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 부적응 아동의 정서표현 및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효과를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아동 16명으로, 실험집단은 A초등학교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 부적응 아동의 정서표현 및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효과를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아동 16명으로, 실험집단은 A초등학교 ...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 부적응 아동의 정서표현 및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효과를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전라북도 아동 16명으로, 실험집단은 A초등학교 아동 8명, 통제집단은 B 초등학교 아동 8명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을 이용해 Cronbach's α, 독립표본 t-test분석을 실시하였고, 아동 관찰기록, 작품 등에서 유의미한 의미를 발견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학교 부적응 아동의 정서표현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학교부적응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학교 부적응 아동의 정서표현 및 스트레스 대처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emotional ex- pression, stress coping ability of school maladjusted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 chil- dren from institutions in Jeollabuk-do. Among 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program on emotional ex- pression, stress coping ability of school maladjusted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 chil- dren from institutions in Jeollabuk-do. Among them, 8 children from A elementary school a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8 children from B elementary school are in the control group. Cronbach's α, independent sample t-test were analyzed by SPSS 27.0 and the meaning of the data was found by an- alyzing records of observation, and works of drawing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group art therapy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emotional expression of the school maladjusted children. Second, group art therapy program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stress coping ability of the school maladjusted children. The study shows that group art therapy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emotional expression, stress coping ability for school maladjusted children.
인간중심 표현예술치료를 적용한 진로상담 프로그램 사례 연구
평가 관련 연구 동향: 음악교육 분야 국제학술지를 중심으로
중국 청소년의 악기 학습경험과 창의적 자기효능감 및 창의적 성장 마인드셋과의 관계: 학교와 성별의 조절효과