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증성 소화관 질환인 크론병은 소화관의 전장에 걸쳐 어디에서나 발병할 수 있지만, 병변의 원발 부위가 충수돌기인 경우는 세계적으로 그 보고가 매우 드물다. 충수돌기에 국한된 초기 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604914
2008
Korean
충수돌기 ; 크론병 ; 육아종 ; 육아종성 충수돌기염
KCI등재,SCOPUS,ESCI
학술저널
447-452(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염증성 소화관 질환인 크론병은 소화관의 전장에 걸쳐 어디에서나 발병할 수 있지만, 병변의 원발 부위가 충수돌기인 경우는 세계적으로 그 보고가 매우 드물다. 충수돌기에 국한된 초기 크...
염증성 소화관 질환인 크론병은 소화관의 전장에 걸쳐 어디에서나 발병할 수 있지만, 병변의 원발 부위가 충수돌기인 경우는 세계적으로 그 보고가 매우 드물다. 충수돌기에 국한된 초기 크론병은 임상 양상이 급성 충수돌기염과 유사하며, 병리조직학적으로 다른 원인에 의한 육아종성 충수돌기염과 감별하기가 매우 어렵다. 따라서, 육아종성 충수돌기염의 원인이 크론병인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충수돌기 이외 다른 부위에서 동시성 크론병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거나 추적 관찰에서 이환 유무를 관찰해야 가능할 수 있다. 저자들은 26세 남자 환자에서 급성 충수돌기염으로 판단하고 외과적 수술을 시행하였으나 병리조직학적 소견에서 육아종성 충수돌기염으로 판명되어, 추적 대장내시경 검사를 통해 크론병의 이환 소견을 관찰하여 육아종성 충수돌기염의 원인을 크론병으로 진단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박인형, "특발성 육아종성 충수염 1예" 대한대장항문학회 22 (22): 337-340, 2006
2 김도형, "충수에 국한된 크론병 1예" 대한대장항문학회 20 (20): 236-239, 2004
3 이창배, "충수돌기에 국한된 크론병 1예"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31 (31): 49-52, 2005
4 Lee G, "Two cases of isolated appendiceal Crohn’s disease" 38 : 381-384, 2001
5 Lamps LW, "The role of Yersinia enterocolitica and Yersinina pseudotuberculosis in granulomatous appendicitis: a histologic and molecular study" 25 : 508-515, 2001
6 Yang SS, "Primary Crohn’s disease of the appendix: report of 14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189 : 334-339, 1979
7 Higgins MJ, "O’Higgins NJ. Granulomatous appendicitis revisited: report of a case" 18 : 245-248, 2001
8 Meyerding EV, "Nonspecific granulomatous inflammation (Crohn’s disease) of the appendix: a case report" 34 : 891-894, 1953
9 Kim MY, "Isolated Crohn’s disease of appendix: is it Crohn’s disease or idiopathic granulomatous appendicitis? Report of a case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14 : 309-315, 1998
10 Naschitz JE, "Idiopathic granulomatous appendicitis. Report of five cases, one of which presented as migratory arthritis" 21 : 290-294, 1995
1 박인형, "특발성 육아종성 충수염 1예" 대한대장항문학회 22 (22): 337-340, 2006
2 김도형, "충수에 국한된 크론병 1예" 대한대장항문학회 20 (20): 236-239, 2004
3 이창배, "충수돌기에 국한된 크론병 1예"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31 (31): 49-52, 2005
4 Lee G, "Two cases of isolated appendiceal Crohn’s disease" 38 : 381-384, 2001
5 Lamps LW, "The role of Yersinia enterocolitica and Yersinina pseudotuberculosis in granulomatous appendicitis: a histologic and molecular study" 25 : 508-515, 2001
6 Yang SS, "Primary Crohn’s disease of the appendix: report of 14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189 : 334-339, 1979
7 Higgins MJ, "O’Higgins NJ. Granulomatous appendicitis revisited: report of a case" 18 : 245-248, 2001
8 Meyerding EV, "Nonspecific granulomatous inflammation (Crohn’s disease) of the appendix: a case report" 34 : 891-894, 1953
9 Kim MY, "Isolated Crohn’s disease of appendix: is it Crohn’s disease or idiopathic granulomatous appendicitis? Report of a case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14 : 309-315, 1998
10 Naschitz JE, "Idiopathic granulomatous appendicitis. Report of five cases, one of which presented as migratory arthritis" 21 : 290-294, 1995
11 Dudley TH Jr, "Idiopathic granulomatous appendicitis or Crohn’s disease of the appendix revisited" 24 : 595-601, 1993
12 Guo G, "Histopathology of interval (delayed) appendectomy specimens: strong association with granulomatous and xanthogranulomatous appendicitis" 27 : 1147-1151, 2003
13 Allen DC, "Granulomatous disease in the vermiform appendix" 36 : 632-638, 1983
14 Richards ML, "Granulomatous appendicitis: Crohn’s disease, atypical Crohn’s, or not Crohn’s at all?" 185 : 13-17, 1997
15 Bronner MP, "Granulomatous appendicitis and the appendix in idiopathic inflammatory bowel disease" 21 : 98-107, 2004
16 Wettergren A, "Granulomas of the appendix: is it Crohn’s disease?" 26 : 961-964, 1991
17 Prieto-Nieto I, "Crohn’s disease limited to the appendix" 182 : 531-533, 2001
18 Ariel I, "Crohn’s disease isolated to the appendix: truths and fallacies" 17 : 1116-1121, 1986
19 Huang JC, "Another look at chronic appendicitis resembling Crohn’s disease" 9 : 975-981, 1996
담도염과 십이지장 궤양으로 발현된 십이지장 구부로개구한 총담관 1예
점막하 종양으로 오인된 공장의 Dieulafoy 병변 1예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 ![]() |
2011-12-21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 Clinical Endoscopy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 Clinical Endoscopy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6-06-22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지 | ![]() |
2006-06-21 | 학술지등록 | 한글명 : 대한소화기내시경학회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Gastrointestinal Endoscopy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4-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3 | 0.22 | 0.2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21 | 0.18 | 0.38 | 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