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코로나 정보 매체로서 OOH매체의 유용성과 위험지각의 제3자 효과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76429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코로나가 유행하는 시기에 OOH매체가 코로나 정보를 전달하는데 얼마나 유용한지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OOH매체의 유용성 지각이 코로나19에 대한 위험지각과 심각성 지각에 미...

      본 연구는 코로나가 유행하는 시기에 OOH매체가 코로나 정보를 전달하는데 얼마나 유용한지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OOH매체의 유용성 지각이 코로나19에 대한 위험지각과 심각성 지각에 미치는 영향성에 대한 검증으로 구성된다.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결과 OOH매체의 유용성 지각은 개인적인 위험지각과 사회적인 위험지각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험지각 중에서는 사회적 위험지각만이 심각성 지각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심각성 지각은 예방행동의도를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OOH매체의 유용성은 사회적 위험지각과 심각성 지각을 매개하여 예방행동의도에 연결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OOH매체가 코로나19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보여주고 위험지각의 매개 효과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usefulness of OOH media delivering COVID-19 information during the pandemic era. Specifically, the perception effect of OOH media usefulness on risk perception and seriousness perception was investigated. The survey results showed ...

      This study explored usefulness of OOH media delivering COVID-19 information during the pandemic era. Specifically, the perception effect of OOH media usefulness on risk perception and seriousness perception was investigated.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usefulness perception influenced personal and social risk perception. Among two constructs of risk perception, social risk perception only influenced seriousness perception which in turn lead to prevention behavioral intention. In sum, usefulness perception of OOH media indirectly influenced prevention behavioral intention mediated by seriousness perception. these result could provide implications about the effect of OOH media on COVID-19 perception, and mediating effects of risk percep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방법
      • 4. 결과
      • 5. 논의 및 결론
      • 1. 서론
      • 2. 이론적 배경
      • 3. 연구방법
      • 4. 결과
      • 5. 논의 및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신인섭, "한국옥외광고사" 한경사 2020

      2 백선기, "한국 언론의 재난보도 양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논의: 신문의내용분석과 보도 양태를 중심으로" 9 : 23-57, 2011

      3 신재우, "코로나19 500명대…정부 "어제 500명 넘는 확진자 발생""

      4 전종우, "집단규범과 인게이지먼트가 신뢰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매개된 OOH광고 인게이지먼트 모델" 한국OOH광고학회 17 (17): 49-64, 2020

      5 장정헌, "지각된 위험과 자기효능감이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조절하는 낙관적 편견의 간접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구제역, 광우병, 신종플루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7 (57): 111-137, 2013

      6 김현정, "증강현실(AR)을 활용한 화장품 광고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이상적 자아와 실제적 자아의 자아일치감 반영을 중심으로" 한국OOH광고학회 17 (17): 97-135, 2020

      7 성동규, "중간광고에 대한 인지된 유용성 및 인지된 위험이중간광고 허용 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기술수용모델과 혁신저항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3 (53): 379-404, 2009

      8 임성준, "주관적 과잉근로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위험지각의 조절효과" 한국안전학회 32 (32): 116-124, 2017

      9 송해룡, "조류인플루엔자에 대한 공중의 위험관여도, 위험인식, 심각성 지각과 예방행동 의도의 관계"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0 (10): 33-49, 2014

      10 김인숙,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과 지각된 지식,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이용, 제 3자 효과가 낙관적 편견에 미치는 영향 ―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2 (12): 79-106, 2012

      1 신인섭, "한국옥외광고사" 한경사 2020

      2 백선기, "한국 언론의 재난보도 양태와 개선방안에 대한 논의: 신문의내용분석과 보도 양태를 중심으로" 9 : 23-57, 2011

      3 신재우, "코로나19 500명대…정부 "어제 500명 넘는 확진자 발생""

      4 전종우, "집단규범과 인게이지먼트가 신뢰도와 태도에 미치는 영향 : 매개된 OOH광고 인게이지먼트 모델" 한국OOH광고학회 17 (17): 49-64, 2020

      5 장정헌, "지각된 위험과 자기효능감이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조절하는 낙관적 편견의 간접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 구제역, 광우병, 신종플루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7 (57): 111-137, 2013

      6 김현정, "증강현실(AR)을 활용한 화장품 광고의 효과에 관한 연구 : 이상적 자아와 실제적 자아의 자아일치감 반영을 중심으로" 한국OOH광고학회 17 (17): 97-135, 2020

      7 성동규, "중간광고에 대한 인지된 유용성 및 인지된 위험이중간광고 허용 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기술수용모델과 혁신저항모델을 중심으로" 한국언론학회 53 (53): 379-404, 2009

      8 임성준, "주관적 과잉근로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위험지각의 조절효과" 한국안전학회 32 (32): 116-124, 2017

      9 송해룡, "조류인플루엔자에 대한 공중의 위험관여도, 위험인식, 심각성 지각과 예방행동 의도의 관계"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10 (10): 33-49, 2014

      10 김인숙, "원자력에 대한 위험인식과 지각된 지식,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이용, 제 3자 효과가 낙관적 편견에 미치는 영향 ―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를 중심으로" 한국지역언론학회 12 (12): 79-106, 2012

      11 허윤철, "외국인 범죄 뉴스 접촉이 수용자의 위험지각에 미치는 영향"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26 (26): 1-36, 2015

      12 김예솔란, "옥외광고물 자유표시구역 디지털 사이니지 광고의 특성과 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광고PR실학회 12 (12): 29-60, 2019

      13 최민욱, "옥외광고 효과에관한 이론적 연구" 한국OOH광고학회 3 (3): 35-54, 2006

      14 이종윤, "스마트TV 채택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 E-TAM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26 (26): 386-430, 2012

      15 류수형, "소셜 미디어 정보속성이 정보유용성과 고객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교화 가능성 모델(ELM)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8 (18): 233-247, 2020

      16 진대건, "미세먼지에 대한 소비자의 위험지각과 예방행동: 건강 관련 규제초점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 31 (31): 443-458, 2020

      17 김운한, "랜드마크로서 옥외광고의 가치 속성 및 소비자 경험이 광고 효과, 도시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OOH광고학회 17 (17): 5-30, 2020

      18 김건표, "디지털 사이니지를 통한 브랜드 경험의 구성요소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OOH광고학회 15 (15): 18-45, 2018

      19 홍다현, "대학생들의 정부신뢰 수준이 감염병 예방행위의도에 미치는 영향: MERS(중동호흡기증후군)를 중심으로" 한국광고PR실학회 13 (13): 161-182, 2020

      20 김정현, "대학생 집단의 신종플루에 대한 인식과 지각적 편향" 한국언론학회 54 (54): 77-98, 2010

      21 손승혜, "기술수용모델을 이용한 초기 이용자들의스마트폰 채택 행동 연구" 한국언론학회 55 (55): 227-251, 2011

      22 전종우, "광고매체로서 디지털 사이니지의 효과측정 지표에 관한 고찰" 9 (9): 119-141, 2012

      23 고동우, "관광심리학" 대왕사 2013

      24 WILLIAM LEISS, "Three Phases in the Evolution of Risk Communication Practice" SAGE Publications 545 (545): 85-94, 1996

      25 Davison, W. P., "The third-person effect in communication" 47 : 1-15, 1983

      26 Slovic, P., "The perception of risk" Earthscan 2000

      27 Tyler, T. R., "The mass media and judgments of risk : Distinguishing impact on personal and societal level judgments" 47 : 693-708, 1984

      28 Hye-Jin Paek, "The Third-Person Effects (TPE) about Earthquake Risk News : Revisiting the Social Distance Corollary and Examining Roles of Risk Perceptions and Media Credibility in TPE" Korean Association for Advertising and Public Relations 21 (21): 30-66, 2019

      29 Davis, F. D.,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13 (13): 319-339, 1989

      30 Gerbner, G., "Living with television : The violence profile" 26 : 172-199, 1976

      31 Visschers, V. H. M., "How does the general public evaluate risk information? The impact of associations with other risks" 27 (27): 715-727, 2007

      32 Rimal, R. N., "Extending the purview of the risk perception attitude framework : Findings from HIV/AIDS prevention research in Malawi" 24 : 210-218, 2009

      33 Sjöberg, L., "Explaining risk perception. Trondheim: An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aradigm" Rotunde publikasjoner Rotunde 2004

      34 Sang Hyun An, "Effects of Health Risk Perception on Self-Efficacy and Intention to Physical Activity Participation" Korean Society of Sport and Leisure Studies 53 : 573-583, 2013

      35 Gaeun Jeong, "Effect of Third-person Effect Perception of Online Hate Speech Posting on Attitude Toward Hate Expression Regulation" Institute of Social Sciences,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30 (30): 271-286, 2019

      36 Bauer, R. A., "Dynamic marketing for a changing world" American Marketing Association 389-398, 1960

      37 McComas, K. A., "Defining moments in risk communication research : 1996-2005" 11 : 75-91, 2006

      38 Morton, T. A., "Communication and health beliefs : Mass and interpersonal influences on perceptions of risk to self and others" 28 (28): 602-626, 2001

      39 장두영, "COVID-19 위험인식과 건강의식이 보호동기와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9 (29): 191-208, 2020

      40 Kellens, W., "An analysis of the public perception of flood risk on the Belgian coast" 31 (31): 1055-1068, 2010

      41 Jacobs, L., "A comparative study of risk appraisal : A new look at risk assessment in different countries" 59 (59): 225-247, 1999

      42 Jae-Hee Shim,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Value and Risk Perception of E-Commerce in COVID-19" Korea Association for International Commerce and Information 22 (22): 307-323,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9 0.79 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27 1.534 0.3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