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노인보호전문기관 상담원들의 소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Major Determinants of Burn Out among Workers in National Protection Agencies for the Elderl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198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노인학대 문제가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노인학대예방사업을 수행하고 있는노인보호전문기관 상담원들의 소진예방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구조화된 자기기입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8년 2월 30개소의 지역노인보호전문기관을 전국 조사하였으며 최종 231명의 연구대상자가 선정되었다. 독립변인인인구사회학적특성, 직무특성, 업무환경요인과 종속변수인 소진을 빈도분석, 백분율 등의 기술통계 분석을 통해 파악하였으며 각 변인 간 관계를 확인하고자 상관관계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각 변인들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위계적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연령이 낮은, 종교가 없는 종사자의 소진이 높게 나타났으며 직무특성에서는 직무만족이 낮은 종사자가 소진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환경요인에서는 동료관계가 부정적일 때, 업무가 도전적이지 못할 때, 그리고 역할에 대하여 모호성을 느낄 때 높은 소진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조직응집력을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며 상담원의 지속적인 발전을 통한 역량강화가 될 수 있도록교육과정을 세분화하는 단계별 전문교육 진행이 필요하다. 또한, 업무 명확성 확보를 위해정교한 업무지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며 기관 내에서도 상담 경험의 공식적 공유방안과 수퍼비전 강화가 필요하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노인학대 문제가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노인학대예방사업을 수행하고 있는노인보호전문기관 상담원들의 소진예방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노인학대 문제가 증가하고 있는 시점에서 노인학대예방사업을 수행하고 있는노인보호전문기관 상담원들의 소진예방 및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구조화된 자기기입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8년 2월 30개소의 지역노인보호전문기관을 전국 조사하였으며 최종 231명의 연구대상자가 선정되었다. 독립변인인인구사회학적특성, 직무특성, 업무환경요인과 종속변수인 소진을 빈도분석, 백분율 등의 기술통계 분석을 통해 파악하였으며 각 변인 간 관계를 확인하고자 상관관계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각 변인들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위계적 다중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연령이 낮은, 종교가 없는 종사자의 소진이 높게 나타났으며 직무특성에서는 직무만족이 낮은 종사자가 소진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무환경요인에서는 동료관계가 부정적일 때, 업무가 도전적이지 못할 때, 그리고 역할에 대하여 모호성을 느낄 때 높은 소진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조직응집력을강화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하며 상담원의 지속적인 발전을 통한 역량강화가 될 수 있도록교육과정을 세분화하는 단계별 전문교육 진행이 필요하다. 또한, 업무 명확성 확보를 위해정교한 업무지침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며 기관 내에서도 상담 경험의 공식적 공유방안과 수퍼비전 강화가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factors causing exhaustion of workers working in elderly protection centers to implement prevention of elderly abuse at this moment where elderly abuse issue is rising. Factors affecting exhaustion of workers are set as dependent variable and other factors which may influence exhaustion such as demographic sociology, job features, and working environment factors a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to examine how they are related with exhaustion of workers. For this research, data collected from 231 workers working in 30 elderly protection centers located in 17 cities nationwide is analyzed.
      as a result of carrying out hierarchical regression to see factors affecting exhaustion, the most influential factor was sub-factors of working environment which are job satisfaction, age, challenge, role ambiguity, and religion. If relationship with peer is negative, age is low, feeling ambiguous on job, and no religion, level of exhaustion becomes bigge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factors causing exhaustion of workers working in elderly protection centers to implement prevention of elderly abuse at this moment where elderly abuse issue is rising. Factors affecting exhaustion of workers 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factors causing exhaustion of workers working in elderly protection centers to implement prevention of elderly abuse at this moment where elderly abuse issue is rising. Factors affecting exhaustion of workers are set as dependent variable and other factors which may influence exhaustion such as demographic sociology, job features, and working environment factors are set as independent variables to examine how they are related with exhaustion of workers. For this research, data collected from 231 workers working in 30 elderly protection centers located in 17 cities nationwide is analyzed.
      as a result of carrying out hierarchical regression to see factors affecting exhaustion, the most influential factor was sub-factors of working environment which are job satisfaction, age, challenge, role ambiguity, and religion. If relationship with peer is negative, age is low, feeling ambiguous on job, and no religion, level of exhaustion becomes bigge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미정,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사회적 지지가 소진(Burnout)에 미치는 영향 : 영적안녕과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2

      2 김수정, "지역아동센터종사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1

      3 김연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업무환경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4

      4 김형기, "정신요양시설 사회복지사들에 소진에 관한 연구" 카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5 김소정,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업무환경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2

      6 서지숙,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의 인권감수성과 직무만족이 인권의식에 미치는영향" 백석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7

      7 이미림, "자살예방상담원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4 (14): 308-318, 2014

      8 강연정, "영적 안녕과 관계 성숙을 위한 기독교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 L.J.Crabb과 H.Clinebell의 기독교 상담이론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2007

      9 김복희, "여성긴급전화1366상담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2009

      10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 "업무수행지침"

      1 김미정, "호스피스 자원봉사자의 사회적 지지가 소진(Burnout)에 미치는 영향 : 영적안녕과 죽음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12

      2 김수정, "지역아동센터종사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1

      3 김연화,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업무환경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인제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4

      4 김형기, "정신요양시설 사회복지사들에 소진에 관한 연구" 카톨릭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3

      5 김소정, "장애인복지관 종사자의 전문직업적 정체성과 업무환경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동국대학교 대학원 2012

      6 서지숙, "장애인공동생활가정 종사자의 인권감수성과 직무만족이 인권의식에 미치는영향" 백석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7

      7 이미림, "자살예방상담원의 지각된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4 (14): 308-318, 2014

      8 강연정, "영적 안녕과 관계 성숙을 위한 기독교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 L.J.Crabb과 H.Clinebell의 기독교 상담이론을 중심으로" 한남대학교 대학원 2007

      9 김복희, "여성긴급전화1366상담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요인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사회과학대학원 2009

      10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 "업무수행지침"

      11 공계순,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의 이직의도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회 (19) : 7-36, 2005

      12 공계순,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의 소진에 관한 연구" 10 (10): 83-103, 2005

      13 이나영, "아동학대예방센터 상담원의 소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14 이광숙,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의 소진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9

      15 신민정, "아동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의 공감피로, 소진, 공감만족에 관한 인식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16 윤부성, "아내학대 관련기관 상담원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17 최혜윤, "상담자의 완벽주의 성향,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Burnout)" 가톨릭대학교 심리상담대학원 2002

      18 윤은주, "상담자의 소진(burnout)에 대한 체험분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19 이영미, "사회사업가들의 「Burnout」에 관한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1

      20 박현주, "사회복지조직에서의 갈등이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1

      21 김득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직무환경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경남진해지역 사회복지시설 중심으로" 25 (25): 11-27, 2007

      22 이영순, "사회복지사의 인권감수성과 사례옹호,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 간의 경로분석"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7

      23 정태문,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이용시설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0

      24 김경린, "사회복지사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서울, 경기지역 복지관 종사자를 중심으로" 총신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2

      25 권선덕, "사회복지사의 소진 실태 및 소진요인에 대한 연구 : 서울시내 사회복지관 근무자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2001

      26 박웅열, "사회복지담당 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조직효과성 간의 관계 : 스트레스의 매개효과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0

      27 정성일, "사회복지관 사회복지사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2

      28 선수경, "사회복지 전담공무원의 소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직무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전달체계를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2012

      29 중앙노인보호전문기관, "노인학대현황보고서" 2019

      30 이연호, "노인학대상담원의 직무만족과 영향요인" 정부학연구소 16 (16): 273-300, 2010

      31 권금주, "노인학대 신고의무제도의 발전방안 연구" 사회복지연구소 12 (12): 39-64, 2015

      32 이대희, "노인요양시설의 직무환경이 사회복지사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8

      33 허준수, "노인복지연구" 서울신정 2010

      34 김은숙, "노인보호전문기관 상담원의 소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순천향대학교 행정대학원 2009

      35 백경희, "가정폭력쉼터 종사자의 소진 연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4

      36 Guild, J. P., "The social worker and depression" 23 : 50-54, 2012

      37 Acker, G. M., "The impact of clients' mental illness on social workers' job satisfaction and burnout" 24 (24): 112-119, 1999

      38 Jacobs, Ronald L., "Structured On-The-Job Training" Berrett-Koehler 2003

      39 Burke, R. J., "Stress, medicine, and health" 101-117, 1996

      40 Farber, B. A., "Stress and burnout in suburban teachers" 77 (77): 325-331, 1984

      41 Marc Cristiana, "Stress and Burnout among Social Workers" 12 (12): 121-130, 2013

      42 Edwards, D., "Stress Management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 A Review of Effective Techniques" 18 (18): 203-215, 2002

      43 Collins, S., "Statutory social workers : Stress, job satisfaction, coping, social support and individual differences" 38 (38): 1173-1193, 2008

      44 Freudenberger, H., "Staff bum-out" 30 (30): 159-165, 1974

      45 Lavee, E., "Social workers' emotional labour with families in poverty : Neoliberal fatigue?" 23 (23): 504-512, 2018

      46 Savaya, R., "Social worker burnout in Israel : Contribution of daily stressors identified by social workers" 44 (44): 1268-1283, 2014

      47 Poulin, J., "Social worker burnout : A longitudinal study" Oxford University Press 29 (29): 5-11, 1993

      48 Lloyd, C., "Social work, stress and burnout : A review" 11 (11): 255-265, 2002

      49 Arches, J., "Social structure,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36 (36): 202-206, 1991

      50 David Harrison, W., "Role strain and burnout in child-protective service workers" 54 (54): 31-44, 1980

      51 Densten, I. L., "Re-Thinking Burnout" 22 : 833-847, 2001

      52 Azar, S. T., "Preventing Burnout in Professionals and Paraprofessionals Who Work with Child Abuse and Neglect Cases : A Cognitive Behavioral Approach to Supervision" 56 (56): 634-663, 2000

      53 Regehr, C., "Predictors of post-traumatic distress in child welfare workers : a linear structural model equation mode" 26 : 331-346, 2004

      54 Schaufeli, W. B., "Past performance and future perspectives of burnout research" 29 (29): 1-15, 2003

      55 Evans, S., "Mental health,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mong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in England and Wales" 188 (188): 75-80, 2006

      56 Worthen, H., "Learning through practice" Springer 222-239, 2010

      57 Siefert, K., "Job satisfaction, burnout, and turnover in health care social workers" 16 (16): 193-202, 1991

      58 Wilson, F., "Identifying, Preventing, and Addressing Job Burnout and Vicarious Burnout for Social Work Professionals" 13 (13): 479-483, 2016

      59 Vyas, L., "Frazzled care for social workers in Hong Kong : Job stress circumstances and consequences" 54 (54): 832-851, 2011

      60 Schwartz, S. L., "Engaging our workforce : How job demands and resources contribute to social worker burnout" Portland State University 2007

      61 Donovan, K., "Elder abuse : Clinical, ethical, and legal considerations in social work practice" 38 (38): 174-182, 2010

      62 Dormann, C., "Customer-related social stressors and burnout" 9 (9): 61-82, 2004

      63 Awa, W. L., "Burnout prevention : A review of intervention programs" 78 (78): 184-190, 2010

      64 Söderfeldt, M., "Burnout in social work" 40 (40): 638-646, 1995

      65 Kim, H.,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among social workers :Effects of role stress, job autonomy and social support" 32 (32): 5-25, 2008

      66 Coady, C. A., "Burnout among social workers working with patients with cystic fibrosis" 15 (15): 116-124, 1990

      67 Acker, G. M., "Burnout among mental health care providers" 12 (12): 475-490, 2011

      68 Maslach, C., "Burnout" 5 (5): 16-22, 197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5 1.33 1.68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