적 발전에 대한 시도의 예로 일본으 오끼다마 현의 여성농민회, 태국의 치앙마이에서의 여성 유기 농부, 홍콩과 중국의 여성 연대를 통해 이루어지는 신용금고 설립과 대안 무역활동, 히말라야산지에서 벌목꾼에 대항하는 인도의 칩코 운동 등은 중요한 사회적 의미를 띤다.
      이들 대안적 운동들은 남성 주도로 일어나는 운동에 비해 그 규모는 적지만 발전의 방향의 질적 측면에서 중요한 문제제기를 한다는 점에서 더 주목을 요하는 움직임들이다.
      즉 이들은 시장경제의 폐해 속에서 자원의 이용과 활용에 대한 결정권을 누가 갖는가라는 점을 문제 제기 하고 있으며 특히 일본의 오끼따마 여성 농부의 사례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시장경제의 경쟁의 틀에서 여성은 보다 빠져나오기 쉽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여성이 대안적 발전에 대한 다양한 시도에서 주역이 되는 것이 우연이 아니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환경 평등 문화적 원성의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여성들의 주도에 의해 일어나는 미시적 수준의 대안적 움직임에 더 많은 관심이 기울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Why do they emphasize 'globalization' instead of 'capitalism'?
      • 2. Can globalization process sustain ecology, equity, and plurality?
      • 3. Victimization of women and their responses
      • 4. Is it only by chance that most of alternative trials have been connected with women's initiative?
      • 5. How to sustain ecology, equity and plurality?
      • 1. Why do they emphasize 'globalization' instead of 'capitalism'?
      • 2. Can globalization process sustain ecology, equity, and plurality?
      • 3. Victimization of women and their responses
      • 4. Is it only by chance that most of alternative trials have been connected with women's initiative?
      • 5. How to sustain ecology, equity and plurality?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