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간호대학생의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8848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공감 능력, 의사소통능력, 그리고 문화적 역량의 정도와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간호대학생들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문화적 역량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들의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은 문화적 역량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450, p<.001; r=.579, p<.001)가 있었고,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공감능력, 외국어 실력은 문화적 역량을 37.1%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의 문화적 역량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을 키워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시행, 콘텐츠의 개발과 뒷받침이 있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공감 능력, 의사소통능력, 그리고 문화적 역량의 정도와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간호대학생들에...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공감 능력, 의사소통능력, 그리고 문화적 역량의 정도와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간호대학생들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자료 분석은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공감능력, 의사소통능력, 문화적 역량 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문화적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다중회귀 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들의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은 문화적 역량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450, p<.001; r=.579, p<.001)가 있었고,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공감능력, 외국어 실력은 문화적 역량을 37.1%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대학생들의 문화적 역량을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공감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을 키워야 할 것이며, 이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개발 및 시행, 콘텐츠의 개발과 뒷받침이 있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cultural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and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competence.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173 nursing students. Data were analyzed based on Pearson’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using the SPSS 18.0 program.
      The mean value of cultural competence was 3.44, showing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empathy(r=.450, p <.001) and communicative competence(r=.579, p <.001) in nursing students. Empathy,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foreign language skill accounted for 37.1% of the total variance in cultural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Overall cultural competence can be improved by empathy, communicative competence enhancement program.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cultural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and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competence.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1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mpathy,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cultural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and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cultural competence.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ed of 173 nursing students. Data were analyzed based on Pearson’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s using the SPSS 18.0 program.
      The mean value of cultural competence was 3.44, showing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empathy(r=.450, p <.001) and communicative competence(r=.579, p <.001) in nursing students. Empathy,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foreign language skill accounted for 37.1% of the total variance in cultural competence among nursing students. Overall cultural competence can be improved by empathy, communicative competence enhancement progra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요약
      • Abstract
      • I.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 Ⅳ. 논의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경호, "포괄적 대인 의사소통 능력 척도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회 47 (47): 380-408, 2003

      2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 2020년 2월호"

      3 안정원, "외국인 환자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문화역량 영향요인" 한국보건행정학회 29 (29): 49-57, 2019

      4 송은주, "비판적 사고 성향과 공감 능력이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 25 (25): 347-355, 2016

      5 임승주, "보건소 신규방문간호사의 대인태도와 의사소통능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3 (23): 115-122, 2014

      6 강혜영, "다문화와 건강 –문화다양성과 문화역량-" 현문사 2018

      7 픽은희,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공감 능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3 (43): 690-696, 2013

      8 전병성, "공감과 이타행동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3

      9 한석영,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측정도구 개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10 서영숙,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영향요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415-423, 2014

      1 허경호, "포괄적 대인 의사소통 능력 척도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언론학회 47 (47): 380-408, 2003

      2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 통계월보 , 2020년 2월호"

      3 안정원, "외국인 환자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문화역량 영향요인" 한국보건행정학회 29 (29): 49-57, 2019

      4 송은주, "비판적 사고 성향과 공감 능력이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 25 (25): 347-355, 2016

      5 임승주, "보건소 신규방문간호사의 대인태도와 의사소통능력"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 23 (23): 115-122, 2014

      6 강혜영, "다문화와 건강 –문화다양성과 문화역량-" 현문사 2018

      7 픽은희, "다문화 교육프로그램이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공감 능력,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과학회 43 (43): 690-696, 2013

      8 전병성, "공감과 이타행동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3

      9 한석영,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측정도구 개발"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10 서영숙,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역량 영향요인"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2 (12): 415-423, 2014

      11 오원옥,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민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아동간호학회 17 (17): 222-229, 2011

      12 양선이, "간호대학생의 문화적 교류 특성 및 자기 효능감과 문화적 역량의 관계" 한국콘텐츠학회 14 (14): 334-345, 2014

      13 이은미, "간호대학생의 문화역량과 관련 변인 간의 구조분석"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7

      14 노윤구, "간호대학생의 다문화접촉경험과 문화적 공감이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6 (16): 373-381, 2018

      15 조영미, "간호대학생의 다문화 인식과 문화적 역량이 다문화 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9 (19): 190-197, 2019

      16 양선이, "간호대학생의 공감 능력과 문화적 역량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 19 (19): 183-193, 2013

      17 박동영, "간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문화간 의사소통능력이 문화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4 (14): 337-346, 2014

      18 J. N. Giger, "Transcultural nursing: Assessment and intervention" Mosby 2004

      19 J. Campinha-Bacote, "The process of cultural copetence in the delivery of healthcare services : A model of care" 13 (13): 181-184, 2002

      20 T. B. Long, "Overview of teaching strategies for cultural competence in nursing students" 19 (19): 102-108, 2012

      21 R. B. Rubin,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development and test of a self-efficacy model" 1991

      22 M. S. Cronin, "Enhancing the cultura competence of social workers" Yeshiva University in New York 2005

      23 C. L. Jeffrey, "Empathy and competence" 188 (188): 414-416, 200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5-04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 Contents Society ->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9 1.25 1.573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